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갈족은 누구일까?...3

미연시다운족 작성일 07.02.01 17:47:24
댓글 2조회 959추천 2
수서의 말갈 7부, 신당서의 흑수말갈.

그런데, 636년경에 쓰여진 『수서』에서 〈말갈전〉이 처음 등장한다. 여기서 말갈 7개 부족 즉, 속말(粟末), 백돌(伯咄), 안거골(安車骨), 불열(拂涅), 호실(號室), 흑수(黑水), 백산(白山)부의 기록이 등장한다. 이들 중 속말부와 백산부가 수(隋)와 가깝다고 하였고, 흑수부는 그 중에 가장 굳세고 건강했다고 하였다. 전체 668자 중 474자는 독창적인 내용이지만, 194자는 『위서』내용을 다소 손질한 것으로 말갈의 풍습은 물길의 풍습을 옮겨 적은 정도다.

『위서』가 쓰여진 지 불과 82년 만에 물길 부족이 말갈로 바뀌어 불려지면서 갑자기 7개 부족으로 늘어나 버렸다. 말갈에 대한 정보는 610년경 속말말갈의 돌지계(突地稽)란 자가 천여 명을 거느리고 수에 항복해옴에 따라 얻어진 것이다. 돌지계는 수에게는 무척이나 중요한 존재였다. 그것은 고구려와 전쟁을 하는 과정에서 고구려 세력권 내부에 수와 협조할 수 있는 반란세력이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수서』에 뒤이어 쓰여진 책인 『북제서(北齊書)』,『북사(北史)』,『구당서』〈말갈전〉, 『신당서』〈흑수말갈전〉까지 전부 말갈이란 말이 등장한다. 『북사』는 남북조시대의 북조의 역사를 쓴 책이므로, 물길이라고 지칭했지만, 7개 부가 있다는 『수서』의 내용을 그대로 채택해 마치 물길 때부터 7개 부가 있었던 것처럼 기록해 놓았다.

『수서』〈말갈전〉의 7개 부를 『구당서』등과 연결지어 이해해보면 말갈은 매우 강력한 세력이 된다. 7개 부의 정예 병력을 합하면 2만 5천명이 넘고, 인구도 적어도 수십만이 된다. 하지만, 물길의 경우를 『위서』를 통해 읽어보면 그렇게 강력한 세력이 아니었음이 드러난다. 물길이 불과 수십 년만에 강력한 세력이 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아울러 7개 부가 고구려로부터 독립된 상태였다면 고구려는 수와의 전쟁을 제대로 치르지도 못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6세기말부터 만주의 말갈과 고구려의 관계가 어떠했는지를 살펴보자. 『수서』〈돌궐전〉에는 582년 이전에 돌궐 군대가 고구려와 말갈의 군대에게 크게 패했음이 기록돼 있다. 『삼국사기』영양왕 9년(598)에는 왕이 직접 말갈병 만 명을 거느리고 수나라의 전진기지였던 요서지역을 공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때 등장하는 말갈은 한반도의 말갈로 보기는 어렵다. 이들의 활동무대가 요서지역이거나, 서요하 상류 혹은 대흥안령산맥 등 한반도에서 크게 떨어져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들은 만주의 말갈임에 분명하다.

고구려는 6세기말에 만주의 말갈을 지배했으며, 왕이 이들을 직접 이끌고 군사작전을 펼쳤다. 『삼국사기』에는 말갈 7부 명칭이 보이지 않을 뿐더러, 이들이 반기를 들어 고구려를 괴롭혔다는 단 한마디도 보이지 않는다.

보장왕 13년(554)에도 고구려 장군 안고가 말갈병을 이끌고 거란을 공격하기도 했다. 666년 남생은 동생인 남건과의 권력다툼에서 패해 국내성으로 도망갔다가, 다시 말갈과 거란의 병사를 이끌고 당에 항복했었다. 더욱이 677년 고구려가 망한 후, 요동땅에 보내진 보장왕은 말갈의 무리와 함께 고구려 복국을 꿈꾸다가 당에게 발각된 일도 있었다. 또한 고구려인 유민의 상당수는 이후 말갈과 돌궐 등지로 흩어졌다는 기록도 있다.

이러한 기록들은 고구려 멸망까지 말갈이 고구려인과 아무런 종족적 이질감이 없는 존재였음을 알려주고 있다. 발해사 연구가인 한규철님은 말갈을 고구려 일부 피지배층에 대한 중국인들의 낮춤 말(卑稱)로 보고 있다. 필자 역시 이 견해에 동의한다.

만주의 말갈은 늦어도 120년대부터 고구려와 관계를 맺었고, 280년부터는 고구려의 지배하에 있어 최소한 400년 이상 하나의 정치권력 아래에 있었던 사람들이다. 이들에게서 민족적 이질감이란 거의 없다고 보아야 한다. 설령 물길 등 일부 반란을 일으킨 부족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그 규모나 파장은 크지 않았다.

고구려 멸망 이후 말갈 7부의 행적을 살펴보자. 『구당서』〈말갈전〉에는 말갈이 수십 부에 이른다고 기록해 말갈을 매우 거대한 세력으로 보고 있다. 그렇지만, 말갈은 고구려에 굴복되어 있고, 일부는 돌궐의 지배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 가운데 흑수말갈만이 강성하여 이웃 부족의 걱정거리였다고 기록했다. 『구당서』는 945년에 쓰여진 책으로 당이 동방지역에 대한 풍부한 정보를 얻은 후에 만들어진 것이다. 여기서 말갈은 돌궐과 고구려, 실위를 제외한 만주 동북부 전체 부족의 총칭으로 그 범위가 확대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수십 부에 이른다는 말갈부족 가운데 등장하는 것은 백산부, 안거골, 호실, 백돌, 흑수부 뿐이다. 백산부는 본래 고구려에 속해있었고, 나머지 흑수부를 제외한 3개부는 고구려가 멸망한 후 뿔뿔이 흩어져 미약해져서 활동이 알려지지 않았다고 했다. 결국 이들 4개부는 본래 고구려인과 다름없는 사람들로 고구려와 운명을 같이한 사람들이다. 이들은 읍루-물길과 연결된 족속으로 보기 어렵다. 고구려 내부에 있는 변방 부족으로 고구려의 중요 구성원으로 볼 수밖에 없다.

또 수에 귀순했던 돌지게의 속말부도 『구당서』〈말갈전〉에는 기록되지 않고 있다. 오직 돌지게와 그의 아들에 대한 기록만이 있을 뿐이다. 오히려 속말부는 발해를 건국한 중심세력이 등장한다. 속말부도 고구려의 본래 구성원이었다.

고구려가 멸망한 후 유독 세력이 강해진 것은 흑수부였다. 흑수부는 땅을 16개 부로 나누고, 남부와 북부로 구분하여 일컬었다고 했다. 흑수부는 발해 건국 후에도 별도의 세력을 유지하는데, 그것은 이들이 가장 북쪽에 있으면서 정착 농경을 하지 못하고 수렵생활을 지속했기 때문에 별도의 부족으로 남았던 것 같다. 나머지 부족들은 발해 건국과 함께 발해의 구성원이 되며, 농경생활을 하게 된다. 결국 백산부 등은 본래 고구려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부족(5부족과 초기의 통합된 주나, 개마국, 낙씨부여 등)들로 볼 수 있는 것이다.

말갈 7부 가운데 속말, 백돌, 안거골, 호실, 백산부는 고구려에 속한 부이며, 불열부는 아예 『수서』이후에 기록이 없고, 오직 흑수부 정도만이 다른 족속으로 인정되는 셈이다. 흑수부 만이 읍루-물길로 연결되는 존재였을 가능성이 크다.

그런데, 북위, 수, 당 등 고구려와 대적했던 세력들이 고구려 내부에 자신들의 동조자를 찾다가 물길, 돌지게 등의 존재를 발견하고 이들을 범주화시켜 마치 거대한 세력이 고구려 동북쪽에 존재했던 것처럼 생각했던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읍루 - 숙신 - 물길 - 말갈이 모두 같은 뿌리라고 생각했던 것이고, 따라서 그 범위도 일정하지 않았던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범주화한 말갈의 대다수는 고구려에게 위협적인 세력도 아니었으며, 고구려 말기까지 고구려와 운명을 같이한 고구려인 그 자체였던 것이다.

11세기 중엽에 쓰여진『신당서』〈흑수말갈전〉에는 흑수말갈이 당 태종의 고구려 원정 때에 고구려를 도와 당과 겨룬 세력으로 기록하고 있다. 흑수말갈 조차도 고구려와 운명을 같이한 존재였다면, 말갈이 이민족이었거나, 고구려의 구성원이 아니라고 볼 수는 없는 것이다. 5세기말의 물길의 반란, 610년경의 돌지게의 수나라 투항, 그리고 말갈이 몇 번 사신을 보낸 것을 통해 말갈을 고구려와 별개의 존재로 보는 것은 잘못된 시각이다.

말갈 7부의 위치를 『수서』의 애매한 표현을 기준으로 『신당서』등을 이용해서 흑룡강성 전체와 연해주 일대가 말갈의 거주지인 것처럼 보는 견해가 있기도 하지만, 말갈 7부가 이렇게 넓은 영토를 차지하고 고구려로부터 독립했다면 고구려는 국경을 지키기에도 급급했을 것이다. 또한 『통전(通典)』에 고구려가 동서 6천리나 되는 거대한 나라였다는 기록이나, 북위(北魏)가 해외의 모든 나라들을 고구려가 장악했다는 표현은 모두 잘못된 것이 될 것이다. 무엇보다 고구려는 수․당과 싸우기에 앞서 말갈에게 멸망당했을 것이다.

만주의 말갈이 살던 지역은 과거에는 정착 농경민이 거주하기에 춥고, 삼림이 우거진 곳이었다. 이곳에서 사는 사람들은 부족단위로 삼림 속에서 거주하며, 수렵과 어로, 그리고 약간의 농경을 하며 살았던 사람들이다. 이들은 고구려 지방민이었으며, 고구려 문화권의 내부 구성원이었던 셈이다. 다만, 고구려 중심지역 사람들보다 문화적 소양이 낮았고, 혈연적 유대가 강한 부족단위를 벗어나지 못했을 따름이다. 이들은 국가라는 끈보다는 부족이라는 끈이 더 현실적으로 필요했기 때문에 고구려, 발해가 멸망했어도 계속 부족단위 생활을 유지한 것이다. 이들은 때로는 고구려 중앙정부에 진출해서 발언권도 가지며 똑같은 고구려 사람으로서 대접을 받으며 살았다고 생각된다. 고구려가 다양한 생산기반을 가진 여러 부족들을 함께 아울러 지배했었던 제국이라는 점에서 이들의 위상은 정당하게 평가되어야 한다.

고구려로부터 독립한 거대한 말갈의 존재는 있지 않았으며, 말갈은 고구려의 중요 구성원이었음을 분명히 해두고자 한다.

말갈문제는 고구려 역사에서도 중요하지만, 발해사, 더 나아가 한국 민족사에서도 중요한 문제 가운데 하나이다. 앞으로 이 문제는 더욱 깊게 연구되어야 한다.

말갈에 관한 필자의 얕은 이해를 여기에 소개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이 문제에 관심 갖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김용만 우리역사연구소장 글...
-다음카페 우리역사문화연구모임(역사문) 출처-
미연시다운족의 최근 게시물

무서운글터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