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 한양 거리는 ‘똥 천지’
황경상 기자 yellowpig@kyunghyang.com
“오늘날 도성 안 대부분의 집이 더럽고 지저분하다. 수레가 없어서 오물을 퍼 가지 못하기 때문이다. … 서울에서는 날마다 뜰이나 거리에 오줌을 버려서 우물물이 전부 짜다. 냇가 다리의 축대 주변에는 인분이 더덕더덕 말라붙어서 큰 장마가 아니면 씻겨지지 않는다.”
조선 후기 실학자 박제가는 <북학의>에서 수도 한양의 모습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이처럼 문헌으로만 전해지던 조선시대 한양의 지저분한 거리 모습이 실제일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 의대 인류학·고병리연구실 신동훈 교수팀은 10일 “경복궁 담장, 광화문 광장의 세종대왕 동상 아래, 시청사 부근, 종묘 광장 등 서울 주요 지점의 조선시대 지층에서 회충·편충 등의 기생충 알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기생충 알은 주로 인분으로 배출된 뒤 채소 등의 먹거리에 섞여 다시 사람 입으로 들어가는 방식으로 감염된다는 점에서 이 지역에 인분이 널려 있었을 가능성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연구결과 경복궁 앞에서 추출한 흙에서는 1g당 최고 165개의 알이 나왔고, 나머지 샘플에서도 평균 35개의 알이 검출됐다.
한양의 거리에 인분이 넘쳐날 수밖에 없었던 사정은 무엇일까. 신 교수팀은 당시 폭증한 인구를 감당할 만한 하수도 시설이 갖춰지지 않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조선시대 전기인 15세기 초 10만여명이던 한양의 인구는 18세기 들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1785년 무렵 영국에서 인구 5만명을 넘긴 도시가 런던 등 네 곳에 불과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대단한 인구였던 셈이다. 신 교수는 “중세 유럽의 도시가 분뇨로 엉망이었던 것처럼 인구가 급증한 한양도 사정은 마찬가지였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 <승정원일기> 영조 27년조를 보면 사람이 살아서는 안되는 육조(六曹) 앞길까지 민가가 들어서서 나무가 없어지고 토사가 유실돼, 이 토사가 배수로를 막은 탓에 하천이 범람하고 있다고 지적하는 대목이 나온다. 영조는 “도성 안의 인민이 너무도 많다”고 한탄한다. 이에 비해 분뇨처리시설은 마땅치 않았다. 박지원이 쓴 <연암집>의 ‘예덕선생전’에는 똥 치우는 직업을 가진 엄행수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그는 분뇨를 전문적으로 수거해서 도성 외곽의 밭에다 뿌려주고 그 수입으로 생계를 이었다. 사람들은 때로 분뇨를 하천에 버리기도 했고, 장마철에 물이 범람하면서 분뇨 섞인 오수가 거리 곳곳으로 번지기도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국고전번역원 기호철 연구원은 “조선 궁궐도에도 화장실은 찾아볼 수 없는데, 한양의 분뇨처리 시스템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며 “예덕 선생과 같은 업자들이 모아놓은 분뇨를 매일매일 처리하는 시스템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인구가 늘면서 당초 계획된 범위를 넘어서버린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 같은 사실을 담은 논문은 지난해 말 국제 학술지인 ‘고고학저널’에 소개되기도 했다. 신 교수팀은 2010년부터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한강문화재연구원 등의 지원으로 단국대 의대 기생충학교실 서민 교수팀과 함께 기생충 연구를 통한 옛 사람들의 생활사 연구를 진행 중이다. 신 교수는 “서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 기생충 알을 발굴한 결과 대개 나오는 곳은 사람들이 많이 살던 곳”이라며 “기생충 알을 통해 당시 사람들의 보건과 건강, 감염과 질병 상황에 대해 과학적으로 살필 수 있다”고 말했다.
출처 : 경향신문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210102105475&code=960201
살다살다 조선족 소리도 다들어보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