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컴퓨터 공학과 나오신분들 상담부탁드릴께요.. 그외 분들도 도와주시면감사합니다ㅎㅎ

몰라두돵 작성일 13.01.14 22:30:06
댓글 6조회 1,869추천 0

안녕하세요

올해 25세된 건설환경공학과 토목전공을 하고있는 나름...?건장한 청년입니다.

근데 왜 컴퓨터 공학과 선배님들께 질문드리냐구요?

이제 3학년이 되는데 컴퓨터 공학과로 전과를 하려고해서 상담하는거랍니다..ㅎㅎ;;

처음부터 얘기하자면 1학년 2학기 복학 후 토목쪽은 적성이 안맞는것같아 2학년 1학기,2학기를 컴퓨터 수업을 들었습니다.

배운거는 자료구조, c언어, 자바, 리눅스, 파이썬 이정도가 고작이겠네요...

처음 배워봐서 어렵긴했지만 프로그램을 다 만들고 뿌듯하더라구요.. 그래서 전과를 다짐했구요.

근데 전과를 하려는데 학교 운영과 안맞아서 어쩔수없이 1년 휴학을 하게되었습니다.

제 의도가아닌 어쩔수없는 휴학이기에 앞으로의 1년이 정말 중요한데 뭘해야할지 의욕자체가 생기질않습니다.

무엇을 준비하고 무엇을 해야할지도 모르겠더군요... 다만 저희 친누나는 워킹홀리데이 가라고는 하는데

가기도 겁나도 의욕도 안생겨서 뭘해야할지 모르겠네요...

각설하고,

앞으로 1년동안 나중에 취업을위해 뭐든 해보고싶은데 무엇을 하는게 가장 남을까요?

넓은 범위에 대한 질문이긴 하지만 컴공출신의 선배님들께 조언구합니다

그 외 다른 분야의 선배님들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글을 잘 쓰지 못하는 편인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몰라두돵의 최근 게시물
  • 꺄아13.01.14 23:00:28 댓글
    0
    글쎄요 컴퓨터 쪽으로 취업을 생각하는지 그냥 취업을 하고 싶은지 모르겠네요 컴퓨터쪽 일을 하고 싶다면 프로그램 하나 더 짜보고 여러 플랫폼을 다뤄보는게 더 나은거 같네요 그리고 대회 같은데는 꼭 참가해서 입상을 목표로 해보세요 워홀보다 나아 보입니다.
  • BUBIBU13.01.14 23:55:59 댓글
    0
    복수전공도 아니고 전과라
    물어보신게 1년동안 취업을 위해 공부해야 할것들을 물어보시니 거기에 대해서만 답해드릴게요
    학교마다 조금씩 다른데
    컴퓨터분야도 여러개로 나뉘는데
    우선 컴공을 나와서 무엇을 하고 싶은지 부터 찾으시는게 좋을거 같아요
    컴공은 컴퓨터언어 뿐만아니라 하드웨어와 OS, 네트워크등 해야 할 공부가 많거든요
    자신이 하고 싶은것을 찾는데만 짧게는 몇개월 길게는 1년넘게도 걸릴수있어요
    위에분처럼 1년동안 대회준비하는것도 좋지만
    아마 나가실수 있는대회가 아이디어 공모전말고는 찾기 힘들겁니다
    (요즘 팀단위의 대회가 많아졌고, 대회난이도가 좀 높거든요)
    어떤공부를 선택하라고 하면 전 객체지향언어를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C#,JAVA등)
  • sleepy13.01.15 16:54:21 댓글
    0
    컴퓨터 전공은 자격증이 중요한 계통입니다. 누나분의 말처럼 워홀을 나가서 영어공부를 빡세게 해오셔서 토익점수를 미리 따놓는것도 좋지만(요즘은 이공계도 750 이상은 바라봐야 합니다) 윗분말대로 계통을 정하셔서 그에 관한 자격증을 따놓으신 것이 가장 좋습니다. 윗분 말씀 처럼 요즘 java언어등과 같은 객체지향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업무들이 많이 늘어나다 보니 그쪽 관련해서 공부를 진행하시는것도 좋다고 봅니다 계통 정하는걸 미뤄놓고 싶으시다면 정보처리 기능사(기사의 경우 관련전공 3년이상만 자격이 있습니다) 공부를 해보시는것도 괜찮다고 봅니다. 또한 다들 만만하게 보는 컴퓨터활용능력 시험의 경우 의외로 1급은 가지신 분들이 적습니다. 이런 깨알같은 자격증도 따놓으시면 도움이 됩니다.
  • 이야오옹13.01.22 07:58:47 댓글
    0
    걍 MCSE 같은거 따세요.. 전공해도 오라클이나 MS 자격증 없으면 그 길로는 못간다고 생각하시면 됨. 가더라도 장래성이 없음.
  • 개고기육수13.02.01 02:17:42 댓글
    0
    일단 졸업쯤 기사 자격증은 필수입니다. 나머지 자격증은 관심가는 쪽이 있으면 따세요.
    그리고 워킹은 가시지 마세요. 컴퓨터 쪽은 영어 실력은 그냥 서류통과 수준의 점수만 있으면 됩니다. 위쪽에 750이상이라는데 그 정도는 오바입니다. 못 해도 600은 넘기시고, 말하기 시험을 투자하세요. 토익 스피킹이나 오픽 점수 따세요. 토익 없이 영어 말하기 점수만 가지고 가는 사람도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수업때 한 프로젝트 입니다. 포트폴리오 관리 잘하시구요. 수업때 프로젝트 열심히하세요.그래야 면접에서 다른 경쟁자보다 우위에 있게 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진로는 크게 보통 보안, 임베디드, 모바일 이렇게 많이 갈 겁니다. 디비는 신입 거의 안뽑아요. 수요도 적고. 가장중요한 건, 언어같은 경우는 Java, C, 이렇게 많이 뽑고 이론은 디자인패턴(객체지향언어 한다면 아주 필수), UML(나머지 알고리즘, 자료구조는 기본 베이스입니다.)을 추천합니다.
    전공이 컴퓨터이니 컴퓨터활용능력 이런건 안봐도 됩니다. 이런건 이쪽에서 전공 자격증이라고 보지도 않아요.무조건 기사 자격증이 있어야 합니다. 필수예요.
  • 할루키나13.02.10 13:47:32 댓글
    0
    이분 말이 가장 맞는 것 같습니다. 자격증은 기사만 있어도 무방하나 관심있는 부분이 있다면 자격증을 같이 공부해보는 것도 괜찮겠죠. 어학도 650 넘기면 서류는 다 패스 됩니다. 수업시간에 전공기초 공부 열심히하면 기술면접은 무리 없으실테고, 포트폴리오 관리잘하고 프로젝트 많이 참여해보고.. 아 쓰다보니 위에 있는 분이 다 하신 말씀 ㅋ

인생상담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