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검색 결과(1,739)
-
-
-
-
-

[유머·엽기영상]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 '명태균 용역비'로 3천만원 지급했다
뉴스타파는 명태균 씨가 서울시장 보궐 선거 관련 비공표 여론조사 13건을 실시했고 오세훈 시장의 측근이 그 비용 3,300만 원을 지급한 사실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그런데 이 3,300만 원은 13차례의 조사 비용으로 보기에는 너무 적었습니다. 이같은 상황에서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지난 2021년 4월 서울·부산 시장 보궐선거를 전후로 명태균 씨에게 두 건의 여론조사 용역을 맡기고, 그 대가로 3천만 원이 넘는 용역비를 지급한 것으로 뉴스타파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여의도 연구원이 13 차례 여론조사 비용의 일부를 다른 명목으로 가장해 지급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드는 대목입니다. https://newstapa.org/article/XqNrA 국민의힘 여의도연구원, ‘명태균 용역비’로 3천만원 지급했다 (newstapa.org) ~~~ 이들의 거래는 또 있었다. 한 달 뒤인 2021년 5월 7일, 여의도연구원은 국무총리와 장관 임명에 관한 여론조사 용역을 미래한국연구소와 체결했다. 유무선 전화로 전국 1,000명을 조사하는데, 용역 금액은 450만 원(부가세 별도)이었다. 당시는 국민의힘이 김부겸 국무총리를 비롯해 장관 후보자 3명을 집중 공격하던 때였다. 야당인 국민의힘이 왜 이 같은 조사를 했는지는 의문이다. 계약서에는 지상욱 여의도연구원장이 등장한다. 국민의힘 차원의 용역 의뢰였던 것이다. 정리하면, 2021년 4월~5월 여의도연구원은 명태균 측과 총 2건의 여론조사 용역을 맺었고, 용역 비용으로 3,015만 원을 지급했다. 뉴스타파 보도 후 김 회장은 한 언론에 “오세훈 시장과 관계가 없는 여론조사”라면서 “당시 조사 결과는 김종인 위원장이나 여의도연구원으로 보고된 걸로 안다”는 입장을 밝혔다. 명 씨의 비공표 여론조사가 국민의힘 싱크탱크로 보고됐다는 얘기다. 이런 상황에서 여의도연구원이 보궐 선거 전후로 명 씨에게 용역을 주고 3천여만 원을 지급한 것은 또 다른 의미가 숨어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선거가 한창일 때 이뤄진 사전투표율 조사나, 문재인 정권의 총리와 장관 인식도 조사는 명 씨에게 돈을 주기 위한 일종의 ‘명목’이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국민의힘 일부 의원들은 그간 명 씨를 ‘듣보잡’, ‘사기꾼’ 등으로 비하해왔다. 그러나 국민의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이 명 씨와 공식적인 용역을 체결했다는 사실 자체만으로도 명 씨는 국민의힘과 내밀한 관계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국민의힘 차원에서 명 씨의 비공표(비공개) 여론조사를 보고 받았고, 그 대가를 용역 비용으로 보전해준 것이라면 이는 더욱 심각한 문제다. 뉴스타파는 지상욱 당시 여의도연구원장에게 일련의 의혹에 대해 묻고자 수차례 전화를 걸고 메시지를 남겼지만, 답변을 받지 못했다.
-
[유머·엽기영상] 수학 알려주기
Kid: I have homework to do but they're big numbers.아이: 숙제를 해야 하는데 숫자가 너무 커요.2. Adult: Lemme help you out! The first one is 20 + 40. In your head, imagine stacking the numbers above each other. You have the 0s on top of each other and the 4 and 2 on top of each other, okay? Now what's 0 + 0?어른: 내가 도와줄게! 첫 번째 문제는 20 + 40이야. 머릿속으로 숫자들을 서로 위에 쌓는 걸 상상해 봐. 0과 0을 서로 위에 놓고, 4와 2도 위에 놓는 거야. 이제 0 + 0은 뭐야?3. Kid: 0.아이: 0이에요.4. Adult: And then what's 4 + 2?어른: 그리고 4 + 2는 뭐야?5. Kid: 6.아이: 6이에요.6. Adult: What do you got?어른: 뭐가 나왔어?7. Kid: 60.아이: 60이요.8. Adult: Yes!어른: 맞았어!---9. Adult: The next one is 30 - 10. So, put the 30 over the 10. What is 0 - 0?어른: 다음 문제는 30 - 10이야. 30을 10 위에 놓아 봐. 0 - 0은 뭐야?10. Kid: 0.아이: 0이에요.11. Adult: And what's 3 - 1?어른: 그리고 3 - 1은?12. Kid: 2.아이: 2예요.13. Adult: Then what are you left with?어른: 그러면 무엇이 남아?14. Kid: 20.아이: 20이요.15. Adult: Bang, correct!어른: 맞았어!---16. Adult: The next one is 50 + 50. How are you gonna solve this based on what we've learned?어른: 다음 문제는 50 + 50이야. 우리가 배운 걸 바탕으로 어떻게 풀 거야?17. Kid: You stack the two numbers, then you add the two 0s, that gives 0. You add the 5s, and that gets 10. Then I get 100.아이: 숫자 두 개를 쌓고, 0 두 개를 더하면 0이 나와요. 5를 더하면 10이 되고, 그럼 100이 나와요.18. Adult: Yes!어른: 맞았어!---19. Adult: Let's do 83 + 92. What is 2 + 3?어른: 이제 83 + 92를 해 보자. 2 + 3은 뭐야?20. Kid: 5.아이: 5예요.21. Adult: And what's 9 + 8?어른: 그리고 9 + 8은 뭐야?22. Kid: 17.아이: 17이에요.23. Adult: Then what number do you get?어른: 그럼 어떤 숫자가 나왔어?24. Kid: 175.아이: 175이요.25. Adult: Yes!어른: 맞았어!---Kid: Alright, yay!아이: 좋아요, 야호!Adult: Really well done!어른: 정말 잘했어!
-

[엽기유머] 고1 재수 택하는 아이들...성적 위해 이런 일까지
또 한 명의 아이가 학교를 떠났다. 해가 갈수록 자퇴생의 수가 늘어나고, 자퇴를 결정하는 시기 또한 앞당겨지고 있다. 예년에는 대개 고2 때 결행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요즘엔 고1의 1학기가 끝나기가 무섭게 곳곳에서 마치 유행처럼 자퇴 이야기가 오간다. 요즘 자퇴를 고민하는 가장 큰 이유는 자신의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이다. 단 하나의 이유만으로 자퇴를 선택하지는 않겠지만, 고1이면 누구나 중학교 시절의 그것과 확연히 대조되는 성적에 적잖은 스트레스를 받는다. ‘내 성적이 이 정도밖에 안 되나’를 연신 되뇌게 되는 거다. 더욱이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 등 대입 수시 전형에서 절대적인 영향을 끼치는 내신 성적이 사실상 고1 때 결정되는 게 현실이고 보면, 그들의 자퇴는 합리적 선택처럼 느껴지기도 한다. 그들의 결심 앞에 신중하게 생각하라는 담임교사의 조언은 하나 마나다. 차라리 자신의 판단과 선택에 대한 책임은 본인이 져야 한다는 말이 더 효과적이다. 이미 고1 때 지원할 수 있는 대학이 정해진다는 걸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을 위해 잠깐 귀띔한다. 이른바 ‘모수’가 큰 공통 과목을 고1 때 이수하게 되어 있어서다. 고2와 고3 때는 교육과정상 대부분의 수강 과목이 선택 교과로 편성되어 내신 등급을 올리기가 여간 쉽지 않다. 특히 상위권 아이들의 경우엔 고1 성적이 대학의 ‘간판’을 결정한다. 1등급이 4%, 2등급이 11% 등으로 한정되어 있어서, 선택 과목의 수강생 숫자가 14명 이상이 되지 않으면 1등급이 산출되지 않는다. 보통 한 학급당 학생 수가 25명 안팎이라고 하면, 1등급을 받으려면 무조건 1등이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하여 아이들은 ‘모수’가 큰 고1의 공통 과목에서 등급을 올리지 못하면, 기회 자체가 사라진다고 여긴다. 명문고를 자처하는 일부 인문계고에서 ‘모수’를 늘리기 위해 하위권 아이들의 선택 과목을 ‘마사지하던’ 관행도 그런 이유로 생겨났다. 제도의 허점을 교묘하게 활용하는 교육 현장의 편법과 불법이 어제오늘의 일은 아니다. 자퇴의 이유가 무엇이었든, 가는 길이 다를 뿐 명문대 진학이 목적지인 건 동일하다. 고등학교 졸업 자격 취득을 위한 검정고시를 치른 뒤 수능에 응시하거나 다시 출신 중학교에 고등학교 재배정 신청을 하는 길이 있다. 성적의 ‘리셋’을 위해 1년이라는 시간을 기꺼이 투자한다는 거다. 최근 ‘중3 자격’으로 고등학교에 재입학하는 고1들이 부쩍 늘었다. 다시 고1 생활을 해야 하는 걸 두고, 그들은 재수한 셈 친다고 선선히 말한다. 고등학교 졸업 후 재수하는 것보다 훨씬 비용이 적게 들고, 공부의 효율도 높다고 여긴다. 수시와 정시, 두 가지 선택지를 다 쥘 수 있는 장점도 있어 자신의 선택을 ‘남는 장사’라고까지 자위한다. 만만치 않은 비용을 감수하며 기숙학원에 등록해 대입에 다 걸기 하는 방법도 있다. 이는 상당한 재력이 뒷받침되는 가정에서나 선택할 수 있어, 자퇴가 되레 다른 친구들의 부러움을 사는 경우다. 그들의 성공담은 인터넷 광고와 입소문을 타고 고1 교실에까지 널리 퍼져 있다. 기실 그들을 향한 아이들의 감정은 복합적이다. 내심 부러우면서도 불만 가득한 낯빛 또한 역력하다. ‘돈의 위력’에 기댄 그들의 향상된 수능 점수가 자신의 대학 진학의 장애물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대학과 학과마다 내걸린 수능 최저 등급이라는 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이 크다. 정부의 의대 정원 2천 명 증원 방침에 의대생과 전공의보다 더 크게 반발하는 이들이 고3 수험생이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그래서다. 기존의 의대를 지망한 ‘N수생’에다 명문대 공대생과 멀쩡한 직장인들까지 수능에 응시하는 상황에서 수능 최저 등급 맞추기는 당장 생존이 걸린 사안이 됐다. 고3 수험생에게 지금 직면하고 있는 의료 붕괴의 참혹한 상황은 차후 문제다. 내신 성적이든 수능 최저 등급이든, 어차피 상대 평가 체제에서는 ‘모수’가 많을수록, 대신 자기보다 성적이 높은 이들은 적을수록 유리하다. 누구든 자기의 성적이 신통치 않다면 상대방의 성적이 떨어지기를 바라게 된다. 성적이 엇비슷한 친구들은 모두 경쟁자이자 ‘적’이다. 반 친구의 자퇴 소식에 몇몇 아이들은 ‘현실적인’ 고민을 쏟아냈다. ‘모수’가 줄어들어 손해를 입게 됐다는 뜻이다. 특히 상하위 등급이 갈리는 언저리의 성적인 경우, 한명 한명이 너무나 소중하다고 하소연했다. 모르긴 해도, 자기보다 성적이 높은 친구가 자퇴했다면 쌍수를 들고 환영했을 것이다. 그들에게 학교생활은 오로지 명문대 진학을 목표로, 내신 성적 향상을 위한 무한경쟁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대입에 보탬이 안 되는 활동은 원천적으로 배제된다. 수능에 다 걸기 하는, 이른바 ‘정시 파이터’들은 협동 학습과 과제, 심지어 수행평가에도 일절 참여하지 않는다. 그들에게 학교는 ‘급식을 제공하는 독서실’일 뿐이다. 자세한 내용은 출처(기사)를 참고하세요 출처 :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47/0002451833
츠데츠데작성일
2024-11-11추천
0
-

[엽기유머] 블랙옵스6 올해 GOTY후보작 등록
https://www.purexbox.com/news/2024/11/xbox-has-one-game-of-the-year-nomination-at-the-golden-joystick-awards-2024 젠장 또 갤까흥이야? GOTY 후보에 오른 게임과 인터뷰를 진행했습니다.You're nominated for GOTY this year. Can you win? 올해 GOTY 후보에 오르셨는데 수상 할 수 있을까요? 애니멀 웰 (Animal Well) ???? 제가?? 갑자기???? 아스트로 봇 (Astro Bot) 당연히 나지ㅋㅋㅋ장난하냐?ㅋㅋㅋ 발라트로 (Balatro) ??????? 그럴리가 없는ㄴ데 검은신화 오공 (Black Myth: Wukong) 우리 못받고 가면 시진핑한테 죽어요 콜오브듀티 블랙옵스6 (Call of Duty: Black Ops 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후보에 껴넣어주긴했넼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드래곤 에이지: 베일가드 (Dragon Age: The Veilguard) 수상하게되면 온 세상을 PC주의로….. 파이널판타지 리버스 (Final Fantasy VII Rebirth) 어차피 안줄거잖아 ㅆㅂ련들아!!!!!!!!!!!! 헬다이버즈2 (Helldivers 2) 괜히 유저들하고 기싸움했네 씹…. 메타포: 리판타지오 (Metaphor: ReFantazio) …. 섀티스 팩토리 (Satisfactory) ㅈㄹ하지마세요 안사요~~~ 사일런트 힐2 (Silent Hill 2) 철권ㅆㅂ새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철권 8 (Tekken 8) 사힐 병신새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종합 분석] 2024년 GOTY는 이 게임이 받습니다. GOTY (골든 조이스틱 어워드) 전세계 게임 시장이 존나게 큰건 알고는 있을겁니다. 전세계 게이머 수는 34억 2200만명 자료=뉴주 ‘2024 글로벌 게임 마켓 리포트’. 올해 전세계 게임시장 규모는 약 1877억달러(한화 약 255조원) 에 이를 전망이다. 올해 이렇게 거대한 게임 시장에서 최고의 게임이라는 후보에 오른 게임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애니멀 웰 (Animal Well)아스트로 봇 (Astro Bot)발라트로 (Balatro)검은신화 오공 (Black Myth: Wukong)콜오브듀티 블랙옵스6 (Call of Duty: Black Ops 6)드래곤 에이지: 베일가드 (Dragon Age: The Veilguard)파이널판타지 리버스 (Final Fantasy VII Rebirth)헬다이버즈2 (Helldivers 2)메타포: 리판타지오 (Metaphor: ReFantazio)섀티스 팩토리 (Satisfactory)사일런트 힐2 (Silent Hill 2)철권 8 (Tekken 8)본인은 아래 3개의 게임으로 간추렸습니다. 아스트로봇 파이널판타지 리버스 검은신화 오공 그리고 매년마다 GOTY 게임을 맞췄던 사람으로써 가장 유력한 게임을 고르자면 “검은신화 오공” 갑자기 중국인, ㅉㄲ 이 ㅈㄹ 하지마세요 나름대로 이유가 있습니다. 자 여기 그 동안 GOTY 수상작 자료를 보실까요? GOTY는 단순한 투표율만으로 뽑지 않습니다. 내부에 언론사, 평론가, 웹진에서 자체적으로 소수의 심사단을 꾸려서 분석을 하여 투표를 거친 결정도 포함이 됩니다. 그렇게 해서 뽑힌 수상작들입니다. 몇가지 공통점이 있습니다. 실사풍 위주의 그래픽 스타일2. 모험 액션 RPG 장르 3. 화제성 님… 2021년도에는 It takes two가 받았는데요? 네.. 2021년도의 GOTY 후보작은 찾아보시면 안됩니다. 그때를 잊으셔야 합니다. 도저히 못 뽑을거같아서 준 게 잇 테이크 투 였습니다…. 자 다시 본론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아마 몇몇은 3개의 공통점에서 먼 게임일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몇년동안의 GOTY 행보를 보자면 저런 공통점을 띄고 있다는겁니다. 아스트로봇과 파이널판타지 리버스는 플스 독점작이었습니다. 정말 왠만하면 절대 독점작한테 안줍니다. (젤다의 전설은 너무 유명했고 그 당시에 닌텐도를 벗어나서 걍 게임시장에서 가장 큰 파급력을 불러왔습니다. 심지어 잘만들었음…..) 라스트 오브 어스2는 그럼 뭐냐??? 그 골프채를 제외하곤 그 당시에 기술력이나 아트, 테크니컬 그래픽, 네러티브 요소 전체적인걸 다 따졌을때 라오어2가 가장 유력했다는겁니다. 그래서 준겁니다. 제발 부탁인데, GOTY 수상을 골프채만으로 판단하지마세요 GOTY는 개발자들이 인정하는 게임한테 상을 준다 라고 해석하시면 됩니다. 유저들의 투표율도 무시는 못하는데 사실상 내부 심사단으로 인해서 거의 다 결정이 되는것이기 때문에 민심 어느정도 눈치는 보면서 판단을 하는것일뿐입니다. 그래서 단순히 재미있었다. 인기있다. 중국 게임이라 받으면 안된다. 심사위원들은 그런거 1도 신경안쓰고 주어진 항목에서 최고의 점수를 받은 게임에만 주는겁니다. 심사 항목에는 위에서 말한 모든 요소들을 다 포함시킬테고 그것들을 바탕으로 심사를 할겁니다. 아스트로봇은 그냥 잇테이크투와 같은 인디 게임과 다를게 없는 수준의 게임입니다. 굉장히 라이트하면서 가볍다는거죠. 얘를 줘버리면 나중에 마리오 게임한테도 줘야합니다. 그 정도라고 보면 됩니다. 무엇보다 독점작이었다는거, 그래서 아쉽게도 아스트로봇은 패스할겁니다. 파이널판타지 리버스도 똑같습니다. 이렇게 보시면 됩니다. 콜오브듀티는 왜 안줘? 철권은 왜 안줘? 피파는 왜 안줘? 디아블로는 왜 안줘??? 어쌔신 크리드는 왜 안줘??? 왜 안주냐고요?? 시리즈라서요. 시리즈라서 안주는겁니다. 엘든링은 왜 줬냐고요? 드디어 하나 준거에요. 그것도 기존에 소울시리즈가 아닌 오픈월드로 변경을 하였고 아트 스타일, 테크니컬적으로 크게 변화된 게임이었기 때문에 무엇보다 화제성으로 크게 성공을 했기때문에 준겁니다. 그것과 더불어 게임 내에 스토리도 제공되었죠. 여러 개발사나 심사단들이 봤을때 와 이 게임은 진짜 노력했구나 진짜 잘 만들었구나 이 게임에 주는 편이라고 보면 됩니다. 단순히 유저들이 보기에 아 이건 재미있다 아 이건 중국 게임이 아니네? 그럼 재밌다 이런걸로 주는게 아니에요. 오공은 올해 나온 게임중에서 가장 큰 화제성을 불러왔습니다. (화제성으로 드래곤에이지 베일가드 언급하지맙시다..) 그것도 콘솔뿐만 아니라 PC 여러 플랫폼에서 말이죠. 심지어 서유기 소설을 기반으로 한 네러티브적인 요소 오픈월드는 아니더라도 갓오브워4 스타일과 비슷하게 꾸려놓은 세계관 실사풍 그래픽, 거기다 액션성까지… 이것들이 전부 맞물린게 검은신화 오공 입니다. 무엇보다 팬 투표율로 봐도 중국 사용자들이 투표율 1위로 만들었다고 해도 OK 인정이 되는겁니다. 결국 팬 투표율이라서 검은신화 오공도 어쨌든 특정 국가에서라도 인기는 있구나라고 인정이 되는거구요. 한국인들이 스텔라 블레이드에 몰빵해서 투표하여 1등 만들면 되는건데 결국 그렇게 못했죠? 그럼 억울해하면 안됩니다. 그래서 팬 투표가 공정한겁니다. GOTY 운영측도 굉장한 이득을 보게 될거라고 상황을 좋게 바라볼겁니다. 이번에 중국 게임한테 최초로 GOTY 상을 주면 게임 산업에도 큰 기대 효과를 바라보게 되거든요. 이게 모두한테 결국 Win Win이 되어버리는 효과라서 이러한 영향점 무시하지 못할겁니다. 이런 정치적인 요소들까지 고려하게 된다는 가정하에 검은신화 오공이 받게 될것이라고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팩트체크] GOTY 후보인 메타포에 대해서 알아보자올해 GOTY 후보에 오른 메타포 리판타지오 이 게임은 출시전부터 국내 많은 게임 커뮤니티에서 입소문에 오르며 대호평을 받았던 게임이다. 일본 오타쿠들만 하는게 아닌 페르소나 IP를 활용한 신작이기에 인기 있을법도 하다. 그래서 이 게임의 실제 평가와 현재 인지도를 보여주려고 한다. 매우 긍정적 (8,575개) 출시일 : 10월 11일 한달도 안됐는데…. 대단하다 ㄷㄷㄷㄷ 응???? 논란의 그 게임… 드래곤 에이지: 베일가드 출시일: 11월 1일 대체로 긍정적 (12,947개) 메타포 이 게임한테 밀리는건가? 아닐것이다. 현재 접속자 통계치가 아직 남아있기 때문이다. 현재 88위를 기록중 11,125명이 즐기는중 캬… 역시 메타포다!! ????? 그 게임… 29위를 기록중 25,825명이 즐기는중…. 음……………… 아무래도 GOTY는 무리일거같다
곰이시작성일
2024-11-08추천
5
-
-
-
-
-

[스포츠] '이재성 풀타임+홍현석 교체 출전' 마인츠, 프라이부르크와 0-0 무
이재성은 풀타임을 소화했고, 홍현석은 후반전 교체로 출전했다.마인츠는 3일 오후 11시 30분(한국시간) 독일 프라이부르크에 위치한 유로파 파크 슈타디온에서 열린 2024-25시즌 독일 분데스리가 9라운드에서 프라이부르크와 0-0 무승부를 기록했다.마인츠는 3-4-2-1 포메이션을 가져왔다. 버카르트, 이재성, 네벨, 음웨네, 아미리, 사노, 카시, 라이취, 벨, 코어가 선발로 나왔고 젠트너가 골문을 지켰다. 이에 맞선 프라이부르크는 4-2-3-1 포메이션을 활용했다. 아다무, 그리포, 딘키, 도안, 오스테르하게, 에게슈타인, 귄터, 린하르트, 긴터, 쿠블러가 선발 명단을 채웠고 아투볼루가 골키퍼 장갑을 꼈다.프라이부르크가 포문을 열었다. 전반 19분 그리포의 크로스를 받은 쿠블러가 박스 안에서 헤더 슈팅을 시도했지만 공은 골문 왼쪽으로 벗어났다. 프라이부르크가 기세를 이었다. 전반 26분 도안의 패스를 받은 그리포가 박스 바깥에서 오른발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에게 막혔다.위기를 넘긴 마인츠도 반격에 나섰다. 전반 28분 카시의 크로스를 받은 사노가 박스 안에서 헤더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문 왼쪽으로 벗어났다. 프라이부르크가 기회를 잡았다. 전반 34분 딘키의 패스를 받은 아다무가 박스 안에서 오른발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에게 막혔다.프라이부르크가 아쉬움을 삼켰다. 전반 45분 에게슈타인의 패스를 받은 도안이 박스 바깥에서 중거리 슈팅을 시도했지만 상대 수비에게 막혔다. 그렇게 전반은 0-0으로 마무리됐다.후반전 첫 슈팅은 프라이부르크가 가져갔다. 후반 3분 그리포의 패스를 받은 에게슈타인이 박스 바깥에서 중거리 슈팅을 시도했지만 공은 골문 왼쪽으로 벗어났다. 마인츠도 기회를 잡았다. 후반 6분 이재성의 패스를 받은 카시가 박스 바깥에서 중거리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에게 막혔다.마인츠가 기세를 이었다. 후반 14분 음웨네의 패스를 받은 아미리가 박스 안에서 오른발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키퍼에게 막혔다. 마인츠가 아쉬움을 삼켰다. 후반 40분 박스 바깥에서 공을 잡은 코어가 오른발 슈팅을 시도했지만 골로 연결되진 않았다. 그렇게 경기는 0-0으로 마무리됐다.
정밀타격작성일
2024-11-04추천
0
-
-
-
-
-
-
-
문서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