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짜뉴스 창구돼버린 유튜브에 책임 물어야 한다

Cross_X 작성일 18.09.29 17:42:49
댓글 11조회 2,602추천 8
허위정보 부추기는 막강한 미디어 플랫폼 유튜브, 왜 한국에선 영향력에 걸맞은 책임을 지지 않나

[미디어오늘 금준경 기자]

 

문재인 대통령 건강이상, 노회찬 전 의원 타살, JTBC 태블릿 PC 조작, 5·18 북한군 개입, 문재인 정부 고려연방제 추진.
 

‘가짜뉴스’라고 불리는 허위정보가 쏟아지고 있다.

이들 소식을 다루는 ‘보수우파’ 유튜브 채널들은 최근 몇 달 사이에 구독자를 크게 늘렸고 관련 영상은 적게는 수만 많게는 수십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

이제 한국도 허위정보로부터 자유롭지 않다. 핵심 창구는 유튜브다.
 

이런 가운데 한겨레가 허위정보의 탄생과 유통과정을 추적해 주목 받고 있다.

기독교단체는 난민과 동성애 혐오 허위정보를 퍼 나르는 공장이 됐고, 보수 유튜브 채널들은 정치적 허위정보를 퍼나르고 있었다.

한겨레에 따르면 구독자 수 상위 40개 ‘보수우파’ 채널 가운데 28곳이 허위정보 하나 이상을 다뤘고, 서로의 허위정보를 인용하는 방식으로 확대재생산하면서 하나의 생태계를 이뤘다.

 

153821049328926.jpg

▲ 유튜브가 직접 선별한 인기영상 가운데 허위정보나 편향적 내용을 담은 콘텐츠 화면 갈무리.
 

 

무엇을 할 것인가.

언론과 정치권은 대안으로 ‘규제’를 쉽게 말하지만 표현물 규제는 역효과가 크다.

허위정보를 유통하는 사업자들을 처벌하겠다는 건 ‘진위’ 여부를 즉각 판단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실에서는 모호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문재인 치매’를 단정한 영상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치매설’이라며 의혹제기를 한 영상이라면 까다로워진다.

그걸 막게 되면 과거 이명박 대통령이 다스의 실소유주라는 주장을 하거나, 최순실이 국정농단을 일으켰다고 주장했을 때 당사자들이 부인하는 것만으로도 허위정보로 여겨 처벌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금 시점에서 필요한 건 과거 네이버와 다음에 그랬던 것처럼 유튜브에 책임을 묻는 일이다.

유튜브가 일일이 진위를 판단하고 단속할 수 없다는 반론이 나올 수 있지만 문제적 콘텐츠의 확산을 방치하고 부추기면서 이익을 내는 시스템이 진짜 문제다.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체류시간을 늘리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용자 동영상 시청기록을 분석해 계속 연관영상을 추천하면서 편향적이거나 허위정보에 쉽게 노출되게 만들고 있다.

“유튜브가 진실을 말하고 있다”고 말하는 일부 친박 진영의 주장은 유튜브의 위험성을 방증한다.
 

유튜브의 필터 시스템은 방치를 넘어 문제적 콘텐츠를 장려하고 있다.

미디어오늘이 유튜브가 직접 선별해 국내 모든 이용자에게 같은 리스트를 보여주는 ‘인기영상’탭 랭킹 30건 영상을 15일 동안 분석한 결과 보수성향의 인터넷 방송 콘텐츠가 55건에 달했다.

이 가운데는 문재인 대통령 건강이상을 단정하는 내용과 “노무현 유서와 노회찬 유서의 작성자는 동일인이다” “노회찬 누가 왜 죽였나? 자살 위장 타살의 비밀과 금도굴 범죄” 등의 허위정보가 있었다.
 

(관련기사: 유튜브 ‘노회찬 타살’ ‘문재인 뇌출혈’ 허위정보 적극 배열했다)

 

153821051765374.jpg

▲ 유튜브가 직접 선별한 인기영상 가운데 뉴스 콘텐츠 순위. 디자인=이우림 기자.
 

 

그러나 구글코리아측은 “유튜브가 직접 배열한 게 아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한 것”이라는 입장을 전해왔다.

그 알고리즘을 설계한 주체가 유튜브고, 문제적 콘텐츠가 섞일 경우 배제하는 방법에 대한 고민은 보이지 않는다.
 

유튜브의 대처가 이중적인 것도 문제다.

2017년 IS 등 테러단체와 백인우월주의 단체가 유튜브에 올린 영상에 미국 기업 광고영상이 노출된 사실이 알려져 광고주들이 보이콧하자 유튜브는 사과글을 올리고 대책을 발표했다.

직후 혐한 콘텐츠에 한국 기업 광고가 붙었지만 구글코리아는 아무런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유튜브는 지난 7월 가짜뉴스 퇴치에 2500만 달러를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검색 결과에 미리 보기와 함께 연관 뉴스 링크를 보여주고 일부 영상에는 브리태니카 사전 등 외부 텍스트를 함께 노출하는 방식도 제시했다.

물론, 한국 이용자들은 누릴 수 없는 서비스다.
 

한국에 구글코리아가 있지만 유튜브는 독자를 대신해 묻는 기자들과도 제대로 된 소통이 안 된다.

지난해 웹 매거진 아이즈가 갓건배 살해 협박 이슈 관련 구글의 공식 입장을 묻자 “개별 채널에 대해 코멘트를 하지는 않는다”는 답이 돌아왔다.

유튜브를 취재하는 기자들이 공통적으로 듣는 답이다.

유튜브는 허위정보에 대한 국내 기자회견을 단 한 차례도 열지 않았다.

페이스북이 지난 5일 허위정보 유통과 관련한 기자회견을 연 것과 대조적이다.
 

이렇게 무심할 정도로 국내 시장이 작다고 볼 수도 없다.

국내에서 유튜브는 네이버 이상의 막강한 사업자가 됐다.

모바일앱 분석업체 와이즈앱의 8월 조사결과 모든 연령대에서 가장 많이 사용한 앱은 유튜브였다.

메조미디어에 따르면 올 상반기 유튜브의 국내 동영상 광고 매출은 1169억원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온라인 동영상 광고시장의 40.7%에 달한다.

 

153821054634600.jpg
▲ 2018년 9월15일 조선일보 기사(위)와 5월2일 조선일보 기사. 똑같이 유튜브 내 시사 콘텐츠를 다루고 있는데 보수 유튜브 방송이 인기를 끌자 규제의 부당함을 강조한 반면 앞선 기사에서는 진보 유튜브 방송과 유튜브 서비스의 문제를 언급했다.
 

 

최근 들어 언론과 정치권이 관심을 갖는 점은 긍정적이다.

다음달 국회 국정감사 때 구글측 인사들을 증인으로 신청한 국회의원들이 있고 교섭단체 간 협의가 진행 중이다.

이번 국정감사가 유튜브 허위정보 문제를 다루는 첫 공적 논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정치적 유불리에 따른 접근이 오히려 생산적 논의를 방해할 수도 있다.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유튜브의 허위정보 문제를 거론하자 박성중 자유한국당 의원은 보수우파 방송 규제로 여기며 반발하고 있다.

지난 5월 민주당에 우호적인 유튜브 허위정보가 나오자 유튜브를 ‘가짜영상’ ‘여론조작’ ‘심의 단속 사각지대’라며 ‘민주주의의 위기’까지 논했던 조선일보가 이제 와서 보수우파 방송을 규제해선 안 된다고 성토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언론과 정치권의 역할은 진영에 따른 공격과 방어가 아니다. 유튜브를 분석하고 감시하면서 한국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갖고 막대한 이익을 내는데 왜 해외와 달리 사회적 책임을 다 하지 않는지, 계속 묻고 정보를 공개하도록 요구하고 대책을 끌어내야 할 때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2&oid=006&aid=0000093646  

 

Cross_X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