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당 정부, "4대강 보 가동되면 수질악화" 고민

글로벌비전 작성일 12.01.14 10:56:21
댓글 2조회 1,077추천 8

황당 정부, "4대강 보 가동되면 수질악화" 고민

보 가동되는 5월부터 '재앙 현실화' 우려, 또하나의 대선 변수

 

4대강 공사가 끝나면 수질이 개선될 것이라고 호언하던 정부와 지자체가 4대강 보(洑)가 본격 가동될 경우 수질 악화를 우려하며 속앓이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4대강 사업의 허구성을 또다시 드러냈다.

13일 <부산일보>에 따르면, 올 봄 4대강 사업으로 설치된 보가 본격 가동됨에 따라 수돗물 수질에도 비상이 걸렸다.

부산시상수도사업본부는 현재 낙동강 유역 수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체계를 마련하고 있다고 12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4대강 사업으로 낙동강에 설치된 8개 보가 오는 5월께부터 가동됨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29개 지점(안동~낙동강하굿둑) 수질 모니터링 강화, 8개 보와 연계한 방재훈련 실시, 물금·매리 취수장 유해물질 감시 항목 확대(131→146개) 등의 대책을 세웠다.

하지만 근본적인 원수 수질 유지 측면에서는 뚜렷한 대책이 없다는 게 부산상수도본부의 고민이다. 보를 가동하게 되면 수질에 변화가 생길 수밖에 없다. 보는 80% 남짓이 고정돼 물 흐름을 가로막기 때문이다. 보를 기준으로 상·하류 낙차도 3~4m 정도 생긴다. 가장 우려되는 것은 보 때문에 유속이 느려지고 강물이 정체되는 점이다.

부산상수도본부 지용대 수질팀장은 "낙동강은 수온, 일사량, 주변 공장 등을 감안할 때 부영양화가 발생할 수 있는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며 "8개 보와 상류 댐을 잘못 운용할 경우 규조류·남조류 같은 조류가 발생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유속이 감소하면서 대기 중 산소가 물과 섞이는 폭기(暴氣) 효과도 줄어들 가능성이 높다. 보로 인해 수량이 많아지는 반면 흐름이 정체되면 용존산소량(DO)은 감소하는 것이다.

지 팀장은 "핵심은 물 정체를 최소화하는 것"이라며 "보와 상류 댐을 어떻게 운용할 것인지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수질 사고 때 대응 체계 마련도 급하다. 낙동강 유역에는 산업단지 47개, 폐수 배출 업체 6천300개, 특정유해물질 배출업체 327개가 있다.

정부도 수질 하락을 고민한다. 환경부는 이달부터 수질예보제를 시행하기로 했다. 조류(클로로필A) 증식을 따져 관심·주의·경계·심각 단계로 구분해 대응하는 것.

또한 수질 유지에 능동적으로 협조하기 위해 지난 6일부터 낙동강수질관리협의회를 구성했다. 환경부, 환경공단, 수자원공사, 농어촌공사, 국토청 등 13개 기관과 지자체, 전문가(교수)가 협의회에 참여한다. 낙동강 수계 국가수질감시망도 현재 18개에서 3곳(상주·낙단·구미보 부근)을 더 늘릴 계획이다.

환경부 낙동강유역환경청 수생태관리과 관계자는 "4대강 사업 이후 수질 감시와 협조 체계 구축을 위해 협의체를 구성했다"며 "조류 증식을 따져 기관별로 대응 체계를 세우고, 오염 배출원을 관리하기 위한 목적이다"고 밝혔다고 <부산일보>는 전했다.

<부산일보> 보도는 4대강 공사후 보가 정식으로 가동되기도 전에 서울 상수원에서 심각한 녹조 현상이 발생하는가 하면 낙동강 8개 보 곳곳에서 녹조 현상이 목격되고 있는 가운데 나온 것이어서, 4대강사업을 밀어붙인 정부와 지자체도 내심 4대강 재앙 현실화를 우려하면서 전전긍긍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에 다름 아니다.

정부는 그동안 4대강사업을 하면 수량이 많아져서 수질이 개선될 것이라는 궤변으로 일관해 왔다.

정가에서는 올 5월 4대강 보가 본격가동되면 수질 악화와 주변 농경지 침수 등 4대강 재앙이 본격화하고 특히 장마철에 부작용이 극심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대형 사고를 초래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하며, 4대강 재앙이 연말 대선에도 주요 변수중 하나로 작용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글로벌비전의 최근 게시물

정치·경제·사회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