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지 스웨인은 35년간 자신의 모교
MIT와 하버드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가르쳐 온 선생이었다.
열다섯 살에 MIT에 입학할 정도로 공부에 천재적 소질을 보였던 그는
이들 명문대 학생들을 가르치다가 한 가지 사실을 발견하고 충격을 받는다.
그가 발견한 사실은 미국에서도 가장 뛰어난 두뇌를 가진 학생들이
제대로 공부하는 방법을 모르고 있다는 점이었다.
스웨인은 공부를 할 때 학생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것이 ‘공부법’이라고 생각했다.
시간과 노고를 들여서 가장 효율적인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제대로 된 방법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그가 35년간 학생들을 가르친 경험을 바탕으로 만년에 정리하여 펴낸 책이
How to Study (한국어판 제목 ‘공부책’)라는 짧은 책이다.
이 책에서 그가 정리한 올바른 공부 습관을 10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1. 가장 알맞은 책을 선택하라.
어떤 주제를 놓고 공부할 때는 자신의 수준에 딱 맞는 책을 골라야 한다.
모든 내용이 담긴 어려운 책이 아니라
초보적인 내용을 다룬 책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다.
‘피상적인 지식’은 늘 ‘기초적인 지식’일 수 있으나
기초적인 지식이’이 곧 ‘피상적인 지식’은 아님을 기억하자.
2. 한꺼번에 너무 많은 주제를 공부하지 마라.
공부하는 동안에는 지금 공부하는 주제에 온 힘을 다해 집중해야 하지만,
한 과목을 공부하다가 지칠 때는 다른 과목을 공부하는 것도 현명한 일이다.
여기서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은 한꺼번에
너무 많은 주제를 공부하기로 마음먹고 성급하게 뛰어들었다가
쉽게 포기하고 다른 것으로 넘어가는 식으로 힘을 낭비하지 말라는 것이다.
3. 서두르지 마라.
급할수록 돌아가라고 했다.
조급하게 굴수록 오히려 속도는 더 느려진다.
흔히 자기가 공부한 내용에 대해 생각할 시간이 없다고 믿기 쉽지만
공부한 내용에 대해 생각하지 않아도 되는 시간이란 건 없다.
이런 마음가짐을 가지고 끈기 있게 공부하다 보면
짧은 시간에 더 많은 것을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4. 적절하게 건너뛰는 능력을 익혀라.
책에 인쇄된 모든 단어를 반드시 다 읽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문단, 쪽, 때로는 장 전체를 건너뛰어야 할 때도 있다.
상황에 따라서 어느 부분을 건너뛰어도 좋은지 판단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물론 이것이 부주의하게 겉핥기 식으로 읽는 습관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5. 체계적으로 공부하라.
과목마다 시간을 정해 놓고 구체적인 계획에 따라 규칙적으로 공부해야 한다.
한 번에 한 과목씩만 공부하고 한 과목에서 다른 과목으로 옮겨 가며 체계적으로 공부하는 습관을 들이면,
언젠가는 휴식이나 오락 시간 없이 여러 과목을 자연스럽게 이어서 공부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6. 집중력을 키워라.
평범한 사람과 똑똑한 사람의 차이는
원하는 것을 향해 집중력을 발휘하는 능력에 달렸다.
제법 긴 시간 동안 한 가지에 완전히 집중(몰입)하는 훈련을 꾸준히 해야 한다.
그런 능력을 갖출 수만 있다면 그보다 더 가치 있는 일은 없다.
7. 응용하라.
공부한 것은 꼭 응용해 본다.
책으로 읽은 내용은 가능한 한 직접 관찰하고 실험하고 실제 현장에서경험하도록 한다.
이렇게 하면 배운 것이 진정 자신의 것이 된다.
책으로만 배운 지식은 그것만으로는 별 가치가 없다.
8. 반복해서 읽어라.
중요한 부분은 스스로 철저하게 이해했다고 생각될 때가지 거듭하여 읽는다.
영국 사회학자 허버트 스펜서는 이렇게 말했다.
“책 몇 권을 철저하게 읽는 것이 여러 권을 수박 겉핥기로 읽는 것보다 훨씬 낫다.”
9. 독서 카드를 만들어라.
책을 읽고 나면 독서 목록을 작성하고 배운 내용을 요약하여 독서 카드를 만든다.
이렇게 목록과 카드를 만들어 두면
예전에 공부한 내용이 필요할 때 다시 찾아서 활용할 수 있다.
배우고 익힌 내용을 모두 머릿속에 기억해 두기는 어렵다.
따라서 필요한 내용이 어디 있는지 알거나 스스로 알아낼 수 있는 능력을 길러야 한다.
10. 신체를 단련하라.
건강을 지키는 일이 책에서 읽은 지식을 머릿속에 쑤셔 넣는 것보다 훨씬 중요하다.
정신력을 극대화하려면 무엇보다도 몸이 건강해야 한다.
반대로 해석하면, 몸이 지치면 정신이 제 기능을 못한다는 말이 된다.
어떤 환경에서 가장 공부가 잘 되는지 관찰해 두었다가 그런 환경을 만들고 공부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