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1994년 12월7일
오후 2시50분. 서울 마포구 아현 1동 도로녹지공원 지하에서 폭발이 일어났다. 한국가스공사 아현가스 공급기지 지하 저장소가 폭발한 것이다.
폭발과 함께 치솟은 불길은 인근 상가로 옮겨 붙었다. 폭발지점 30m 이내의 상가와 주택이 폭격을 맞은 듯 전소되거나 반파됐다. 왕복 8차선
도로건너편 빌딩에까지 불똥이 튀었고 상가 주택가 주민은 물론 건너편 빌딩에 근무하는 회사원 등도 대피했다.사고당시 5∼6차례의
폭발음이 울리면서 지하철 공사에 사용되는 철판 3장이 인근 고려아카데미빌딩 15층 높이까지 올라간 뒤 떨어질 만큼 도시가스 폭발은 위력적이었다.
화재가 발생하자, 소방차 80여대가 출동해 진화 작업에 들어갔다. 이날 진화를 위해 투입된 인력만 491명, 펌프, 조명차, 헬기 등 장비
107대가 총동원되었다.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
사고로 12명이 숨졌고, 65명이 부상당했다. 주택 등 75채가 불에 타 없어졌고, 70개 건물이 부분 파손 되는 등 145동이 피해를 입었다.
진화 뒤 폭발이 일어난 가스저장소 위에 조성된 2백여평 남짓 도심공원은 나무와 벤치 등 각종 시설물이 들어서 있었으나 형체도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사라져 버렸다. 폭발로 5∼6m 깊이의 웅덩이가 생겨나기도 했다. 이날 사고 원인은 한국가스공사 아현가스 공급기지 지하실에서 계량기 점검
때 전동밸브 틈새로 다량 방출된 가스가 환기통 주변에 피웠던 모닥불 불씨로 점화되어 폭발했다. 폭발사고에 앞서 경고가
있었다. 가스공사측이 가스관 밸브에서 가스가 새고 있는 사실을 포착했다. 가스공사는 이날 가스관의 이상을 발견하고 가스 기공 직원 2명,
서울도시가스 직원 2명, 공사감독 1명 등 7명을 투입해 밸브작동 확인 작업을 벌였다. 그러나 점검이 끝난 오후 2시11분 가스가 다시
새어나오면서 경보기가 작동됐다. 가스 누출이 자동으로 중단돼야 하는데도 계속 흘러나왔다. 가스누출 등을 자동적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설치된 첨단
장비인 가스검지기(가스 디텍터)가 작동하지 않은 것이다. 이 장치는 가스가 유출될 경우 경보음과 함께 수송관의 송출압력이 떨어지면서 자동적으로
가스공급차단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돼있었다. 결국 대량 누출된 가스가 결국 지상 가스 환기통에서 5m정도 떨어진 지점에서 있던 모닥불 불씨에 옮겨
붙으면서 대형 폭발로 이어진 것이다. 이런 직접적인 원인
외에도 예고된 참사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가스공급 기지가 주택가 한복판에 설치돼 있고, 하루 1천60t의 가스를 공급하고 있는데도 아현기지
상근자가 3명에 불과했다. 3교대로 근무하는 등 관리체계가 부실했던 것도 간접적인 원인으로 꼽혔다. 아현기지 뿐 아니라 군자 등 7개 기지와
1백7㎞에 달하는 서울시내 순환 수송관 점검은 당시 한국가스기술공업(주)소속 점검요원 20여명이 맡고 있었다. 3명씩 5∼6개조가 하루 평균
20㎞씩을 맡고 있었던 셈이다. 이들은 수송관을 따라 미리 점찍어둔 표지판을 순찰하며 인근 작업장에서 공사도중 수송관을 건드리는 일이 없는지를
확인하는 육안으로 확인하는 수준이었다. 또 가스누출 경보
작동과 동시에 소방차가 출동할 수 있는 체제가 갖춰지지 않은 점도 문제로 지적됐다. 가스 누출 경보가 울리기 시작한 뒤 40분이나 지났지만 주변
교통 통제나 소방서와의 자동 연락, 주변 상가와 시민들에 대한 대피 안내 방송 등이 전혀 이뤄지지 않아 피해가 컸다. 이와 함께 폭발 등 긴급
상황이 지하에서 발생했을 경우, 해당 지역 지하매설물의 정확한 위치와 현황을 표기한 도면이 없는 것도 심각한 문제로 떠올랐다.
아현동 도시가스
폭발사고는 가스공급설비의 개선이나 보강이 이루어져야 하고, 새로운 안전관리체제가 필요하며, 안전·운영·정비 분야 등에서 전문기술인력을 확보 등
교훈을 남겼다. 정부는 사고 직후인 12월14일 도로굴착 공사 때 관계기관 사전협의를 의무화하는 내용의 지침을 마련해 각 시·도와 시공회사 등에
지시했다. 도로 굴착으로 인한 가스배관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관계기관 사전협의를 의무화하고 원격감시체제를 도입키로 했다. 그러나 이런 지침은
공문으로만 그쳤고 이후에도 현장에서는 협의 한번 없이 공사가 강행되기 일쑤였다. 결국 1년도 안된 1995년 4월28일 ‘제2의 아현동
가스폭발’ 사고인 대구지하철 공사장 가스폭발 사고가 또다시 일어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