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과학자들이 상상한 외계인들

면죄자 작성일 10.12.31 19:42:50
댓글 6조회 7,420추천 2

"문명이 극도로 발달한 미래의 지구


외계의 생명체를 탐사하던 중, 놀라울 정도로 다양한 생물군을 보유하고 있는 행성을 발견한다.


행성의 이름을 다윈IV라 명명한 지구의 탐사선, 곧 두개의 소형 무인 비행선을 내려보내 행성의 정체를 밝히기 시작한다."


2005년 미국 내 다큐멘터리 케이블 채널, 디스커버리 채널에서 방영된 "Alien Planet" 프로그램의 내용입니다.


Alien Planet은 기본적으로 지구와 다른 환경의 행성에 진화론을 적용한다면 어떤 생명체들이 생겨날 수 있을까라는 호기심에 시작된 프로젝트입니다. 과연 외계의 환경에서 생명체들은 어떻게 적응하고 진화돼 왔는지 그 결과를 가상의 세계에 확인해 보는 것이죠.


실제로 이런 생명체들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과학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Alien Planet에선 여러 명의 학계 권위자들이 등장해 생명체의 특징과 행동 양식에 대해 설명합니다.


이제, 외계에 '과학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생명체에 대해 하나씩 살펴 봅시다.

129379205252229.jpg

외계 행성 다윈 IV.

- 중력은 지구의 60%
(인간은 이 행성에서 더 높이 더 빨리 더 힘차게 뛸 수 있습니다.)
- 지표에 도달하는 태양 에너지는 지구의 79%,
- 대기 밀도 지구의 200%
(인간은 이 정도 대기압에서 살수가 없다.. 핏줄 등이 파괴.)


129379204999357.jpg

다위 IV를 탐사하기 위한 무인 우주선.

예상치 못한 험한 환경에서의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각종 인공지능 탐사 기기를 '출격'시킬 수 있음


129379204487335.jpg

자이로스프린터(Gyrosprinter)

초식동물. 더 빨리, 더 유연하게 달리기 위해 다리가 두개로 붙어 진화됨. 시속 65km까지 달릴 수 있으며,
방향을 급격히 바꿀 수 있어 포식자로부터 도망가는데 유리함.


129379203866463.jpg


대거리스트(Daggerwrist)

숲에 사는 육식동물. 나무에 붙어 다니며 나무와 나무 사이를 날아 다닌다
129379203212999.jpg

엠퍼러 씨 스트라이더(Emperor Sea Strider)

다윈IV에 존재하는 가장 특이하고 가장 거대한 생명체. 180m에 달하는 빌딩만한 몸집에 바다 위를 걸어다니며 먹이를 먹는다.
 
다윈IV의 바다는 급격한 건조화 현상을 막기 위해 미생물이 표면에 응축, 마치 젤라틴(젤리)처럼 굳어져 버렸다.

스트라이더의 이 젤라틴 조직 바다 위를 걸어다니며, 거대한 발 아래에 달린 입으로 끊임없이 먹이를 섭취한다.

가끔 거대한 소리로 울부짖으며, 머리 옆에 달린 발광체로 노란빛을 뿜는다.


129379202682473.jpg

 스큐어(Skewer)

다윈IV 행성에서 가장 무서운 포식자. 양 날개에 바이오닉 '제트' 엔진이 달려 있어 날개짓을 하지 않고도 엄청나게 빠른 속도로 날아다닌다.
 
하늘에서 내리 꽂아 순식간에 땅위의 생명체들을 창처럼 생긴 주둥이로 낚아 챈다.

주둥이로 몸체를 뚫어 올린 뒤 상승하며 희생물의 체액을 빨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29379202035130.jpg

 그로브백(Groveback)

10년 동안 겨울잠을 자는 거대 괴생명체. 땅 아래에 몸을 파묻고 10년간 동면에 빠지는데 이 기간동안 등 위에는 엄청난 규모의 '숲'이 자란다.

그로브백은 다리가 3개인데, 하나만 남은 뒷다리는 움직이지 않고 대부분의 무게를 지탱하는 역할만 한다.




129379201355539.jpg

  이오사피언스

다윈IV 행성에서 지능을 가진 유일한 생명체. 음성과 안면에서 발광하는 빛으로 의사 소통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이하게도, 머리와 가슴 부위에 거대한 '부레'가 달려있고 그 안으로 뜨거운 기체를 뿜어내 부력을 얻는다.

즉, 날아 다닌다는 것. 이들은 무리를 지어 도구를 들고 다니며 하늘 위에서 땅 위의 생명체들을 사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

.

(자세한 정보는 아래 디스커버리 채널 사이트에서..)
http://dsc.discovery.com/convergence/alienplanet/splash.html


면죄자의 최근 게시물
  • 필살스나이퍼10.12.31 19:52:22
    0
    우주의 여러 별들을 보면 아름답지만
    실제 그 환경은 무섭다고 느껴질 만큼 척박한 것을 봤을때 저런
    기괴한 생명체도 납득이 될거 같네요 ㅋ
  • 매아리10.12.31 19:56:42
    0
    왜 저그가 생각날까?
  • 섀도우린10.12.31 20:06:24
    0
    중력이 저리 낮은데 기압은 뭐이리 높죠? 원래 상관없는건감..?
  • 십반반장이다10.12.31 20:14:55 댓글
    0
    달에도 중력은 있는데 기압은 없지 않나요??쪼금 있나??
  • 바켄뢰더10.12.31 20:29:08 댓글
    0
    달은 중력이 낮아(지구중력의 1/6) 공기를 잡아둘수가 없어 대기현상이 없다고 들었는데
    머..유명한 과학자들 여러명이 모여서 만든 다큐니까 이론적인 부분은 잘모르겠지만 알아서 해결했을듯..
    아무튼 이 다큐 재미있습니다. 특히 바다가 젤라틴이라서 거대생물이 바다위를 걷는다는 설정이 재밌었어요. 그외 바이오제트엔진으로 날아다니는 생물이라던가(날기 위해 쓰는 에너지에 비해 섭취하는 열량은 엄청 적어보여서 효율성은 없어보이는 생물이었지만..) 이오사피언스같이 지능을 가졌는데 공중을 떠다니는 생물이라던가.. 정말 재미있었는데 결론은 안나고 끝난다는게 좀 아쉬웠네요
  • 푸화화화10.12.31 20:31:44
    0
    이것보다 좀더 설득력 있는게 있다면.. 얼마전 나사에서 공식발표를 했었죠... 현재 우리가 생각하는 생명체의 6대원소는 탄소,수소,질소,산소, 인, 황이라 생각했는데.. 완전 쌩뚱맞게 독극물의 일종인 '비소'도 생명체의 한 요소가 될수 있다는 것과 동시에 증거가 발견되었죠...지구외에 다른 행성과 비유해 설명한다면.. 완전 무중력 상태에서도 우리가 생각하는 원소외에 생명체가 탄생할수 있다는거고.. 영화에서나 봤던 에일리언과 같은 생명체가 얼마든지 존재할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께.. 우리가 생각하는 6대원소가 결코 생명체 기원의 절대원소가 아니라는거죠..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