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보율 74%… 대부분 좁고 낡아 제대로 훈련 못해
인근 주민 반발 - 땅값 상승으로 신증설 엄두 못내
국방부가 군 구조개편과 첨단무기 도입 등을 통해 정예강군을 추진하고 있지만 열악한 훈련 여건이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거리가 멀고 파괴력이 뛰어난 첨단무기들이 속속 배치되고 있지만 가용 훈련장이 부족하고, 기존 훈련장들에 대해서도 이전과 폐쇄 요구가 날로 거세져 군 당국이 고심하고 있다.
7일 군 당국에 따르면 현재 우리 군의 훈련장 확보율은 소요 대비 약 74%에 그친다. 땅값 상승으로 신규 훈련장 용지 매입이 힘든 데다 지역 민원으로 기존 훈련장의 사용 여건도 악화됐기 때문.
전체 훈련장의 50% 이상인 육군의 야외훈련장 1700여 곳은 상당수가 1980년대 이전에 지어져 관련 시설이 낡고 규모도 작아 활용도가 크게 떨어진다.
실제 육군의 사단급 훈련장 대부분은 약 30만 m² 미만이어서 중대급 이하 보병부대의 전술훈련만 가능하다. 육군은 1000만 m² 이상의 대규모 훈련장 7곳을 보유하고 있지만 이 가운데 기계화부대의 전술기동을 위한 전용훈련장과 최신 화포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한 포병사격훈련장은 없다.
지난달 발간된 한국국방연구원(KIDA) 자료에 따르면 한국 육군의 경우 훈련장 한 곳을 병력 8만 명과 전차 360대가 사용하는 반면 일본 육상자위대는 병력 1만 명과 전차 60대가 사용하고 있다. 육군의 핵심 전력인 전차와 자주포 등을 갖춘 기계화대대의 훈련이 가능한 훈련장도 일본이 3배 많다.
군 관계자는 “전방의 보병사단과 여단들이 K1 계열 최신형 전차와 K-9 자주포를 갖춘 기계화부대로 속속 바뀌고 있지만 가용 훈련장이 없어 사격과 기동훈련을 제대로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육군 관계자는 “국방 개혁이 끝나는 2020년까지 훈련장 문제를 해결하려면 총 1조 원이 든다”며 “이를 위해선 연간 300억 원의 훈련장 용지 매입예산을 800억 원으로 올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런 열악한 사정은 공군도 마찬가지. 공군이 운용 중인 전투기의 공대지(空對地) 사격장 8곳 가운데 실무장(實武裝) 사격이 가능한 곳은 2곳에 불과하다.
나머지 6곳은 소음 민원 때문에 훈련탄을 이용한 가상훈련만 가능하고, 기본적인 이착륙과 저고도 침투훈련을 실시할 수 있는 시간과 횟수, 공역(空域)도 많은 제약을 받고 있다.
또 최신예 전투기인 F-15K가 배치된 대구기지 등 주요 공군비행장에 대한 해당 지방자치단체와 주민들의 이전 요구가 날로 거세져 ‘속앓이’를 하고 있다.
군 고위 관계자는 “실전 같은 훈련이 힘든 조건에서 유사시 최대 전투력을 발휘할 정예강군 육성은 구호일 뿐”이라며 “첨단전력을 제대로 운용할 훈련 여건을 갖추고 훈련장을 둘러싼 군민 갈등 해소를 위한 정 부차원의 대책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자료제공 :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