특히 보안검색요원 1902명을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청원경찰' 신분으로 직접 고용한다는 내용에 대해 취업준비생들 사이에서 "역차별"이라는 목소리가 나왔다.
청와대에 올라온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화 그만해주십시오'라는 국민청원은 하루 만에 20만 명 이상의 동의를 받았다. 청원인은 "열심히 공부하는 취준생들의 자리를 뺏게 해주는 게 평등이냐"고 항의했다.
다만 이 과정에서 '알바 로또 취업', '연봉 5000만원" 등 사실과는 다른 내용이 온라인에서 일파만파 퍼졌다.
그러자 인천공항의 한 보안검색요원이라고 밝힌 글쓴이가 '잘못된 기사로 억울하다'며 오해를 풀어달라며 호소하는 청원을 올리기도 했다. 그는 "하루 14시간 근무할 때도 이렇게 억울하진 않았다"면서 "우리는 알바가 아니다. 우리의 존재를 부정하지 말아달라"고 서운함을 토로했다.
논란이 계속되자 청와대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정규직화 결정을 두고 이는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차별을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는 입장을 냈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24일 JTBC 뉴스에 출연해 '취업 준비생 사이에서 채용 공정성 문제가 나온다'는 지적에 "정규직과 비정규직 사이의 공정성도 중요하다"고 못박았다.
여러 불만이 나오는 것에 대해 황 수석은 "국민이 충분히 이해하도록 이번 결정을 설명하는 과정이 부족했다면 정부의 잘못"이라며 "당사자 모두가 만족하지 못해도 최선을 다해 설득하겠다"고 덧붙였다.
인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정규직화는 2017년 문재인 대통령 취임 3일 만에 인천공항을 직접 방문해 '임기 내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를 선언하면서 시작됐다.
2017년 기준 인천공항공사에는 1만490명의 노동자가 근무했는데, 이 중 정규직 노동자는 1265명으로 12%에 불과했다.
비정규직 노동자는 인천공항의 협력업체 소속으로 3~5년마다 입찰을 통해 협력업체가 바뀌기 때문에 그때마다 근로 계약서를 다시 써야 했다.
'공공부문 비정규직 제로화 선언' 이후 약 3년 만에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의 정규직 전환이 마무리 단계에 들어갔다. 정규직 전환에는 공항 직고용과 자회사 정규직 전환이 있다.
공사가 밝힌 정규직 전환 내용에 따르면,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대상자 9785명 중 공항소방대(211명)와 야생동물통제(30명), 여객보안검색(1902명) 등 생명과 안전에 밀접한 분야 노동자 2143명은 공사가 직고용하기로 했다.
이밖에 공항운영(2423명), 공항시설 및 시스템(3490명), 보안경비(1729명) 등 7642명은 3개 전문 자회사로 각각 전환된 후 정규직화할 예정이다.
가장 논란이 큰 대목은 '아르바이트 직원이 노력 없이 공기업 정규직이 된다'는 주장이다.
인천공항공사는 24일 '정규직 전환 관련 입장'이라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통해 각종 오해 요소들에 대해 해명했다.
공사는 '알바생이 정규직 된다'는 취준생들의 항의에 대해 "보안검색요원은 공항의 생명·안전과 직결된 직무인 보안검색 업무를 담당하는 직원"이라며 "보안검색 요원은 2개월간의 교육을 수료하고 국토교통부 인증평가를 통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실제 단기 근무자 신분으로는 보안검색 요원이 될 수 없고 전문적인 자격과 훈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김원형 보안검색노조 공동위원장은 25일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구인·구직 사이트를 통해 지원한 건 맞지만, 보안검색이 아르바이트로 할 수 있는 업무는 아니"라며 "보안검색 노동자들은 취업준비생들의 일자리를 뺏는 게 아니"라고 해명했다.
인천공항공사는 한 취업 조사에서 2018년 이후 줄곧 '대학생이 일하고 싶은 공기업' 1위에 뽑혔다. 2019년 공사의 상반기 채용 경쟁률은 100대 1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보통 취업준비생들이 준비하는 공채는 이번 비정규직에서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별도 직군이 아닌 공사 일반직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청원경찰'로 공사에 소속되는 보안검색 노동자들은 '일반직'과 다른 직무를 수행하는 만큼 직접 고용 이후에도 별도의 급여체계를 적용받게 된다고 밝혔다.
"연봉이 5000만원 이상으로 오른다"라는 주장도 추후 사실확인이 더 필요한 부분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청원경찰 직고용 시에도 동일 수준의 임금을 적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정규직 전환 이후에도 현재 보안검색 요원의 평균 임금인 3850만원 수준의 연봉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공사는 보안검색 노동자들이 일반직 직원들과 차별된 직무를 수행하는 만큼 급여체계를 별도로 적용한다는 입장이다.
김 보안검색노조 위원장 또한 CBS와의 인터뷰에서 "3600만원~3800만원정도로 생각하고 있는데 자회사나 직접 고용 대상자나 비슷한 수준으로 유지한다고 했다"라고 전했다.
지난해 인천공항공사 일반직 신입사원 초임은 연 4589만원이었다. 평균 연봉은 8397만원이다. 연봉에 있어 정규직 전환 대상자들이 공항 일반직과 같은 처우를 받는다는 주장은 사실과 거리가 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불만은 취준생들만 느끼는 것이 아니다. 정규직 전환 대상자 중 일부의 반발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정규직 전환 정책을 발표한 것이 2017년 5월 12일이다. 따라서 이날을 기준으로 이전 입사자와 이후 입사자가 다른 정규직 전환 절차를 밟게 된다.
일단 정책 발표 이전 입사자의 경우, 서류와 인성검사 등으로 이뤄진 '적격심사'를 거치게 된다. 적격심사의 경우엔 특별한 부적격 사유가 없는 한 대부분 채용될 것이라는 게 공사 쪽 설명이다.
반면 '정규직 전환 선언' 이후 입사자의 경우 공개경쟁을 통해 정규직 채용 여부를 심사하게 된다. 공사는 전체 보안검색 직원의 40%(약 760명)에 공개경쟁 채용 방식이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적격심사와 달리 공개경쟁 채용에선 불합격자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에 보안검색노조는 기존 비정규직 근로자가 공개경쟁 채용에서 탈락할 경우 이들을 구제할 방안을 요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 수석은 JT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5월 12일 이전 입사자는 정규직 전환 기회가 있다고 생각하고 입사한 것이 아니고, 이후 입사자는 그런 기회가 있다고 알고 들어온 것"이라며 "(5월 12일) 이후 입사자들이 아쉬울 수 있으나 2017년에 세운 기준에 따라 진행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이들에 대한 공개 채용은 준비과정을 거쳐 9월 시행될 예정이다.
bbc.com/korean/news-53175060
논란에 대한 일목요연한 정리
국내 언론 기레기들의 기사들과는
질적으로 차원이 다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