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주가를 예상할수 있는 매매기법이 있기는 한가요?

히토에짱 작성일 16.02.10 11:57:30
댓글 9조회 2,157추천 1

엔벨롭이나 macd도 현재현상을 가지고 움직이므로 올라가는쪽으로 수치가 갔다하였도 다음순간 미끄러지면...

결국 그런 하락세로 모양이 그려지는것인데....당연히 과거에 올라간 어느시점들이 있으면 그것이 마치 주가를 예측한것 처럼 딱 맞아 떨어지는것 처럼 보일뿐인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단지 기술적 기법으로는 그 주가를 예측하는건 잘못된것이라는 것이죠.....제 생각에는...ㅎㅎ

 

일본의 누가 오래전에 개발하여 큰재미를 봤다는 일목균형표도 과거의 곡선을 현재에 중첩하여(역사는 되풀이 된다는 원리) 미래의 곡선을 예측할수 있다는 이 기법도 어느정도의 기간으로 설정해야 되는지 모를뿐더러....모호한 구간이 많다(오를수도 있고 하락할수도 있는 암흑의 구간..ㅋㅋ)

 

내가 느끼기엔 그나마 가장 신뢰가 있는기법은 엘리어트의 파동이론인데....이것도 구간이나 모양파악하는게 뚜렷하게 어느형태가 나오는것이 아님...그래도 월가의 증권전문가의 인터뷰에 의하면 엘리어트의 파동이론은 급상승을 탄 주식에 적용하면 대략 언제사서 언제뺄지(매수와 매도시기)를 대략적으로 비슷하게 접근할 수 있다고 합니다.  tv 다큐 수학의 원리인가 거기서 본건데 달팽이의 원주율이나 이런 자연현상이 적용되는 원리가 만물의 법칙(만물에서 수치화 할수 있는 부분)이고 인간의 심리나 그려내는 모양에도 안정감이 적용되어 심리도 결국 그렇게 움직이게 된다고 합니다.)

 

주식으로 돈벌었다는 사람들의 책...그것도 시리즈로 나온 한두권도 아닌 3권 4권 짜리의 시리즈를 봐도 특별한 공식같은건 없습니다...주식이란 그만큼 공식화 할 수 없는 세게의 것 같습니다...

돈을 버는 사람은 그사람 나름의 노하우가 있긴하지만...이것도 수치화 할 수 있는게 아니라...오랜 경험상 생기는 머리속에 자리잡은 그냥 방법 즉 논리적으로 설명하거나 공식적으로 나타낼수 있는것이 아니라는것이죠...

 

건설업에 종사하는 저로서는...건설에서는 공사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가중치라는 것이 있는데...각 공정의 요소를 금액과 그 기간의 비중에 따라 하나의 건물이 완성되기 까지 각각의 아이템과 항목들에게 %를 부여하는것이죠...

 

주식프로그램을 만들줄 안다면 이런 가중치를 부여하여 몇몇 중요한 지표들을 설정할 수 있겠죠..

예를 들어 그 주식을 매수하는 요소중에 per는 5%를 넘지않는다(경험상 per의 비중을 수치화 하는작업), 분기매출이익은 10% 전망성 이나 호재는 50% 한달치 거래량 증가비는 20% 이런식으로 주식의 옥석을 가려내는 작업을 하고 적정가와 매도가도 공식화 하는것이죠...재무구조 실적 형편없는 개잡주도 한가지 호재에  상 을 몇번 치기도 하지만...조금만 장기적으로 보면 결국 요동치는 주식에 동요되지 않고 옥석을 가려낼 수 있게되는 거죠...

 

여기서 어려운점 몇가지...여러데이터를 적은시간에 얼만큼 빨리 확보하고 얼만큼 빨리 업데이트 할 수 있는가?

아무리 이런저런 수치를 너었다 할지라도 예상치 못한 변수로 주식은 하락할 수 있음.(과연 내가 만든 이 수치들이 얼만큼의 확율을 보장하는가?)

 

그래서 그런지 몰라도 주식책들은 대게 공식이나 수치보다는 문학적으로 말하는 느낌이 납니다. 어느책에는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다 부터 순리를 거스리지 말아..떨어지는 칼날을 잡지마라..등등

이과인 나로서는 수치나 공식을 신뢰하고 싶은데...단순한 방법을 택하라..라든가..무릎에사서 어깨에서 팔라...손절을 잘하라 든가 하는 정확하지 않는 디테일성이 없는 이야기들 뿐입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주식을 예측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히토에짱의 최근 게시물
  • 엔돌핀이조아16.02.10 12:32:04 댓글
    0
    책에서 본건대 예측이 아닌 대응이라는 글을 본거같네요
    저같은경우 최근에 공부를 하여 보조지표를 이용해보고 있는대 (말씀하신 macd포함)
    아직까지는 유용하게 쓰고 있습니다... 물론 이제 활용하기 시작했습니다~ ^^;;
  • 히토에짱16.02.10 20:34:11 댓글
    0
    도움 주시려 답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상은 이주식이 오를거야 안오를거야를 판단하는것이고...대응은 오르니까 매수하고 내리니까 손절한다라는 의미같은데...어쨌든...이것도 예상만큼 어려운 일이더군요..팔고싶어도 못팔고 사고싶어도 못사는경우도 허다하니까요...
    그리고 macd가 무용지물이라는게 아니라 보조지표로 활용은 가능하겠지만.즉 다시말해서..들리는 뉴스도 좋고 모양도 예쁘고 거기다 상승의 기운마저 감돌고 나름 정보도 갖고 있는데..이런주식이 macd가 매수시점이면 그만큼 확율이 좋겠지만(그런다고 꼭 오르는것도 아니지만)....독자적으로 예상가능한 지표를 이야기 한 것입니다.
  • 미꾸라지16.02.10 16:52:13 댓글
    0
    예측 못합니다.
    내가 가게를 한다고 해도 당장 오늘 매상이 늘지, 줄지 모르는데.. 내일 일을 어떻게 아나요? ㅡㅡ
    모릅니다.


    요령은... 남들보다 덜 틀리면 되는거라고나 할까요?
    저같은 경우는 한개의 포트폴리오를 대략 20~30개 종목으로 구성하고
    하나의 종목에 대해서도 대략 반년~일년에 걸쳐서 분할 매수 합니다.
    각각의 진입시점과 추가매수 시점 기준은 나름의 기준이 있지만..
    뭐..대충 포트폴리오 하나 완성하는데 일년~일년반 정도는 걸리는군요.
    이렇게 하면 시기적/종목적으로 분할 매수하면서 최저점은 아니지만 근접해서 매집할 수 있거든요.
    매도도 마찬가지로 분할매도로 하고요.

    저평가된 주가가 제자리를 찾는데 보통 1년 반에서 4년정도 걸립니다.
  • 히토에짱16.02.10 20:35:16 댓글
    0
    그렇군요...답변 감사합니다.
  • 날개잃은박쥐16.02.10 20:43:41 댓글
    0
    예측은 가능하지만.. 맞다라는 보장은 없습니다. ㅋㅋ
  • 남배우16.02.10 23:03:26 댓글
    0
    저는 초보라 드릴말씀이 ㅜㅜ;; ㅈㅅㅈㅅ
  • SkyGOLD16.02.11 10:45:07 댓글
    0
    지인중 단기매매의 달인이 한 분 계신데 그분의 말을 빌리자면
    일목균형표를 활용할 때

    기간설정의 경우 종목에 기법을 맞추는게 아닌 기법에 종목을 맞춘다 하였습니다.

    위에 말씀하신 엘리어트 파동이론을 근거하여 기법에 맞는 종목이 그 기법의 심리회귀가
    일치하는 점을 활용한다고 볼 수 있지요.


    위에 말씀하신 가중치를 수학적 개념으로 접근하는 방법은 사실 시장에서 머무르다 보면
    상당히 위험한 발상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영업이익률이 10% , per 5 인기업과 영업이익률 10% per 10인 기업을 볼 경우
    단순 수학적 근거로는 per5인기업이 싸게 느껴질 수 있는데 전망에 대한 가중치만으로 설정할
    경우
    기업이 유기성이 살아 있는 회사임을 감안하지 않고 접근하는 점이 첫째 리스크 이며
    둘째는 기업이 속한 산업군을 고려하지 않은것.
    마지막으로 , 해당기업의 활동이 향후 어떻게 흘러갈지에 대한 조사가 반영되지 않았기에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시장의 흐름이 약세로 전환되거나, 군중의 평가가 과매도 수준으로
    흘러간다면 꽤 의미있는 수치의 손실이 발생하거든요.

    공학적으로 접근하고 싶으시다니 그 분야에서 성공한 조엘그린블란트와
    퀀트가 잘 맞으실 것 같습니다.

    벤저민 그레이엄 또한 숫자로 해석해서 리스크를 상당히 줄였으니

    각 대가들의 투자법을 참조하시면 의미있는 배움이 되지 않으실까 합니다.


    그리스의 철학자 고르기아스는
    "진실은 존재하지 않으며,
    또 존재한다고 해도 인간은 그것을 알 수가 없고,
    알 수가 있다고 해도 남에게 전할 수 없다." _ 고르기아스
    라고 말했으며

    영국의 철학자 '데이비드 흄' 은
    인간은 본인의 경험에 의한 사실에 입각해 판단을 하게된다.
    라고 말하기도 하였습니다

    영국의 철학자 칼 포퍼 역시 '열린 사회와 그 적들'에서
    경험적 진실조차 절대적으로 확실하게 알 수는 없다.
    라고.
    통찰적인 시각에 대해서 서술하기도 하였습니다.


    다방면에 대한 공부를 통하여 지식을 쌓으셔서.

    건승하시길 기원합니다. 화이팅~
  • 미꾸라지16.02.11 18:11:59 댓글
    0
    역시. SkyGOLD님. .. ㅋ
  • 홈런왕이승엽16.02.12 22:02:26 댓글
    0
    기술적 분석은 그래프를 보고 하는 방법인데... 20일 저지선을 뚫고 어쩌고 하는게 분명히 과학적으로 근거가 있습니다.. 왜냐면 등락을 하다보면 많은 투자자가 묶여 있는 구간이 생기고 그 구간을 뚫고 올라가거나 뚫고 내려간다는 것은 이 구간의 투자가 더 많은 수익을 날것으로 인식하고 안판다는것이거나 더이상 추가매수를 할 의지나 자본이 없어 떨어져도 별수 없다는 식으로 볼수 있는거죠.

    그리하여 그래프로 투자자들의 심리를 읽는 것입니다.

    다만 지금처럼 대세 하락장에는 별의미 없습니다.

    그리고 또하나 몇백프로 이익을 올리는 대박 주들은 현존하는 기법으로는 그 상한점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뭔가 내부자료가 있거나 믿는 구석이 있는 사람이거나 몇년씩 장기투자를 하는 사람만이 누릴수있는 수익이지요.

    그러니 심리를 읽고 그래프를 분석하여 접근하기보단 어떤기업이며 어떤비전이 있으며 어떤 성장동력과 미래전망, 현금흐름 등을 분석해서 확신히 섰을때 몇년정도 넣어둘 생각으로 보유하는게 정답입니다.

    참고 인내할 수있는 확신이 무엇보다 중요하죠. 가깝고 잘알만한 회사부터 시작해보세요
  • zcui2316.03.01 09:57:25 댓글
    0
    기술적기법 = 지표 는 아닙니다. MACD, RSI, Bollinger bands, CCI 등등 대부분 지표들은 단지 과거의 가격을 여러가지 계산을 통해 어떤 의미를 부여한 수치를 얻어내는것인데 이것은 계산을 거치기전의 데이터에 비해 새로운 정보가 들어있진 않습니다. 이러한 지표들보다는 거래량같은 수치를 더 주의깊게 지켜보는게 도움이 될것입니다. 제생각에 기술적기법이란 매순간 다른투자자의 입장이 되여서 상황의 변화에따라 그들의 심경변화를 느끼는것입니다.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4594 으르렁드르렁 2025.04.03 14,981 2
4593 씨불알년 2025.03.29 37,875 0
4592 라면치즈 2025.03.22 65,790 1
4591 소소한재미 2025.03.21 68,788 2
4590 KumaKwaii 2025.03.20 72,634 3
4589 보라오징어 2025.03.15 94,513 1
4588 으르렁드르렁 2025.03.06 131,091 0
4587 대지공구 2025.03.01 151,721 0
4586 아로미아빠2 2025.02.28 156,093 2
4585 대지공구 2025.02.15 189,192 1
4584 오쭈리 2025.02.08 208,576 1
4583 아마존상어 2025.02.03 221,568 0
4582 특수전게릴라 2025.01.29 235,627 3
4581 드레날린2 2025.01.25 244,836 3
4580 오쭈리 2025.01.18 263,553 1
4579 찐만두두빵 2025.01.14 276,857 3
4578 코코로336 2025.01.07 297,846 2
4577 스윗데쓰 2025.01.05 310,633 38
4576 내이랄줄알았다 2025.01.01 318,688 4
4575 감성적인 2024.12.30 294,706 0
4574 하이안녕 2024.12.21 313,458 2
4573 아마존상어 2024.12.19 310,686 1
4572 불꽃웅이 2024.12.18 301,005 4
4571 감성적인 2024.12.16 306,163 1
4570 전봉삼 2024.12.12 296,050 4
4569 스윗데쓰 2024.12.10 306,353 31
4568 모하비타자 2024.12.10 276,034 3
4567 오스랑키인 2024.12.10 272,387 0

재테크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