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왕자

면죄자 작성일 11.04.29 22:54:46
댓글 4조회 6,579추천 1

130408523664623.jpg

 

<이우 왕자님 이야기>

이우-왕자.jpg
<의친왕, 순종, 영친왕, 고종>


일단 간단하게 짚고 넘어갑니닭


고종 - 순종 - 자식 없음

의친왕 - 장남 이건, 차남 이우

영친왕 - 장남 이구


이우-왕자_001.jpg
<고종>


이우-왕자_002.jpg
<의친왕>

이름은 이강이며 의친왕 또는 의왕, 1877년 출생-1955년 사망.

고종의 아들들 중 가장 총명하였으며 독립운동에 가담하고 적극 지지하였다.

순종이 왕위에서 후사가 없자 순종의 형제들 중 태자를 책봉해야 했는데,

형제 중 맏이였던 의친왕이 아닌 영친왕이 황태자가 되었다.

황태자 책봉에는 고종이나 순종이 관여할 수 없었다.

이는 일본에 적대적이며 기개가 넘쳤던 의친왕이 아닌 어린 영친왕을 황태자로 책봉해 좀 더 수월하게 국권을 침탈하려는 일본의 의도가 깔려있었다.

한편, 의친왕은 그 후에 더욱 적극적으로 독립운동에 관여했으며 1919년 대동단의 최익환 등과 협의, 대한민국 임시정부로 탈출을 기도, 만주 안둥에서 발각, 송환되기도 하였다.

그 뒤 여러 번 일본 정부로부터 도일을 강요받았으나, 거부하고 끝까지 배일정신을 지켰다


이우-왕자_003.jpg
<의친왕의 장남 이건>

유약하고 일본에 순종적이어서 창씨개명을 하고 일본에 귀화하는 등 친일 성향을 보였는데,

이에 이건 왕자는 아버지 의친왕의 미움을 샀다.

이건 왕자에 대한 자료는 많이 남아있지 않다.



그리고





이우-왕자_004.jpg
<의친왕의 차남 이우>

1912년 출생-1945년 사망.

독립운동에 가담했으며, 일본에 매우 적대적이었다.

아버지 의친왕의 기개를 닮았으며 총명하고, 수려한 외모에 왕족으로서의 위엄이 있었다.

조선인에게는 따뜻하고 너그러웠으나 일본인에게는 사납고 냉정하였고, "호랑이 같은 조선 왕족의 핵심"으로 불리며 일본의 감시·경계 대상이었다.


이우-왕자_005.jpg
<이우 왕자>



일본이 일본 왕족과 강제로 결혼시키려 하자, 이우 왕자는

"일본인과 결혼할 수 없다"며 버텼다.

독립운동가 유동렬의 딸과 정혼했지만, 결국 일제의 반대로 친일파 박영효의 손녀

박찬주와 결혼하는 '타협'을 했다고 한다.

일본인과 결혼하지 않은 것에 대해 고종은 "황실의 기상을 드높였다"며 크게 칭찬했다고 한다.

(일본은 자기네 왕족의 '급'을 높이기 위해 미혼의 조선 왕족은 일본 왕족과 결혼시키도록 지침을 정해두었다. 후에 황태자에 책봉된 영친왕 역시 일본 왕족과 결혼했으며, 이우 왕자의 형인 이건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루는 농부들이 서울로 올라와 왕자에게 호소하였는데,

일본군이 곡창 지대인 호남평야에 작전도로를 내며 땅을 가로챘는데

보상조차 해주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왕자는 즉시 일본군 사령부로 달려가 공사를 취소하라고 요구하였다.

일본 장교가 거절하자, 왕자는 총을 꺼내들며 그의 머리에 겨누고,

"나는 너 하나 죽여도 처벌 받지 않는다. 즉시 죽여주마."라고 위협하였다.

결국 공사는 취소되었다.


이우-왕자_006.jpg
<왜구들 사이에서 블링블링 빛이 나는 왕자님>


일본 육군사관학교 생도 시절 그는 일본인 급우들과 자주 마찰을 일으켜

일제의 요주 감시 대상이었다.

일본에서도 일본말이 아닌 조선말을 거의 사용하였으며,

조선 출신 생도에게는 조선말로 크게 호령하였다고 한다.



술자리에서는 일본 총독부에 의해 금지곡으로 지정된 '황성 옛터'를 부르며

고국에 대한 그리움을 달래기도 했다.



황성 옛터에 밤이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나

아 가엾다 이 내 몸은 그 무엇 찾으려고 끝없는 꾼의 거리를 헤메어 있노라

성은 허물어져 빈토인데 방초만 푸르러 세상이 허무한 것을 말하여 주노라

아 외로운 저 나그네 홀로 잠 못 이루어 구슬픈 벌레소리에 말없이 눈물져요

- 황성 옛터 中



또한, 일본군 정보 창모라는 직위를 통해 수집한 정보를 독립군에게 넘겨주는 등

독립군의 든든한 후원자이자 정신적 지주로 활약했다고 한다.



왕자는 1940년 육군대학 54기를 졸업하는 것으로 군사 교육을 마쳤으며,

1942년 소좌로 진급한 황족으로서 선봉에 서야 한다는 일본 정부의 정책에 따라

중국 산서성의 수도인 태원으로 전출되었다.

이후 북지방면군 제1사령부 정보참모로 근무하며 중좌까지 진급하였다.
왕자는 중국 태원에서의 근무 3년 동안 독립운동을 준비한다.



육사동기 이형석 장군에게 보낸 편지에는 "일본군복을 입고 있는 것이 부끄럽다.

우리 군복을 입고 당당히 살때까지 기다리라"고 전하기도 하였다.



이우 왕자는 정보참모로 있으면서 판세가 일본에 불리하다는 것이 판단되면 이 태항산의 유격대와 주변 백두산 근방의 독립군들, 일본군내의 한국병사들과 연합하여 일본의 관동군과 전투를 벌일 계획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만약 이 계획이 성공을 거두었다면, 대한은 우리의 힘으로 우리 황족을 중심으로 연합하여 당당히 일본으로부터 독립을 쟁취할수도 있었을 만큼 실효있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를 눈치챈 일본이 이우 왕자를 교육참모로 보직을 바꾸고,

히로시마에 발령을 내버렸다.

이에 왕자는 이제껏 쌓아놓은 탑이 무너질까 걱정하여 운현궁으로 들어가

장장 6개월을 버티며 전출을 거부한다.



그 사이 왕자는 자신의 계획이 실패로 돌아갈 것을 생각하고 자신이 키워놓은 태항산 유격대를 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에 편입시키고자 계속 태항산과 연락을 취하였다.



그러다 결국 설득 끝에 히로시마로 가게 되는데,

왕자가 히로시마에 간 그날 원자폭탄이 투하되면서 부상을 입는다.

이우 왕자는 병원으로 후송되었고 상태가 호전되는 듯 하였는데,

그날 밤 갑작스레 상태가 악화되어 사망한다. (8월 7일)

(이우 왕자를 눈엣가시로 여긴 일본이 왕자의 부상을 틈타 독살하였다는 설도 있다.)



후에 왕자의 시신은 조용히 귀국하여 경기도 마석에 모셔졌다.

공교롭게도 그의 장례식날에 일왕이 마침내 항복선언을 하니

바로 그날이 8월 15일이며, 왕자는 죽어서야 그토록 열망하였던 조국의 해방을 볼 수 있었다.


그 해 왕자의 나이는 34세였다.



이우-왕자_007.jpg
<순서대로 네번째, 두루마기 입은 사람이 이우 왕자>


이우 왕자는 "독립된 장래의 한국은 제국이 아니라 민국이 되어야 한다"는 말을 했다.

이 단 한문장에서 그가 얼마나 민주주의에 관심이 있었는지 알 수 있다.



그의 간호인은 "이우 왕자가 살아계셨다면, 한국의 초대 대통령이 되셨을 것"이라며 그를 회상했다. (현실은 이승만)


이우-왕자_008.jpg
<이우 왕자>


이우 왕자의 호칭은 "전하", 황실의 여동생들에겐 "운현궁 오빠"라 불렸다고 한다.

독립군 계획중 히로시마에서 피폭당해 사망




윌리엄 왕자 결혼식보면서 생각남..

면죄자의 최근 게시물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