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황제네로 작성일 13.02.08 14:31:49
댓글 4조회 6,336추천 9
 136030042912346.jpg

 

 

 

위안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둘러보기, 찾기

 

194588버마랑군에서 연합군 장교와 인터뷰 중인 중국인 위안부의 모습

종군위안부(한자從軍慰安婦, 일본어:從軍慰安婦(じゅうぐんいあんふ), 영어:Comfort Women) 또는 일본군 성노예(영어: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2차 세계 대전 동안 일본군의 성적 욕구를 해소하기 위한 목적으로 강제적이거나 집단적, 일본군의 기만에 의해 징용 또는 인신매매범, 매춘업자 등에게 납치, 매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본군에 징용 또는 납치, 매매되어 성적인 행위를 강요받은 여성을 말한다.

위안부의 구성원으로는 조선인을 포함한 중국인과 타이완인 등이 포함된다. 그 밖에 필리핀태국, 베트남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일본 제국이 점령한 국가 출신의 여성도 일본군에게 징발되었다. 생존한 사람들은 하루에 30번 이상 성행위를 강요당했다고 증언했으며 일본군 위안부 피해국 가운데 유일한 유럽 국가인 네덜란드의 얀 할머니는 1990에 세계 최초로 자신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임을 밝혔다. 2차 세계 대전 당시 네덜란드의 식민지였던 인도네시아(네덜란드령 동인도)에 살고 있던 얀 할머니는 KBS 다큐멘터리 <KBS 스페셜>과의 인터뷰에서 일본군의 성폭력을 피해 달아났다가 다시 일본군에게 잡혀왔다는 증언을 한 바가 있다. 얀 할머니의 고백 이후 엘른 판 더 플루흐 할머니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였음을 증언했다. [1]

이에 대해 일본 정부는 1994831무라야마 도미이치내각총리대신(총리)이 위안부에 대해서 사죄의 담화를 낸 바 있다.[2] 또한 1996하시모토 류타로 총리 역시 위안부에 대해서 사죄의 편지를 보낸 바 있다.[3] 아울러 이 문제가 샌프란시스코 평화 조약이나 양국간 각종 조약(한일기본조약 )따위로 법적으로 해결이 완료되었다고 주장하였다.[4] 한편 일본 측은 대한민국 정부 또한 미군을 위해 위안부와 비슷한 것을 운영한 적이 있었다고 주장한다.[5][6]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위안부 피해자 본인들은 일본 정부의 사과 의지가 부족하다고 생각하고 1992부터 현재까지 서울특별시종로구에 위치한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시위를 개최하고 있다.

 

 

목차

 [숨기기

1명칭

2개요

3증거

4차출 방법과 대상 그리고 규모

4.1유괴와 납치

4.2인원

5소송

6논쟁

6.1소수 주장

7국제사회의 일본의 반성 촉구

7.1미국 하원 본회의의 위안부 결의안

7.1.1경과

7.2각국의 위안부 결의안

7.3유엔 인권이사회 보고서

7.4수요시위

8관련 기사

9참고 자료

10같이 보기

11주석

12바깥 고리

 

[편집]명칭

일부에서 근로 정신대인 여자 정신대(女子挺身隊)와 위안부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여자 정신대와 위안부는 다르다. 여자 정신대는 일본 정부에 징용되고, 일반의 노동을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 반면 위안부는 일반의 노동 대신에 성적인 행위를 강요당한 여자를 일컫는다. '정신대''정신(挺身)''솔선하여 앞장선다'는 뜻으로 적절한 용어가 아니다.

대한민국 관계 법령에서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고 사용하고 있다. '위안부'라는 용어는 이 제도를 통해 '성적 위안'을 받은, 가해자 일본군 중심의 용어라는 문제가 지적되기도 하였으나 당시의 공식 문서에서 사용되고 있어 일본군 또는 정부의 개입 사실을 보여주는 용어라는 의미도 있다. 피해 여성 입장에서 본다면 이를 '성노예'로 부를 수 있으나 강한 어감 때문에 피해 여성들은 '성노예'라는 명칭에 부정적이다. '위안부' 관련 인권 단체인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에서는 관련 용어에 관한 연구와 논의를 꾸준히 벌이고 있는데, 1995년 제3차 일본군위안부문제 아시아연대회의 때부터 이 문제의 역사적 의미를 살리기 위해 '위안부'에 강제적·부정적 의미를 환기시키는 작은 따옴표를 붙여서 한국어로는 일본군 '위안부'라는 고유명사를 쓰고 영어로는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일본군 성노예)로 쓰기로 결의하였다.[7][8][9]1998 유엔 인권소위원회 특별 보고관의 보고서에서는 '일본군 성노예'(Japanese Military SE.Xual Slavery)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이 문제의 본질을 드러내는 국제적인 용어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문서 내용.[10]

일본 정부는 공식적으로 '종군위안부'(從軍慰安婦)라는 말을 사용하고 있으나, '종군'이라는 말에 내포된 자발적인 의미와 일본 극우 세력에서 쓰는 표현이기 때문에 옳지 못한 명칭이라는 지적이 있다.[11]

 

[편집]개요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위안부는 일제강점기 말기 전시체제 일본군 위안소로 연행되어 강제로 성폭행 당한 여성들을 일컫는 말이다. 2차 세계대전 당시 일본 정부는 중일전쟁태평양전쟁을 치르는 동안 일본 군인들의 성욕구를 채워주기 위해 집단적 성행위 장소인 이른바 군대 위안소를 제도화하고, 식민지 및 점령지 출신의 여성들을 전선으로 수송하여 성노예 역할을 강요했다. 일본군이 영내에 설치된 위안소에 식민지 여성들을 끌고 가 병사들을 상대로 강제적인 성노리개로 삼았는데, 이를 자기들 용어로는 "위안부"라고 불렀다. 위안부란 말도 실제로는 완곡어법에 불과했으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성노예였다. 특히 문제가 되는 부분은 여성들의 의사에 관계없이 강제로 끌고 가거나 혹은 "일자리를 소개시켜 준다", "공장에서 일하게 된다"라고 모집한 뒤 태평양 섬 등지의 외딴 곳에 성노예로 보냈다는 것이다.

심지어는 해당 지역의 일본군이 항복을 거부하고 자폭할 때 일본군의 비밀 누설 방지라는 말도 안되는 이유로 같이 죽도록 강요되기도 했다. 이를 옥쇄 정책이라고 한다.

당시 피해 여성들의 증언을 들어보면 구타, 가해는 일상다반사로, 군도나 칼 등으로 몸을 긋거나 담뱃불로 지지는 등 가히 고문에 가까운 생활을 하고 있었다고 한다. 매일 수십 명의 남자들을 상대하기에 성병에 걸리거나 임신 후 강제로 중절수술을 받고 건강이 악화되어 죽는 경우도 많았으며, 배식량은 극도로 떨어져서 영양실조도 많았다고 한다.

성노예 피해자들은 간신히 전쟁이 끝나도록 살아남았으나, 태평양 전쟁 이후 패전국으로서 일본의 전후보상 문제가 관련당사국들 사이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왔던 것에 비해, 위안부는 일제의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선 오히려 '일본군과 놀다온 더러운 여자들'이란 잘못된 오해와 편견의 대상이 되며 억울한 질타를 받기도 하다가, 나중에나 진실이 밝혀지고 육체적 및 정신적 피해 등을 포함해서 평생 그 후유증에 시달려야 했기에 지금도 일본 정부에 피해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이를 쉽사리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심하게 왜곡해서 받아들이는 게 문제가 있다. 일본 측의 입장은 크게 3가지로서 '위안부는 자발적으로 참가했다', '정당한 대가를 받았다', '피해보상의 근거가 없다.' 등으로 책임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자발적 참여의 근거로는 여성들의 서명이 담긴 문서와 일본 여성 참여의 증거 등이 있는데, 끌려온 여성들의 대부분은 글도 쓸 줄 모르는 경우가 많은데다, 취업 서류로 알고서 서명했다가 끌려간 경우라는 증언들로 볼 때 날조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대가론의 경우, 당시 '지불됐다'라는 임금 자체도 여성들에게 직접 전달되지 않았을 뿐더러 강제성과 인권 모욕의 경우는 대가로 어떻게 해결될 문제가 아니란 점에서 논점이 이탈된다. 하지만 실제 당시 여러 기록이나 증언들을 보자면 위안부의 징집 절차에는 친일파 조선인이 다수 협력했다는 점에서 부끄러운 사실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다.

피해 보상의 경우 독일의 경우보다도 더 피해 보상을 해줘야할 문제다. 왜냐하면 2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 정권은 전쟁으로 붕괴되어 그 후대 정권과는 완전히 분리되었고, 구 정부의 정통성 자체를 헌법상으로 부정하는 입장이다. 그래서 후대 정권에 전쟁 책임을 묻기는 좀 애매하지만, 도의적인 책임에 따라 후대 정권들이 나치정권의 시대를 후회하고 보상한다는 의미에서 배상을 하는 것인 반면 일본 정부는 그 때나 지금이나 기본적으로는 같은 정부다. 심지어 천황을 비롯한 국가 수뇌부 대부분과 군 지휘부도 대부분 전쟁 후까지 살아남았다. 전쟁 중의 지휘부 책임은 지금 정부가 계승해야 될 문제인 것이지만 정작 일본은 그 피해 보상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 게다가 동양인 여성들의 피해 보상에는 굉장히 둔감하던 일본 정부는 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 홍콩 등지에서 백인 성노예 피해자가 나타나자 즉각 사과하고 피해 보상을 한 사례가 있는 등 이중적인 태도를 나타내고 있다.

 

[편집]증거

19454 당시 중국 쿤밍에서 포로들을 조사했던 미 육군 조사보고서에는 일본 공장의 여직공을 뽑는다는 모집 공고를 보고 속아서 모집에 응했다는 당시 증언의 내용이 공개됐으며[12], 19371221 중국 상하이 주재 일본 총영사관 소속 경찰관이 보낸 문서에 황군장병 위안부녀 도래에 관한 의뢰의 건이라는 제목의 공문이 공개됐다.[13]

미국 의회조사국(CRS) 보고서에 미군이 미얀마에서 발견한 20여 명의 한국인 출신 '위안부'의 증언과 호레이스 언더우드 박사가 미국 정부에 보고한 일본군의 한국인 위안부 강제동원 기록, 네덜란드 정부문서기록보관소에 보관된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 자료 등을 증거로 제시했다.[14]

일본군이 조선인 부녀자 현황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위안부를 강제로 징집했음을 뒷받침해주는 판결문 기록이 발견되었다.

 

[편집]차출 방법과 대상 그리고 규모

 

[편집]유괴와 납치

일본 요시미 교수가 1980 우연히 발견한 위안부 관련 서류에는 중국 북부를 점령한 구 일본군의 참모가 위안소의 설치를 명령하는 내용 이 담겨 있었다.[15]

1956에 중국에서 행해진 일본인 전범 재판으로 스즈키 히라쿠 중장의 자필진술서에서 조선인과 중국인 여성을 유괴해 위안부로 만들었다는 진술이 적혀 있다.

교토시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주제로 한 전쟁의 진실을 말하는 모임에서 1942싱가포르에서 육군 헌병대 통역관으로 근무했던 나가세 다카시(永瀨隆·89) 씨는 조선 위안부들은 모두 군용선에 실려 왔다고 증언하였다. 그리고 당시 상부 명령으로 한반.도에서 온 여성들에게 일본어를 가르치러 와 있던 그에게 그 여성들은 싱가포르의 일본군 식당에서 일하기로 돼 있었는데, 이곳에 도착하자 (일본군이) 위안부를 할 것을 강요했다라고 하면서 억울함을 토로했다고 증언했다.[16]

인도네시아자카르타에서 위안소를 운영했던 일본인(아오치 와시오, 1967 야스쿠니에 합사) 네덜란드에서 진행된 전범재판소의 재판에서 "아오치는 194362 군정감부로부터 매춘업소를 개설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의를 제기했지만 재차 지시를 받은 후 이를 수용했다"라고 군이 위안소 설치를 지시했음을 인정했다.[17]

일본 국립국회 도서관 보관되어 있는 극동 국제 군사 재판의 문서 중에 인도네시아 모어섬에서의 일본 육군중위에 대한 심문조서에는 현지 여성을 강제로 '위안부'로 만든 사실이 진술되어 있다.

최근, 일본군 위안부가 사용했던 콘돔이 발견되었다. [18]

 

[편집]인원

일본군 위안부 총인원은 정확한 자료가 발견되지 않았으나 쥬오대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의 계산법에 의하면 약 20만 명으로 추정되고 있다.

 

[편집]소송

한국인 등을 중심으로 위안부였던 사람들이 일본 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했지만, 한일기본조약으로 해결 완료 등을 이유로 패소했다. 현재 일본 사법부에서는 전쟁 전 국가간의 배상이 법에 명시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인정하지도, 책임지지도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일부 법조인과 국회의원들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송신도 할머니의 재판을 변호하거나, 배상의 걸림돌인 전후보상법 개정을 시도하는 등 위안부 할머니들의 편에서 일하고 있다.[1]

2000에 도쿄에서 있었던 여성국제전범법정을 통해, 히로히토 천황과 일본 정부에 유죄를 선언했지만, 피고인이 부재했으며 강제력이 없는 민간 재판이었으므로 이 선언은 현재의 상황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유엔 인권위원회에서 20081031에 일본에 위안부 책임을 인정하는 첫 권고를 한 바 있다.[19]

일본 정부는 현재까지 배상 등에 소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어,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이 노령으로 사망할 때까지 시간을 끌어 연금을 지급하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도 있다. 또한 2009 일본 정부는 태평양전쟁 당시 강제 동원한 근로정신대 피해자들에게 후생연금 탈퇴 수당으로 1인당 99(1300)을 지급하는 등 일본의 전쟁범죄에 대해 책임지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20]

[편집]논쟁

일명, '고노 담화'라고 일컬어지는 위안부 관계 조사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에서 위안부 모집에 구 일본군이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이에 관여하였으며 강제연행을 인정하고 있지만, 일부 일본 우익 세력은 위안부는 강제연행은 없었으며 단순한 매춘부로, 인권침해는 없었다고 주장하며 고노 담화의 수정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유튜브 등의 매체를 이용하여 이러한 주장을 홍보하고 있으며, 동시에 일본에서 일본군 위안부 홍보활동을 하는 운동가들을 협박하여 공포 분위기를 조성하거나 활동을 방해하고 있다.[21] 하지만 바우넷 재팬등의 일부 시민단체는 여전히 200581 도쿄에 바우넷 재팬의 전 대표인 아츠 야오리의 유산으로 일본군 위안부 홍보관을 설립하는 등 일본의 전쟁범죄를 고발하고 있다.[1]

[편집]소수 주장

안병직 서울대 경제학과 명예교수는 "위안부를 일본 국가권력이 강제 동원했다는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 증언자가 있을 뿐인데, 이것은 참고자료에 불과하다. 강제 동원 증거가 없다고 해서 자발적이라는 것은 아니다. 강제와 자발 사이에 있는 엄청나게 많은 중간항이 있다. 한국에는 아직도 수많은 위안부가 존재하는데, 이들이 강제동원된 것이 아니라고 해서 자발적이라 말할 수 있나. 그들에게는 수많은 불가피한 사정이 있는 것이 아닌가?" 라고 말했다. [22]

군사평론가 지만원'수요시위 참가하는 할머니들의 건강과 혈색이 너무 좋아보인다.'고 이유를 들면서 '가짜 위안부가 아니냐?'면서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위안부를 '일본군 위안부''종군 위안부', '정신대'로 구분한 뒤 "진짜 피해를 본 '일본군 위안부'는 전체 20% 정도이며 어려운 형편에 스스로 성을 판 종군 위안부가 80% 쯤 된다더라"고 썼다. [23]

일본 우익은 '유가증권' 개념인 '군표'를 사용한 것을 들어 위안소 제도를 일종의 공창제와 같은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그 제도를 정당화하려고 하였다. 공창제와 비교해서 군 위안소는 전시라는 상황에서 군이 관리·운영함으로써 위안부 여성의 인권을 더 보장하기 힘든 면이 있었다.[24]

[편집]국제사회의 일본의 반성 촉구

[편집]미국 하원 본회의의 위안부 결의안

끊임없이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위해 노력한 미국 민주당 레인 에번스(Lane Evans) 전 하원의원

2007년 미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위안부 결의안을 제출한 민주당의 마이크 혼다 의원

일본 정부에게 위안부 존재를 인정하고 이 문제에 대한 책임을 질 것을 요구하는 위안부 관련 결의안(House Resolution 121) H. Res. 7592001년 처음 미국 하원에 소개되었고 2006년에 미 하원 국제관계 위원회에서 통과되었다. 일본계 하원의원을 포함, 공화당과 민주당 통틀어 50명이 넘는 의원의 지지를 받고 있는 이 결의안은 일본정부의 강한 로비활동에도 끝내는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정식 통과하였다.[25]

일본 정부가 결의안 통과를 저지하기 위해 하원의장과 주일 미국 대사를 지낸 민주당의 거물 토머스 폴리를 로비스트로 고용한 것으로 알려졌다.[26]

현지 시간으로 2007626, 392의 표차로 미 하원 외교위원회에서 결의안이 채택되었다.[27]

현지 시간으로 2007730, 만장일치로 미 하원 본회의에서 결의안이 채택되었다.[28][29]

[편집]경과

1999 미국 민주당 레인 에번스(Lane Evans) 의원,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 사실을 주장하여 미 의회 의사록에 기록으로 남기면서 이 문제를 이슈화. 레인 에번스 위원은 제2차 세계대전 때 일본에 의한 위안부의 사용을 비난하는 법안을 2000부터 꾸준히 미국의회에 상정해왔다.[1]

2001 - 1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2005 - 2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지 못함

2006912 - 3차 결의안 제출, 상정되고 심의됨. 회기가 지나 폐기됨.

2006- 에번스(Evans) 의원 파킨슨병으로 정계은퇴

2007131 - 미국 민주당 마이크 혼다(Mike Honda) 의원, 4차 결의안 제출

2007215 - 하원 외교위원회 아태 환경소위원회에서 위안부 청문회 처음 개최

2007626 - 결의안 외교위원회 상정, 찬성 39 대 반대 2로 통과

2007730 - 하원 본회의에서 만장일치 투표로 결의문 채택

마이클 혼다 의원은 이 날 하원 본회의에서 "이 결의안은 나의 스승이자 동료 의원이었던 에번스 전 의원의 끊임없는 노력 덕분"이라고 말함[30]

[편집]각국의 위안부 결의안

2007118, 네덜란드 하원은 일본군의 위안부 강제 동원에 대해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보상을 요구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다.[31]캐나다에서도 같은 해 1128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일본정부의 공식적인 사과와 책임을 촉구하는 위안부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채택하였으며[32], 1213에는 유럽의회가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33]2008311에는 필리핀 하원이 위안부 결의안을 채택하였다.[34]

[편집]유엔 인권이사회 보고서

유엔 인권이사회는 20081030 발표한 보고서를 통하여 일본이 위안부 동원에 대한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 보상하여 피해자의 존엄성을 회복시켜야 하며, 이를 학생과 대중에게 알리고 부인하지 말 것을 촉구하였다.[35]

[편집]수요시위

이 부분의 본문은 수요시위입니다.

수요시위는 대한민국 출신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매주 수요일마다 대한민국 주재 일본 대사관 앞에서 벌이는 항의 시위로, 19921810여 명으로 시작된 이래 현재까지 시위 참여 인원 3만여 명, 발표 문건 600여 건, 최고령 시위 참가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오래 지속된 집회이며 현재까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1]

[편집]관련 기사

사카모토 치즈코. 조명되지 못한 필리핀 위안부문제. 일다. 2006625.

박유하. 위안부 문제, '일본 때리기'만이 능사인가. 프레시안. 2007413.

박희정. 역사교과서 논란과 한 위안부여성의 죽음. 일다. 20081212.

윤정은. 위안부운동 지식인들 머리로 하는게 아니야. 일다. 2009318.

[편집]참고 자료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자료가 있습니다.

미국 하원의 위안부 결의

H. Res. 759 : 위안부 관련 결의안

H. RES. 121 (Engrossed-in-House) : 미국 하원에서 만장일치로 통과된 결의안

EBS 지식채널 E

일제하 일본군위안부 피해자에 대한 생활안정지원 및 기념사업 등에 관한 법률

이슈 털어주는남자 133-'미쓰비시와 말뚝'

[편집]같이 보기

미하원 위안부 결의안 121(en:United States House of Representatives House Resolution 121)

전쟁과 여성인권 박물관

스즈키 노부유키(ja:鈴木 信行)

일제시대의 강.(en:Rape during the occupation of Japan)

나치독일의 강.(en:Rape during the occupation of Germany)

전쟁 강.(en:War rape)

태평양 전쟁

일본 제국

일본의 전쟁범죄

오카무라 야스지

무라야마 담화 - 무라야마 총리가 1995년에 발표한 담화

고노 담화

아시아여성기금

마이크 혼다

레인 에번스 - 미국 의회의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채택을 위해 노력한 미국 하원 의원

조선여자근로정신대

이승연 - 일본군 위안부를 소재로 한 누드 영상집으로 파문을 일으킨 대한민국의 배우

일본의 성매매

성노예

가라유키상

백마사건(ja:白馬事件)

얀 루프 오헤른(Jan Ruff O'Herne)

 

주석

http://www.kbs.co.kr/1tv/sisa/kbsspecial/vod/1383556_11686.html 일본군 위안부 세계가 껴안다 - 1년간의 기록 2006225 방영

?閣?理大臣談話 平成六年八月三十一日 首相官邸

아베 위안부 사죄마음 변함없다

アジア女性基金事業?施しての?理手紙 首相官邸

http://www.nytimes.com/2009/01/08/world/asia/08korea.html?_r=1&scp=8&sq=Comfort%20Women%20Korean%20War&st=cse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067635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1997430).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위안부들 2 (증언집). 한울. ISBN 978-8946024175

군위안부 바로 알기 - 위안소/위안부. 한국정신대연구소. 2012116일에 확인.

3차 아시아연대회의 결의문 (HWP).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20061216). 2012116일에 확인. 관련 게시물영문 결의문(게시물) 참고.

링크 제목, 기타 설명.

위안부란 용어해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위안부 동원 강제성 있어" 미 정부 기밀문서 발견(조선일보)

"일제, 위안부 강제동원 영사관까지 개입했다" 당시 일본 문, 군대경찰 역할분담 입증

의회보고서, 아베총리 위안부발언 공개반박 연합뉴스 2007-04-09.

요시미 교수 정부는 위안부 진실을 외면, 20070312일 경향신문.

日軍 통역관 위안부 군용선으로 강제연행, 20070709 경향신문.

"일본군 위안소 설치 지시 판결문 발견"<교도> 연합뉴스 2007-04-11.

2차 대전 일본군 콘돔 발견 - 중앙일보2009610자 기사

유엔 인권위, 일본에 위안부 책임 인정 첫 권고

'99엔은 농락' 후생연금 수당에 분노 폭발

Daum 미디어다음 - 뉴스

'보수는 이렇게 말한다' 안병직 시대정신 이사장

지만원씨 '가짜 위안부' 의혹 제기 파문

김성재. 공창제는 진정한 대안인가. 한겨레21. 20041013.

미 하원 결의안 관련 기사: Congress backs off wartime Japan rebuke

정치인, 지지율 떨어지면 한국에 도발? 노컷뉴스 2007-03-07

'미 하원, 위안부결의안 ‘39:2’ 압도적 다수로 채택', 한겨레신문, 2007.6.27.

'하원, 35분 만에 위안부결의안 만장일치 통과' 2007.7.31. 매일경제

'하원 위안부 결의안 일지' KBS뉴스, 2007.7.31.

99년부터 3차례 발의이슈화, 조선일보 2007-08-01

네덜란드의회, 위안부 결의안 만장일치 채택, 조선일보, 2007.11.11.

캐나다도 에 사죄요구, 캐나다 한국일보 케이티타운, 200.11.30.

(단신) 유럽의회, '위안부 결의안' 채택, MBC뉴스, 2007.12.14.

필리핀 하원, 일본군 위안부 결의안 채택, 연합뉴스, 2008.3.12.

유엔 ", 위안부 동원 즉각 사죄.보상해야", 매일경제, 2008.10.31.

[편집]바깥 고리

나눔의 집 홈페이지

아래는 위안부 문제에 대한 홍보 만화 (또는 동영상) “다시 태어나 꽃으로이다.

다시 태어나 꽃으로 : 한국어/만화

Born again as a flower : 영어/만화

もう一度生まれたら  : 일본어/동영상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e역사관 - 대한민국 여성가족부 제공

일본군 위안부 - 독도수호지기 제공

미국 국립 문서 보관소 태평양 전쟁 당시 미군이 조선인 일본군 위안부를 조사한 자료가 보관되어 있다.

한국 정신대 문제 대책 협의회 홈페이지

전쟁과여성인권박물관 홈페이지

일제 강점하 강제 동원 피해자 유족회 홈페이지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 모임

 

 

 

 

-----------------------------------------

사진은 저작권이 영국공식문서 같은 것에서 온지라;;

함부로 못올리겠더군요.

 

업로드 문제로 일부단어(강.간, SE.X, 반.도, 성.기)는 본 내용과 다르게 수정했습니다.

 

내용이 엽기라 올려봅니다.

  
황제네로의 최근 게시물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