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 국가민족 평화열정 지지도 급반등 시켜
천당에서 지옥 일보 직전인 50% 이하까지 추락했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이 급반등했다. 여론조사전문기관 <리서치뷰>가 9월말 정기조사를 실시한바에 따르면 문재인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률은 61%로, 최저치를 기록했던 8월말 대비 12%p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이와같은 지지율 회복 추세는 갤럽 등 여타 여론사기관 조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직무 수행 긍정율은 국정 수행에 대한 국민적 신뢰 정도를 나타낸다.따라서 긍정율이 높을수록 국가정책의 정당성을 인정받아 강력하게 추진할 수 있다.반면 긍정율이 낮으면 국민적 신뢰 상실로 국정수행이 위기에 직면하게 되고 심할 경우 레임덕에 빠져 국정혼란은 물론 정권의 존립마저 위태롭게 된다.
문 대통령은 촛불혁명의 대의를 구현할 국정 집행자로 국민적 선택을 받아 집권하였다. 문 대통령은 집권 이후 촛불혁명의 뜻을 받들어 나라를 누란의 위기로 빠트린 명박근혜정권의 적폐청산과 지속적인 국정혁신으로 전폭적인 국민적 지지를 받았다.
그러나 1년 넘게 유지해 왔던 70%대의 전무후무한 고공 지지율이 날개없이 49%대까지 추락하면서 위기에 빠졌다. 정권의 자존심을 걸고 핵심과제로 내세웠던 소득주도성장론과 탈원전 신재생에너지전환 정책이 실패 논란에 휩싸이고 인사마저 문코드 인사 비판을 부르면서 지지도가 하락 추세로 돌아 섰다.
최저 임금 개선에 바탕한 일자리 창출로 소득을 높여 경제 성장을 이끌어 내겠다는 소득주도 성장은 계획과는 달리 최악의 실업율을 기록한데다 자영업자의 반발을 부르고 여기에 통계논란까지 겹치면서 국민적 회의론이 확산됐다.
탈원전 에너지 전환정책 또한 국민 생존성 제고와 환경 개선이라는 대의에는 공감하면서도 남북관계 개선에 따른 적력 수요 증대,전기료 인상,산지 및 환경 훼손 태양광 발전 부정적 논란 등 현실과 거리가 있는 급격하고 일방적 이상주의식 추진이 지지도 추락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여기에 부동산 가격 급등도 기름을 부었다.
지지율 하락 추세가 지속 될 경우 정권 위기가 현실화될 상황을 배제할 수 없는 풍전등화 위기에서 문 대통령을 구출 한 것은 제 3차 평양 남북회담 대성공이었다. 문대통령의 "우리 민족은 함께 살아야 한다"는 평양 연설 한마디에 함축된 군사대치 종식 통한 전쟁없는 한반도,전폭적인 경제협력통한 남북 공동번영,평화적 남북관계 개선에 바탕한 민족통일 대장정 합의는 민족의 운명적 성장동력이 우리에게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남북정상이 민족이 염원하는 외세에 의한 남북분단을 극복하고 통일된 하나의 민족공동체를 구현하자는 결단적 합의에 폭발적 국민적 환호는 지지율 반등으로 나타났다.70%대의 고공 지지율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60%대 회복은 국민적 신임 회복의 결정체다.따라서 문 대통령은 자신감 있게 국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지지도 회복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다행이 아닐 수 없다.
문 대통령이 남북관계 성공적 주도로 회복한 지지도를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일자리 창출과 경제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승화시키면서 상인의 현실감각에 입각 소득주도 성장과 탈원전 에너지전환정책을 지혜롭게 추진하고 인사만사에 슬기로움을 발휘한다면 좌우,보수진보를 아우르는 전폭적인 국민적 지지 성원아래 성공한 대통령으로 구국,민족적 업적을 남길 것으로 전망된다.
지지도가 급반등 회복세로 돌아서면서 집권당인 민주당의 정당지지도도 11%p 동반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 여론조사와 함께 조사된 한반도 주변 5개국 정상들에 대한 개별 호감도를 보면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로, 49%를 얻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간발의 차로 앞선 가운데 푸틴 러시아 대통령 24%,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23%, 아베 일본 총리 10% 순으로 뒤를 이었다. 비호감도는 아베 총리가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판문점선언> 국회비준동의 여부에 대해서는 ‘찬성(57%) vs 반대(26%)’로 찬성이 2.2배 높았고, 한반도 비핵화 및 종전선언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62%의 응답자가 ‘높다’고 전망했다.각 부분별 조사결과를 살펴보면
“文대통령 61%(▲12)ㆍ민주당 48%(▲11)” 동반상승
5개국 정상 호감도 “트럼프ㆍ김정은 선두권, 아베 최하위”
문재인 대통령 직무평가 “잘함 61%(▲12) vs 잘못함 36%(▼12)”
정당지지도 “민주당 48%(▲11) vs 한국당 18%(▼2) vs 정의당 8%(▼3)”
한반도 주변 5개국 정상 호감도 “트럼프(50%)김정은(49%) 푸틴(24%)”
전ㆍ현직대통령 호감도 “문재인 32%(▼1)박정희 26%(-)노무현 20%(▼1)”
<판문점선언> 국회비준동의 여부 “찬성(57%) vs 반대(26%)”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실현 가능성 “높음(62%) vs 낮음(33%)”
■ 문재인 대통령 직무평가 “잘함 61%(▲12) vs 잘못함 36%(▼12)”
문재인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는 ‘잘함(61%) vs 잘못함(36%)’로, 긍정평가가 1.7배가량인 25%p 높았다(무응답 : 2%).
취임 후 최저치를 기록했던 지난 8월말 대비 긍정평가는 12%p 급등하면서 한 달 만에 60%대를 회복했고, 부정평가는 12%p 낮아졌다.
대부분 계층에서 긍정평가가 상승한 가운데 ▲50대(↑17) ▲60대(↑17) ▲70세 이상(↑19) ▲서울(↑17) ▲충청(↑22) ▲농축수산업(↑19) ▲블루칼라(↑24) ▲학생(↑23) ▲무당층(↑21) 등에서 비교적 상승폭이 컸다. 반면, ▲대구/경북(↓2)만 소폭 하락해 차이를 보였다.
■ 정당지지도 “민주당 48%(▲11) vs 한국당 18%(▼2) vs 정의당 8%(▼3)”
정당지지도는 민주당이 8월말 대비 11%p 상승한 48%로 지방선거 직후인 6월말 수준을 회복한 가운데 ▲한국당 18%(↓2) ▲정의당 8%(↓3) ▲바른미래당 7%(↓4) ▲민주평화당 2%(-) 순으로 나타났다(괄호 안 수치는 8월말 대비 등락폭).
6~8월 석 달간 두 자릿수 지지율을 기록했던 정의당은 하락세가 이어지면서 다시 한 자릿수로 내려섰다.
민주당은 ▲대구/경북(민주당 39% vs 한국당 29%)을 포함한 전 계층에서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19/20대(53%) ▲30대(56%) ▲40대(52%) ▲경기/인천(52%) ▲충청(51%) ▲호남(68%)에서 50% 이상 지지를 얻었다. 한국당은 ▲70세 이상(32%) ▲대구/경북(29%) ▲부산/울산/경남(26%) ▲강원/제주(25%)에서 20% 이상 지지를 얻으며 비교적 선전했다.
■ 5개국 정상 호감도 “트럼프(50%) vs 김정은(49%) vs 푸틴(24%) vs 시진핑(23%) vs 아베(10%)”
한반도 주변 5개국 정상들에 대한 개별 호감도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50%로, 49%를 기록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간발의 차로 앞선 가운데 ▲푸틴 러시아 대통령24%)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23%) ▲아베 일본 총리(10%) 순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대통령 호감도는 ▲남성(51%) ▲19/20대(55%) ▲30대(60%) ▲70세 이상(65%) ▲민주당(57%) ▲한국당(55%) 등에서 과반을 상회했고, 김정은 위원장은 ▲여성(51%) ▲40대(55%) ▲50대(55%) ▲60대(51%) ▲민주당(70%) ▲정의당(64%)에서 과반을 웃돌았다.
최하위를 기록한 아베 총리는 대부분 계층에서 10% 안팎의 낮은 호감도를 얻은 가운데 ▲한국당(22%) 지지층에서 비교적 높은 호감도를 기록했다. 특히 비호감도가 84%로 5명의 정상 중 가장 높아 눈길을 끌었다.
■ 전ㆍ현직대통령 호감도 “문재인 32%(▼1) vs 박정희 26%(-) vs 노무현 20%(▼1)”
일곱 명의 전ㆍ현직대통령 호감도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6월 대비 1%p 하락한 32%로 5회 연속 선두를 달리는 가운데 ▲박정희 26%(-) ▲노무현 20%(↓1) ▲김대중 9%(-) ▲박근혜 3%(↑1) ▲이명박 3%(↑1) ▲김영삼 2%(-) 순으로 나타났다(괄호 안 수치는 6월 대비 등락폭).
문 대통령은 ▲서울(33%) ▲경기/인천(37%) ▲충청(36%) ▲호남(34%), 박정희 전 대통령은 ▲대구/경북(38%) ▲부산/울산/경남(35%) ▲강원/제주(33%)에서 각각 선두를 달렸다.
참고로 ‘김대중ㆍ노무현ㆍ문재인’ 세 사람의 호감도 합은 61%로, ‘박정희ㆍ김영삼ㆍ이명박ㆍ박근혜’ 네 사람의 호감도 합 34%보다 27%p 높았다.
■ <판문점선언> 국회 비준 동의 “찬성(57%) vs 반대(26%)”
판문점선언 국회비준동의안 처리 여부가 정기국회 쟁점으로 떠오른 가운데 응답자의 57%는 국회 비준 동의에 찬성했고, 26%는 반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무응답 : 17%).
정파별로 ▲한국당(15% vs 69%) ▲바른미래당(27% vs 49%) 지지층에서는 반대가 더 높은 반면, ▲민주당(찬성 83% vs 반대 5%) ▲정의당(79% vs 10%)은 찬성이 8~16배가량 높아 또렷한 차이를 보였다. 무당층은 ‘찬성(34%) vs 반대(34%)’로, 찬반이 팽팽했다.
■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정착 실현 가능성 “높음(62%) vs 낮음(33%)”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체제 정착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는 ‘높음(62%) vs 낮음(33%)’로, 낙관적인 전망이 1.9배가량인 29%p 높았다(무응답 : 5%).
전 세대에서 모두 낙관적인 전망이 과반을 웃도는 가운데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은 ▲40대(71%) ▲30대(68%) ▲50대(62%) ▲60대(58%) ▲19/20대(56%) ▲70세 이상(54%) 순으로 조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