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4·3 완전 해결 약속..국가폭력 의한 고통 깊이 사과"

심의 허준 작성일 18.04.03 11:29:01
댓글 8조회 1,122추천 12

현직 대통령으로 盧이어 두 번째 추념식 참석.."대통령으로서 사과" 명시

"4·3 진실은 역사의 사실" 선언.."희생자들 억울함 풀고 명예 회복하게 할 것"
"무고한 양민, 이념에 희생..평화·상생은 이념 아닌 진실 위에서만 설 수 있어"
"아직도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 보는 사람 있어..아픈 역사 직시해야"
"공정·정의로운 보수·진보가 정의로 경쟁하고 공정으로 평가받아야"

20180403110036029ptnn.jpg

4ㆍ3 70주년 추념사 하는 문 대통령 (제주=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희생자 추념식에서 추모사를 하고 있다. hkmpooh@yna.co.kr

(서울=연합뉴스) 노효동 이상헌 박경준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3일 "저는 오늘 4·3의 완전한 해결을 향해 흔들림 없이 나아갈 것을 약속한다"며 "더는 4·3의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이 중단되거나 후퇴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제주 4·3평화공원에서 열린 4·3희생자 추념일 추념사에서 이같이 언급한 뒤 "4·3의 진실은 어떤 세력도 부정할 수 없는 분명한 역사의 사실로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4·3 추념식에 현직 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참석 이후 12년 만이다.

문 대통령은 "김대중 정부는 4·3진상규명특별법을 제정하고 4·3위원회를 만들었고, 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으로서 처음으로 4·3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인정하고 위령제에 참석해 희생자와 유족·제주도민께 사과했다"며 "국가폭력으로 말미암은 그 모든 고통과 노력에 대해 대통령으로서 다시 한 번 깊이 사과드린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국가권력이 가한 폭력의 진상을 제대로 밝혀 희생된 분들의 억울함을 풀고 명예를 회복하도록 하겠다"며 "유해 발굴 사업도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끝까지 계속해나가겠다"고 약속했다.

또 "유족과 생존·희생자의 상처와 아픔을 치유하기 위한 정부 차원의 조치에 최선을 다하는 한편 배·보상과 국가트라우마센터 건립 등 입법이 필요한 사항은 국회와 적극 협의하겠다"며 "4·3의 완전한 해결이야말로 제주도민과 국민 모두가 바라는 화해와 통합, 평화와 인권의 확고한 밑받침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180403111908301ifsu.jpg

제70주년 4ㆍ3희생자 추념식 입장하는 문 대통령 (제주=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 희생자 추념식에 입장하고 있다. 4·3 추념식에 현직대통령이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두 번째로, 2006년 노무현 전 대통령 이후 12년 만이다. 2018.4.3 hkmpooh@yna.co.kr

이어 문 대통령은 "아직도 4·3의 진실을 외면하고 낡은 이념의 굴절된 눈으로 4·3을 바라보는 사람이 있고 아직도 대한민국엔 낡은 이념이 만들어낸 증오와 적대의 언어가 넘쳐난다"며 "이제 아픈 역사를 직시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 대통령은 "낡은 이념의 틀에 생각을 가두는 것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이제 대한민국은 정의로운 보수와 정의로운 진보가 '정의'로 경쟁해야 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공정한 보수와 공정한 진보가 '공정'으로 평가받는 시대여야 한다"며 "정의롭지 않고 공정하지 않다면 보수든 진보든 어떤 깃발이든 국민을 위한 것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삶의 모든 곳에서 이념이 드리웠던 적대의 그늘을 걷어내고 인간의 존엄함을 꽃피울 수 있도록 모두 함께 노력해 나가자"며 "그것이 오늘 제주의 오름들이 우리에게 들려주는 이야기"라고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저는 오늘 여러분께 제주의 봄을 알리고 싶다. 비극은 길었고 바람만 불어도 눈물이 날 만큼 아픔은 깊었지만, 유채꽃처럼 만발하게 제주의 봄은 피어날 것"이라며 "혼신의 힘을 다해 4·3의 통한과 고통, 진실을 알려온 생존·희생자와 유가족, 제주도민께 대통령으로서 깊은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이어 "70년 전 제주에서 무고한 양민들이 이념의 이름으로 희생당했고, 이념이란 것을 알지 못해도 도둑·거지·대문 없이 함께 행복할 수 있었던 죄 없는 양민들이 영문도 모른 채 학살당했다"며 "4·3은 제주의 모든 곳에 서려 있는 고통이었지만 제주는 살아남기 위해 기억을 지워야만 하는 섬이 됐다"고 말했다.

20180403111908471jxpg.jpg

문 대통령 내외 '희생자들의 넋을 기리며' (제주=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부인 김정숙 여사가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 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추모비를 참배하고 있다. 2018.4.3 hkmpooh@yna.co.kr

문 대통령은 "1960년 4월 27일 관덕정 광장에서 '잊어라, 가만히 있어라' 강요하는 불의한 권력에 맞서 제주의 청년 학생들이 일어섰고, 수많은 4·3 단체들이 기억의 바깥에 있던 4·3을 끊임없이 불러냈다"며 "4·3을 기억하는 일이 금기였고 얘기하는 것 자체가 불온시 되었던 시절 4·3의 고통을 작품에 새겨 넣어 망각에서 우리를 일깨워준 분들도 있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유신독재의 정점이던 1978년 발표한 소설가 현기영의 '순이 삼촌', 김석범 작가의 '까마귀의 죽음'과 '화산도', 이산하 시인의 장편서사시 '한라산', 3년간 50편의 '4·3연작'을 완성했던 강요배 화백의 '동백꽃 지다', 4.3을 다룬 최초의 다큐멘터리 영화 조성봉 감독의 '레드헌트', 오멸 감독의 영화 '지슬', 임흥순 감독의 '비념'과 김동만 감독의 '다랑쉬굴의 슬픈 노래', 고(故) 김경률 감독의 '끝나지 않는 세월', 가수 안치환의 노래 '잠들지 않는 남도' 등을 일일이 열거했다.

문 대통령은 "때로는 체포와 투옥으로 이어졌던 예술인들의 노력은 4·3이 단지 과거의 불행한 사건이 아니라 현재를 사는 우리들의 이야기임을 알려줬다"며 "드디어 우리는 4·3의 진실을 기억하고 드러내는 일이 민주주의와 평화, 인권의 길을 열어가는 과정임을 알게 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지금 제주는 그 모든 아픔을 딛고 평화와 생명의 땅으로 부활하고 있다"며 "우리는 오늘 4·3 영령들 앞에서 평화와 상생은 이념이 아닌 오직 진실 위에서만 바로 설 수 있다는 사실을 다시 확인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좌우의 극렬한 대립이 참혹한 역사의 비극을 낳았지만 4·3 희생자와 제주도민은 이념이 만든 불신과 증오를 뛰어 넘어섰다"며 "고 오창기님은 4·3 당시 군경에게 총상을 입었지만,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해병대 3기로 자원입대해 인천상륙작전에 참전했고, 아내·부모·장모·처제를 모두 잃었던 고 김태생님은 애국의 혈서를 쓰고 군대에 지원했다. 4·3에서 '빨갱이'로 몰렸던 청년들이 죽음을 무릅쓰고 조국을 지켰다. 이념은 단지 학살을 정당화하는 명분에 불과했다"고 했다.

문 대통령은 "제주 하귀리에는 호국영령비와 4·3희생자 위령비를 한자리에 모아 위령단을 만들었다. '모두 희생자이기에 모두 용서한다는 뜻'으로 비를 세웠다"며 "제주도민이 시작한 화해의 손길은 이제 전 국민의 것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80403111908584hlqr.jpg

4ㆍ3 추념식 국기에 경례하는 문 대통령 (제주=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3일 오전 제주시 봉개동 4ㆍ3 평화공원에서 열린 제70주년 4ㆍ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국기에 경례하고 있다. 왼쪽부터 생존자 양경숙 씨, 양조훈 평화재단이사장, 이중흥 행불인협의회장, 최고령자 홍순 씨, 문 대통령, 김정숙 여사, 최고령자 현경아 씨, 양윤경 4ㆍ3유족회장. 2018.4.3 hkmpooh@yna.co.kr

문 대통령은 "4·3의 진상규명은 지역을 넘어 불행한 과거를 반성하고 인류의 보편가치를 되찾는 일"이라며 "4·3의 명예회복은 화해와 상생, 평화와 인권으로 나가는 우리의 미래"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제주는 깊은 상흔 속에서도 지난 70년간 평화와 인권의 가치를 외쳐왔고, 이제 그 가치는 한반도의 평화와 공존으로 이어지고 인류 전체를 향한 평화의 메시지로 전해질 것"이라며 "항구적인 평화와 인권을 향한 4·3의 열망은 결코 잠들지 않을 것이며, 그것은 대통령인 제게 주어진 역사적인 책무"라고 밝혔다.

rhd@yna.co.kr

honeybee@yna.co.kr

kjpark@yna.co.kr 

 

http://v.media.daum.net/v/20180403105851652?rcmd=rn

심의 허준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