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3단체 천안함 검증

윤태흠 작성일 10.06.05 09:51:22
댓글 0조회 590추천 2

"초병이 물기둥 봤다? 물리적으로 불가능" 언론3단체 천안함 검증 "언론보도, 진상 왜곡하는 쪽으로 흘러"

 

천안함이 북한 어뢰 폭발로 침몰했다며 어뢰 잔해 등 증거자료까지 제시한 민군 합동조사단의 조사결과 발표에 대해 언론 현업인들이 증거와 발표내용 모두 납득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고, 합조단 즉각 해체와 사고 책임자 구속수사를 촉구했다.

 

전국언론노동조합(위원장 최상재)과 한국기자협회(회장 우장균), 한국PD연합회(회장 김덕재)

 

등 언론현업인 3단체로 구성된 '천안함조사결과 언론보도 검증위원회'(검증위)는 4일 한 달

 

여 동안 제기됐던 의혹과 조사결과 내용을 검증한 결과를 밝히는 기자회견에서 합조단의 주장

 

을 조목조목 반박했다.

 

이들은 합조단의 발표에 대해 "제시한 증거들이 증거로서 가치가 제한적이며, 합조단 스스로

도 과학적 분석이 미흡했음을 인정하는 등 납득하기 어려운 태도를 보였다"며 "사고 좌표조차

도 여전히 특정되지 않는 등 정보공개가 미흡할 뿐 아니라 사고원인의 각종 판단에 있어 주관

적 판단이 개입돼 있다"고 비판했다.

 

노종면 책임검증위원은 우선 북한 연어급 잠수정의 존재를 보여주고자 제시한 사진의 크기에

 

의문을 제기했다. 노 위원은 합조단이 제시한 잠수정의 사진에 대해 구글어스 프로그램 상에

 

서 재어본 결과 32∼36m가 나오고, 폭은 3.7∼4.1m가 나온다고 밝혔다. 실제 잠수함을 제원별

 

로 보면 상어급 잠수함이 길이 34m, 폭 3.8m이며 유고급의 경우 길이 20m, 폭 2m이고, 이 중간

 

쯤에 있다는 연어급은 길이가 29m 정도라고 합조단이 밝힌 바 있다. 그러나 검증위의 분석 결

 

과 합조단이 제시한 사진은 상어급에 가깝다.

 

     ▲ 구글어스로 국방부가 공개한 연어급 잠수정 사진의 크기 측정 결과. ⓒ천안함 검증위  

 

또한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이 제시한 사진의 경우 상어급 잠수정과 연어급 잠수정의 길이를 비

 

교했는데, 노 위원은 이에 대해서도 송 의원이 연어급 잠수정 길이를 측정할 때 흘수(물 속에

 

잠긴 부분-희미하게 보임)의 길이를 빼고 측정했다고 지적했다. 노 위원은 송 의원이 측정했다

 

는 연어급의 길이 29m에 대해 "물에 잠긴 흘수를 포함해 측정하면 길이가 37m가 되며, 이는 상

 

어급 잠수정이 아니냐"고 의문을 제기했다. 이 사진은 과거 중앙일보와 조선일보에서도 보도

 

된 바 있었고, 당시 두 신문 모두 상어급으로 기재돼있었다.

 

    

 

▲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이 구글어스로 북한 연어급 잠수정 사진

의 크기를 측정했다. 그러나 흘수(바다밑에 잠긴 부분)을 고려하

지 않고 측정한 것으로 보인다. ⓒ천안함 검증위

 

 

 

    

 

▲ 송영선 한나라당 의원이 구글어스로 측정한 북한 연어급 잠수

정 사진의 크기를 다시 흘수를 고려해 측정한 결과. ⓒ천안함 검

증위

 

 

해병대 초병이 사고직후 100m의 물기둥과 백색섬광을 봤다는 합조단의 주장에 대해서도 굉음

 

소리를 들은 뒤 해당지역을 보는 데 걸리는 시간을 고려할 때 물리적으로 물기둥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노 위원은 물기둥 증언은 매우 중요하다면서도 국방부와 합조단이 '못봤다'(4월7일) '허연게 하

 

늘로'(4월9일) '물기둥 옆으로 나갈 수도'(4월25일) '작은규모 물기둥관측'(5월2일) '100m 물기

 

둥 목격'(20일) 등 자꾸 말이 바뀌었다는 점을 주목했다.

 

노 위원은 특히 물기둥을 목격하는데 드는 소요시간을 계산해 제시했다. 소리전달 속도 초당 3

 

40m와 초병이 관측한 위치와 사고발생 지점까지의 거리 최소 4km를 고려해볼 때 폭발음이 초

 

병에까지 전달되는 시간은 11.8초가 나온다는 것이다. 노 위원은 "버블제트 폭발직후 물기둥

 

의 꼭지점까지 올라가는 데 4∼5초가 걸린다는 점을 고려하면 초병이 소리를 듣고,

 

돌아서서 100m 짜리 물기둥을 본다는 것은 과학적으로 의문을 갖게 된다"고 제기했다.

 

    

 

▲ 최소 4km 떨어진 목격지점에서 발생한 소리가 해병대 해안 초병에게 전달되는 데 걸리는 시간 계산. ⓒ천안함 검증위

 

 

항적에 관한 것도 반드시 풀어야 할 의문으로 제시됐다. 노 위원은 해군이 사건발생 직후 제시

 

한 해점의 좌표와 이후 폭발원점이라고 제시한 좌표의 차이가 무려 2.17km나 난다며 "아무리

 

잘못 찍어도 이렇게 차이가 날 수 있느냐"고 지적했다.

 

노 위원은 △해군이 자신의 것이라고 인정한 해도에 '최초 좌초'를 누가 누구에게 얘기를 듣고

 

썼는지 의문이며 △KNTDS상 천안함이 사라진 좌표와 해군이 사고위치라고 발표한 좌표간 거

 

리가 600m 차이나는 것도 해명돼야 한다고 말했다

.

특히 천안함이 KNTDS 상에서 사라진 지점은 해군 발표 사고좌표로부터 북서방향으로 600m가

 

떨어진 곳이고, 그 시각은 당일 밤 9시25분으로 사고발생 3분 동안 약 시속 1km의 속도로 북서

 

진했다는 얘기가 된다. 함미는 사고발생지점에서 발견됐고, 함수는 6.4km 남쪽에서 발견됐다.

 

문제는 조류의 방향이다.

 

함수가 사고지점으로부터 6.4km 남쪽에서 발견됐다는 것을 고려할 때 조류의 방향은 남쪽 방

 

향이다. 그런데 어떻게 사고가 발생했는데 조류의 방향을 거슬러 3분간 북서진하다 KNTDS에

 

서도 사라진 뒤 다시 함미는 사고원점으로, 함수는 훨씬 아래쪽으로 갔는지도 납득하기 어렵다

 

는 것이다. 노 위원은 "의혹이 제기되는 지점으로 반드시 규명돼야한다"고 지적했다.

 

노 위원은 "이는 두가지 가설이 가능한데, 해군발표 사고지점에서 폭발했다면 3분간 침몰하면

 

서 북서방으로 전진했다는 황당한 얘기이며, 만약 KNTDS상 천안함이 소멸된 지점이 최초 사고

 

지점이라면 해군이 발표한 사고지점으로 함미가 흘러왔고, 어뢰 잔해도 함께 흘러왔다는 것으

 

로 두가지 모두 의문"이라고 말했다.

 

   

 

 

 

▲ 해군의 해도에 천안함이 각가 어느 위치에서 사고가 발생했는지 표시한 것. ⓒ천안함 검증위

 

 

합조단이 어뢰잔해를 건져올린 쌍끌이어선의 항적을 상세하게 공개한 것과 관련해 노 위원

 

은 "군의 공식자료부터 좌표가 틀려있다"며 "쌍끌이 어선이 훑고 갔다는 좌표를 입력하면 항적

 

이 다르게 나타난다"고도 지적했다.

 

노 위원은 "문제는 합조단이 이런 항적기록에 대해 전혀 검증하지 않은채 군이 준 자료만을 갖

 

고 조사를 하는 등 조사단으로서 제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노 위원은 지난달 20일 합조단이 발표한 설계도면과 실제 어뢰 잔해물, 조선일보에

 

이미지로 작성한 도면의 추진모터 부분에 상이점이 있으며, 설계도면 추진후부에 쓰인 일본

 

어가 무슨 의미인지 정밀하게 밝히고 설계도면 원문을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합조단이 선체와 어뢰잔해물, 수중 폭파시험 때 각각 에너지분광기 분석결과 똑같은 알루미늄

 

산화물(비결정체)이 발견된다며 입증자료라고 발표한 것에 대해 노 위원은 "알루미늄 산화물

 

은 흔히 목격된다"며 "하지만 버지니아 물리학자 A교수가 선체와 어뢰잔해물, 수중폭파실험

 

X선 회절기를 분석한 결과 알루미늄 결정체는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폭발했다면 결정화된

 

알루미늄이 검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천안함 검증위  

 

검증위는 이 같은 의혹과 의문을 전혀 해소해주지 못한 이번 합조단의 조사결과는 납득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검증위는 이에 따라 △공정성 시비와 정치적 중립성 훼손을 낳으며 많은 불신을 받고 있는 민

 

군 합동조사단을 즉각 해체하고 △이런 엄중한 사안의 경우 고급 지휘관들이 모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군 지위라인 전원에 대해 구속수사 또는 즉각 수사에 착수해야 하며 △국회의

 

국정조사도 곧바로 실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또한 △증인접촉 보장 △국내외 조사위원 신원 공개 및 접촉 보장 △항적 교신 정보 전면 공개

 

△언론기능 회복, 탐사보도 확대 등을 요구했다.

 

한편, 검증위는 이처럼 많은 의문이 제기됨에도 합조단 발표이후 언론의 보도는 진상을 왜곡하

 

는 쪽으로만 흘렀다는 판단도 소개했다.

 

-받아쓰기 보도-군입장만 일방적으로 보도해 쏠림 현상을 방치했고, 검증조차 외면.


-줄서기 보도-의문 제기는 외면하고, 군의 해명만 적극 보도.


-

수박 겉핥기 보도-의문을 단순히 소개하는데 그치고, 구체화된 검증시도는 주로 인터넷매체

 

 중심으로 이뤄짐. 이례적인 군의 태도에 취재가 위축됨


-아니면 말고 보도-고위관계자 익명처리가 과다하고 결과적으로 오보가 속출

 

-색깔 씌우기 보도-발표 이후 이견을 제기하는 사람이나 언론에 대해 좌파, 친북, 안보무관심

 

세력으로 규정하는 위험한 보도양태 등장. 우리 사회 내부에서 제기되는 의문에 대해서는 정보

 

공개하는데 소극적이면서 북한이 문제제기하면 즉각 반박. 남북대결 국면

조성.

      

 

▲ 노종면 '천안함조사결과 언론보도 검증위원회' 위원이 4일 서울 프레스센터 18층 언론노조 대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검증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언론노조 이기범 기자

 

기사원문 :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88781

윤태흠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