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전문가는 아니라서 확실하게 답변드리긴 어렵습니다만, 아무래도 안전성의 차이죠. 보통 10m/s 평균 나오는데 예를 들자면 같은속도라고 가정하고 직접 물건을 들고 상대방에게 전해주냐, 물건을 던져서 전해주냐의 차이입니다. 무선은 말 그대로 선 없이 신호를 받아서 사용하는거기 때문에 중간에 공기의 저항이 있습니다. 유선도 마찬가지로 물질을 통해 신호가 왔다갔다 하기 때문에 저항이 생깁니다만 보다 안전하죠. 요즘에 인터넷 어떤걸 쓰든지 보통 10m/s 는 나오기 때문에 무선으로 이 이하로 떨어진다면 유선을 쓰시구요 그게 아니라면 바꿀필요도 없습니다. 또한 공유기에 여러개 연결되어 있다고 더 느려지진 않구요 ^~^
간단하게 공유기가 그리 옛날 것이 아니라면 충돌은 그리 잘 나지 않습니다... 또한 무선으로도 속도가 상당히 나오므로 그리 걱정 마세요... 대신 무선을 사용 할 때 공유기에서 상당히 떨어지거나 또는 중간에 벽 같은 방해물이 있다면 신호가 급격히 떨어져서 불안정으로 인한 끊김 또는 속도 저하는 있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최근 몇년 동안 노트북은 무선으로 쓰고 있는데 신호가 가끔 불안정해서 게임 같은 경우 살짝 끊김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그럭저럭 사용할만합니다...
공유기의 경우 보통 2만원대~3만원대정도짜리 쓰면 됩니다...
4~5만원 짜리 안테나가 4개이상 달린 것들은 신호를 좀더 강하고 충돌없이 하기위해 그렇게 많은 안테나를 쓰는건데 보통 커피숍 와이파이존을 만들기 위해서 그런 모델을 씁니다...
안테나 하나나 두개 짜리를 써도 성능면에서는 그리 차이가 없음으로 일반 가정은 싼걸로 쓰시길 추천...
1) 대게의 경우 무선 --> 유선으로 바꾸시면 인터넷 속도는 빨라집니다.?? 무선랜 방식에 따라 다른데 바꿔보면서 속도측정을 해서 비교해 보시면 됩니다. (몇년전 노트북이라면 아마도 유선 연결하면 속도는 올라갈 겁니다.)
2) 공유기에 유선을 물릴경우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공유기의 원리는 기본적으로 "시분할"입니다.???? 공유기로 들어오는 입력은 한개의 랜선만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걸 시간대별로 여러개로 나누어서 ????사용하는 개념입니다. 나누는 시간을 사람이 느낄수 없게끔 매우 짧게 할당하는 식입니다. ????이해하기쉽게 말하면 한개의 랜선을 공유기를 이용해 3대의 컴퓨터가 사용한다면 1번컴퓨터 -> 2번컴퓨터 -> 3번컴퓨터의 식으로 돌아가면서 인터넷을 연결해 준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게임을 할 용도가 아니라면 그냥 무선쓰셔도 별반차이는 없을 겁니다.???????? 다만 몇년전 모델의 노트북이라면 무선랜 방식이 낮아서 최고속도가 58M급 정도일 겁니다.???????? 이 경우는 유선랜으로 바꾸시면 체감적인 속도가 좋아지기는 합니다.????
4) 무선랜 감도도 속도에 영향을 상당히 주는데 이때에 확인하는 방법은 화면우측아래 아이콘 모음들이 ????있습니다. ???여기에 안테나표시처럼 되어 있는 아이콘을 클릭하면 현재 연결된 무선랜의 상태를 보여줍니다. ????상태중에 신호강도가 있고(매우높음, 높음 등등) 밑에 숫자로 "**M" 라고 있는게 있습니다. ????이 숫자가 전송속도입니다. ??? ????공유기 옆에서 있을때 속도와 질문자님이 돌아다니시는 곳에 갔을때의 속도을 비교해보시고 속도가 ????떨어진다 싶으시면 안테나 여러개짜리 무선랜도 생각해 보세요.? ????다만 무선의 특성상 아무리 안테나가 많아도 중간에 벽이 가로막으면 큰 기대는 안하시는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