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 인용하는 언론 점차 많아져
언론사 입맛에 맞는 내용만 발췌해서 보도하기도1명 동의한 청원, 취소글 올라온 청원도 여론이라며 활용
◇ 정관용> 우리 언론의 보도동향 살펴보는 시간이죠. 미디어포커스입니다.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 어서 오십시오.
◆ 김언경> 안녕하세요.
◇ 정관용> 오늘 뭐부터 볼까요?
◆ 김언경> 저희 민언련의 문제 있는 보도라고 생각하는 내용이 있으면 제보하시는 시민이 많습니다.
◇ 정관용> 그렇겠죠.
◆ 김언경> 예전보다 점점 더 많아져요. 깨어 있는 시민이 많은 것 같은데요. 이 내용도 제보로 들어온 건데 저희가 제보를 받으면 이 말씀하신 그 주장이 사실인지 확인을 하게 되잖아요.
◇ 정관용> 해야죠.
◆ 김언경> 굉장히 근거가 있다라고 생각해서 이 내용을 오늘 가지고 나왔습니다.
◇ 정관용> 뭡니까?
◆ 김언경> 뉴스원이라는 매체에서 통신사죠. 여기에서 ‘잇딴 부동산 규제의 피로 누적. 청 국민청원 빗발, 촛불집회도 예고’라는 제목의 9월 9일자 보도를 냈습니다. 제보자 말씀은 이 보도가 정부 부동산 정책을 비난하기 위해서 소수만 참여한 청와대 청원을 인용한 것 같다라고 말씀하셨어요. 그래서 저희가 확인을 해 봤습니다.
◇ 정관용> 그랬더니요?
◆ 김언경> 이 보도가 8.27 주택시장안정화방안 발표 이후에 추가 규제가 있을 것이다라는 예고들이 계속 나왔잖아요. 그랬더니 그 규제를 반대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라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정관용> 제목을 보니까 그러네요.
◆ 김언경> 그런데 이 기사에서 제시하고 있는 근거가 규제를 반대하는 국민청원이 눈에 띄게 늘었다라는 것이거든요. 그런데 기자가 이렇게 말합니다, 보도에서.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 최근 일주일새 정부의 부동산대책에 불만을 제기하는 청원글이 수십 건 이상 올라오고 있다. 지금까지 거듭된 부동산 규제로 집값이 안정되기는커녕 더 오르고 있다며 규제 기조를 멈출 것을 요구한다. 현 정부 들어서 약 10여 차례 규제가 쏟아지면서 규제내용을 파악하기도 어렵고 정책을 예측할 수 없는 정부가 되어버렸다 등 청와대 청원게시판에서 주로 이 부동산 정책에 대한 비판여론을 옮기는 그런 보도였습니다.
◇ 정관용> 실제 그런 청원이 있으면 기자들이 많이 인용하고 하잖아요. 그런데 확인해 봤더니 사실과 달라요?
◆ 김언경> 그러니까 일단은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당연히 하루 수백 건의 글이 올라오는데요. 기사가 나온 9일에도 886건의 청원이 있었습니다.
◇ 정관용> 하루에 886건이나?
◆ 김언경> 네. 그런데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사실 굉장히 유행이잖아요, 다양한 의견과 국민 개개인의 사연이 오갑니다. 저는 이것이 일종의 공론장 역할도 하고 있고 신문고, 국민신문고 역할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데요. 이처럼 청와대 게시판이 활성화되면서 언론이 이것을 굉장히 많이 인용하기 시작한 거죠.
◇ 정관용> 맞아요.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 캡쳐뉴스원의 이번 보도는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비판하고 싶은 그런 언론사의 생각이 있었던 것 아닌가. 그래서 이 청와대 청원을 소재로 활용한 것 아닌가 이렇게 보이는데요.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뉴스원에서는 총 4건의 청원을 인용을 하거든요, 여기 보도에서. 그런데 뉴스원이 기사에서 한 청원인은 정부를 믿고 기다려야 할 국민들이 정부의 오락가락한 규제책과 하루아침에 바뀌는 규제들로 머리 아파하고 있다. 이제 규제책을 그만 내놓고 국민들께 사과해야 한다라고 말했다라는 기사가 있어요. 이 내용은 청원 중에서 서울 집값 잡으랬더니 수도권은 다 죽여놓고 이사도 못 가게 해 놓고 뭐하자는 규제입니까라는 9월 6일 게시물을 보고 쓴 것 같아요.
◇ 정관용> 그런데요?
◆ 김언경> 내용이 같은데 11일 오후 2시까지 고작 23명에 불과했습니다.
◇ 정관용> 23명?
◆ 김언경> 저희가 모니터링한 시기가 이 시기거든요. 그리고 뉴스원에서 다른 청원에는 과도한 규제로 시장경제의 흐름을 통제하지 말아달라며 불리하다 싶으면 정책을 냈다가 뒤집고 하는 아님 말고 식의 정책에 민심이 크게 실망했다라는 글을 토로했다라는 내용이 있어요. 이 내용은 또 청원 중에서 과도한 규제와 시장 논리를 무시하지 마십시오라는 청원을 인용해서 보도한 거예요. 그런데 이 청원의 참여인원은 달랑 1명입니다.
◇ 정관용> 1명.
◆ 김언경> 그리고 뉴스원이 또 사진만 보도했어요, 보도 내용은 없이. 그런데 부동산 정책 그만하세요. 살려주세요라는 청원이 있었거든요. 이 청원은 보도 당시 참여 인원은 37명이었고요. 저희가 모니터를 한 시기에는 11일 오후 2시였는데 그때는 107명이 청원에 참여를 했습니다. 그리고 또 하나 있는데. 뉴스원에서 불만이 확산되면서 부동산 정책 반대집회를 계획하는 움직임이 있다라는 그런 보도가 있었어요. 그런데 이 청원은 부동산 횃불집회 제가 주도하려고 합니다라는 9월 5일자 청원을 보고 쓴 거예요. 그런데 9일 뉴스원 보도 당시에는 이 청원에 대해서 500여 명이 참여를 했고요.
◇ 정관용> 그래도 이건 좀 많네요.
◆ 김언경> 그리고 11일 오후 2시에는 1071명이 참여를 했었습니다. 뉴스원이 인용한 4개의 청원은 모두 9월 5일에서 9월 7일에 작성되어서 최장 10월 7일까지 청원이 진행될 수 있습니다.
◇ 정관용> 앞으로 참여인원은 더 늘어나겠네요?
◆ 김언경> 늘어나죠. 그러나 청원이 올라온 지 고작 사나흘이 지난 시점에서 이 기사가 작성됐다는 것이고요. 더군다나 참여인원이 한 명에 불과한 청원까지 불만여론이다라고 등장시켰다는 것은 조금 너무 여론을 억지로 만들어내는 것 아니냐라는 지적을 하지 않을 수 없고요. 게다가 도리어 청와대 청원게시판에는 같은 시기에 정반대의 청원도 상당히 많았다는 겁니다.
◇ 정관용> 반대 청원이라면?
◆ 김언경> 그러니까 더 강력한 부동산 규제 및 투기억제를 요구하는 청원도 있었다는 거죠.
◇ 정관용> 당연히 그런 것도 있겠죠.
◆ 김언경> 예를 들면 서울 집값 안정화에 따른 교통혁신이 필요합니다라는 청원에서는 집값 안정화를 요구하면서 GTX 활성화를 방안으로 제시했고요. 이것은 참여인원이 저희가 모니터한 9월 11일 오후 2시에 5,434명이었습니다.
◇ 정관용> 이게 훨씬 많군요.
◆ 김언경>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합니다라는 9월 5일 게시글도 있었는데요. 이것은 정부가 집값을 잡기 위해서 추가로 내놓은 대책인 그린벨트 해제를 반대하면서 도심 노후화된 곳에 재개발, 재건축, 고도제한 완화 등의 정책을 대안으로 내놓은 그런 청원이었어요. 그런데 여기에는 참여인원이 4,579명이었습니다.
◇ 정관용> 이것도 훨씬 많고.
정부가 고강도 부동산대책을 발표할 13일 오전 서울 서초구 한 부동산 앞을 시민이 지나고 있다. (사진=박종민기자)◇ 정관용> 그러니까 뉴스원에서 부동산 규제를 좀 비판하고 싶은데. 청와대 국민청원게시판에 보니까 그런 비슷한 내용의 청원들이 몇 개 있더라. 그런데 그 반대되는 청원도 훨씬 많은 사람들이 동참하는데도 그건 눈 딱 감고 자기 입맛에 맞는 것만 골라 썼다? 그런 얘기군요.
◆ 김언경> 그리고 또 이 중에서 되게 황당한 게 있는데요. 뉴스원에서 아까 제가 말씀드릴 때 부동산 횃불집회 제가 주도하려고 합니다라는 청원이 있었고 여기 꽤 많았다고 했잖아요, 사람이. 그런데 이 청원을 보면 총대를 매고 광화문에서 부동산 폭등 횃불집회를 주도하려 한다, 동의하시는 분이 500을 넘기면 집회신청을 하고 실행에 나서겠다라고 말했는데 이 청원내용을 뉴스원은 그대로 보도에 썼습니다.
그런데 실제로 9일 보도 당시에 이 청원이 500이 넘은 상태였거든요. 그런데 뉴스원이 지난 5일 게시된 이 글은 이틀 만에 청원 동의 인원 500명을 넘었고 계속 늘어나고 있다라고 강조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막상 청원인이 500명이 넘어서자 7일 다시 청원글을 올립니다. 이 청원은 엎드려 사죄의 말씀을 드립니다라는 제목이었고요. 집회를 취소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습니다. 뉴스원은 9일에 보도를 했다고 그랬잖아요, 애초 이 보도가. 그런데 9일 보도에서 이 7일날 올렸던 취소의사를 밝히는 청원글은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 정관용> 그러니까 청원인이 이미 청원글을 내렸는데도.
◆ 김언경> 그렇죠.
◇ 정관용> 내리기 전 것을 그냥.
◆ 김언경> 그대로 올린 거예요. 그러니까 청원 당사자가 집회 취소를 선언하고 사과까지 했는데도 이것을 그대로 올렸다. 그리고 게다가 이게 제목이었어요, 이 보도에. 촛불집회도 예고 이렇게 써 있었잖아요. 이것은 정말 과장이고 허위보도라고 이렇게도 말할 수 있습니다. 아까 말씀드린 것처럼 지금 청와대 청원이 굉장히 화제가 되고 민원이 많이 여기에 모이는데요. 언론들이 이것에 대해서 이렇게 아전인수식으로 이렇게 자신이 원하는 유리한 내용만 그렇게 인용하는 것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라고 생각을 합니다.
◇ 정관용> 그렇죠. 청와대 청원뿐이 아니에요, 사실. 무슨 댓글 이런 것들. 누리꾼들의 반응을 살펴본다 그러면서 자기 입맛에 맞는 것만 인용하는 기사 얼마나 많습니까?
◆ 김언경> 그런 보도가 요즘 참 많습니다.
◇ 정관용> 수고하셨어요.
◆ 김언경> 감사합니다.
◇ 정관용> 민주언론시민연합 김언경 사무처장이었습니다.
[CBS 시사자키 정관용입니다] mhson2@cb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