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연구진 '털을 강제로 뽑으면 새로운 털이 더 많이 난다.'

요술빗자루 작성일 16.08.22 16:47:05
댓글 26조회 12,867추천 2

147185201068881.jpg



dot3.gif 美 연구진 '털을 강제로 뽑으면 새로운 털이 더 많이 난다.' (15-04-16 15:23)

3695592732_8ff779b2_iStock_000020960672Large-200x200.jpg

'흰머리를 뽑으면 더 많이 난다’는 속설이 어느정도 과학적 근거가 있다는 것을 미국 연구진이 입증했다. 미국 남캘리포니아대(USC) 추옹 청밍 교수 연구팀은  저명 과학학술지 ‘셀(Cell)’에 “쥐의 털을 특정한 방식으로 뽑았더니 뽑은 자리 주변에서 훨씬 더 많은 털이 자라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생체의 '쿼럼센싱(quirum sensing·정족수 감지)’이라는  놀라운 현상은 미생물들이 소통하는 방식이다. 주변에 같은 종족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하면 더 많이 번식하고, 먹이가 줄어들면 생식을 멈추라고 화학신호를 보내는 것이다.

생체 미생물은 스스로 교신한다. 이러한 단세포 버그들이 그들의 수가 효율적인 공격을 개시하거나 발광하는 빛을 만들 정도로 그들의 수가 충분히 많을 경우 쿼럼 센싱이라 불리는 화학적 신호 시스템은 이것을 인지하도록 가능케 하는 요소이다. 그러나 과학자들이 미생물의 상호조율에 대해 알게 된 이후 수십년이 지나, 한 연구팀이 동물세포 역시 동일한 인고관계가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를 밝혀냈다.

이러한 새로운 힌트는 예상치 못한시도에서 발모 되는 현상을 통하여 밝혀졌다. 서던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한 연구자와 그의 동료들은 정해진 장소에서 일정한 패턴으로 쥐에게서 200개의 털을 뽑았다 ? 인접한 많은 털이 뽑히도록 함 ? 천개 이상의 털이 뽑힌 부위이외를 포함하여, 그 자리에서 다시 자람 (쥐들은 그들의 몸에서 털이 뽑히는 것을 느끼지 않도록 마취됨). 이 결과는 4월 9일 발표됨.
 
왜 동일한 수의 뽑힌 털이 새로운 모발로 대체하기 위하여  수백 개의 손상된 모낭이 그것을 전달하는 화학적 신호를 발산한 것처럼 보인다. 그리하여, 충분히 인접한 세포들이 비슷한 화학적 불꽃을 발산하여, 피부의 센서들은 메시지를 인지하고 집단적 행동을 취한 것이다: 매우 놀랍게도, 그러한 메시지는 대체 발모의 양의 다섯 배나 되는 재생을 유도했다.

연구 팀이 제시했듯이, 이러한 행위의 근본원인이 쿼럼 센싱임을 가정한다면, 이러한 현상은 지금까지 동물 세포에서 발생한 최초의 증거일 것이다. 과거 연구에 따르면, 쿼럼 센싱 역시, 벌과 개미가 그룹으로서 사회적 활동을 결정하는 방식을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다른 연구 역시 내장 내벽의 박테리아와 세포가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서로 상호작용함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그러한 신호가 피부에서도 발생할 수 있고 풍부한 모발 재성장을 촉진함을 보여주는 첫 증거이다. 이것은 상당힌 새로운 분야이지만 만약 세포가 내장에서 박테리아에게 신호를 보낸다면, 그것들은 또한 스스로에게서도 신호할 수 있다고 생각할 것이다. 그러므로 인디애나 대학교 블루밍턴 캠퍼스의 쿼럼 센싱에 주안점을 둔 연구 보조원인, Julia van Kessel은 이러한 연구결과의 가능성을 긍정한다.
 
U.S.C의 병리학 교수인 저자인 추옹청밍교수에 따르면, 물론 이러한 발모 반응은 만약 인간이 대머리가 되기 시작할 때, 몇 개의 인접한 머리를 뽑는 것이 대규모의 재생산이나. 두피를 자극하는 것이 반드시 풍성한 머리를 갖게 되는 것은 아니다. 남성적 패턴의 대머리와 같은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 유전자와 호르몬에 의해 가속화되고 모낭 그 자체의 변화를 수반함 ? 연구자들이 이러한 조사결과가 치료적 단계로 전환 가능한 방식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심화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피부 세포가 모집단에 걸쳐서 대규모의 조율된 반응을 개시하였기 때문에, 개별적 모발 재생산이외의 다른 요소가 존재한다. 추옹청밍 교수에 따르면 그의 팀이 특정한 원형 배치에서 구체적인 수의 털을 뽑았을 때, 그 수와 발모 사건의 패턴은 그러한 반응을 유발하는 시발점으로서 기능을 한 것처럼 보인다

추옹청밍 교수팀은 넓은 부위에 펼쳐진 동일한 수의 털을 뽑았을 때 비슷한 모발 재성장을 확인하지 못했다. 발모 패턴이 지름 6밀리미터를 초과하면, 모발들은 전혀 재생되지 않았다 ? 심지어 30일이 지난 후에도 생산되지 않음. 그러나 지름 3-5 밀리미터의 원형 부위에서 고밀도 발모는 뽑힌 부위이외에도, 450에서 1,300개의 털의 재생을 초래했다. 또한 이 팀은 세포는 스스로 사이에서도 “말하는”것을 보여주는 이른 바 특정한 화학물질을 상승된 수치를 통하여 확인했다. 텍사스 대학 의과대학에서 쿼럼 센싱을 연구하고 있는, 미생물학과 생화학 교수인 Vanessa Sperandio에 따르면, “포유동물 세포사이의 화학적 대화는 과거에도 분명히 보고되었지만 여기서 새로운 점은 공간과 밀집성이다”라고 언급한다.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Sperandio는, “여기에는 아무도 이전에 목격하지 않은 기준점과의 관계가 있다”.

그러한 화학적 특징은 대규모의 모발 재생산 지점에서 존재하지만 거대한 재생산에 실패한 부위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 추옹청밍 교수팀은 저술에 따르면, 쿼럼 센싱에서 화학적 신호의 잠재적 증거이기도 하다. 집단적으로 이러한 단서 모두 인접한 세포의 신호 보내기가 중요함을 의미한다.

미생물에서 커뮤니케이션은 쿼럼 센싱에 달려있음은 널리 기록되었다. 소수의 박테리아가 존재할 시, 그것들은 행동을 위한 기준치를 충족 시키지못할 것이다. 그러나 일단 농도가 높으면 ? 그것들 주변의 신호 보내는 많은 분자의 수를 통해 인지가능함 ? 그것들은 집단적 행동을 취할 수 있고 취할 것이다. 동물 세포에서 쿼럼 센싱은 비슷하게 신체가 적은 자극을 무시할지 혹은 집단적 행동을 취할지를 결정하도록 도울 수 있다라고 추옹청밍은 언급한다. 그에 따르면, “쿼럼 센싱이 가장 효과적이고 효율적 방식으로 외부 자극을 다루기 위해 기관이 집단적으로 반응하는 것을 도울 것이라고 나는 생각한다.”

미래의 연구에서 추옹청밍 교수팀은 그의 팀과 다른 팀이 비슷한 커뮤니케이션 전략이 신체의 다른 부분에서 심지어 다른 종에서 발생하는지를 밝히길 의미한다. 현재로서는, 그의 팀은 재생산을 시각화하고 시그널링 행동을 인지하기 용이하므로 모발을 연구했다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넓은 맥락에서 쿼럼 센싱은 다른 기관 시스템에서도 또한 존재할 거라고 여겨진다”. 본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Van Kessel역시 동의하고 있다. 지난 20년 동안 박테리아를 가지고 연구하기 쉽고 박테리아가 다른 쿼럼 센싱의 주안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쿼럼 센싱이 박테리아에만 제한되어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말한다. 우리는 단지 항상 그것들을 연구했고 조작하기 쉽다. “이것은 분명히 새로운 사고방식이 될 것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을 인간의 탈모치료에 적용 하는데에는 아직 무리가 있다. 본 실험은 우연한 동물체모 소실관계에서 밝혀진 과학적 단서일뿐 인간의 모발에도 동일한 결과를 얻는지는 아직 밝혀 진바없다. 

 

<대다모 펌>


뽀....뽑을까??

 

 

요술빗자루의 최근 게시물

엽기유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