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에게서 도드라지는 심리적 특성들

글내려주시죠 작성일 19.02.09 20:12:15
댓글 12조회 6,575추천 11

154971068489253.jpg

154971068737410.jpg

154971068982675.jpg

154971069226934.jpg

154971069392362.jpg

154971069585658.jpg

154971069749993.jpg

154971069747946.jpg

154971070158549.jpg

154971070116291.jpg

154971070596178.jpg

154971070593437.jpg

154971070960707.jpg

154971071131143.jpg

154971071377551.jpg

154971071564390.jpg

154971071765816.jpg

154971071688342.jpg
 

 

 

[주체성]

어디서든 주인공이 되고 싶은 욕망.

"오늘은 내가 한턱 쏜다 !"

그래서 가끔 자신이 누군가에게 무시당한다는

느낌이 들 때는 참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다

 

 

[관계성]

공적인 역할보다는 사적인 관계가 우선

 

 

[심정중심주의]

서양에서는 행동이 곧 그 사람의 마음이라고

인식하지만, 한국에서는 겉으로 보여지는

행동보다는 그 의도와 정서를 고려.

욕쟁이 할머니 가게에서 거부감 보다는

할머니의 따듯함을 느끼는 한국인들

 

 

[복합유연성]

서양인들은 "100명의 범인을

놓치더라도 1명의 무고한 국민을 범인으로

만들면 안 된다"는 생각이 강하다

vs

한국인들은 " 무슨 소리야. 둘다 해야지"..

그 때문에, 진범확률이 높은 범인이 증거부족으로

풀러날 때 마다 사법부의 판단을 비난하는

여론이 들끓는다

 

 

[불확실성회피]

대표적인 예로는, 지적재산권을

소홀히 여기는 성향..

불법다운로드 왕국이 된 주요 원인 

 

 

[가족확장성]

사회조직의 운영방식이 

가족과 유사해야 한다고 여기는 현상.

대통령은 국민을 자식처럼..

기업가는 직원을 자식처럼..

 

가족 사이의 높은 신뢰도를

사회에 그대로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곧 이해해보자면

사회기스템에 대한 신뢰도가 굉장히 낮음에서

오는 현상이라 볼 수도 있을 것

 

(일반적인 '가족애'와는 다른 개념.

남미에서는 개인의 출세보다 

가족끼리 같이 보내는 시간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지만, 우린 그렇지 않음)

 

 

 

글내려주시죠의 최근 게시물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