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환경단체 그린피스가 3일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는 부실자재가 원전 14기가 모두 쓰이고 있다"며
"균열 문제가 이미 발생한 한빛 3,4호기 가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그린피스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서교동 그린피스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1970년대 위험성이 지적되어
미국이나 일본 등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인코넬600 부품을 한국은 여전히 사용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인코넬600- 증기발생기, 원자로 용기 관통관 연결 배관, 냉각재 계통 분기배관 등 원전14기 약 4000개의 핵심 설비에
사용되고 있는 중. 하지만 사용과정에서 재질적 특성이 떨어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
그린피스는 "지난 10월 한빛 3호기 사고도 이 불량 자재가 쓰인 증기발생기 내 전열관에 균열이 생겨 냉각수가 누출된 것"
이라며 "이외에도 1986년 이후 지금까지 12차례 해당 부품과 관련된 사고가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규모 원전 운영국인 미국과 프랑스는 30여년 전부터 인코넬600이 부식과 균열에 취약해 대형 원전 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알고 대부분을 교체하거나 이 부품이 쓰인 원전자체를 아예 폐쇄했다"
"한국수력원자원이나 원자력 안전위원회 등은 이 문제를 모두 알고 있지만 경제적 효율만을 따져 가동률90%
라는 고이용률 정책을 펼치고 있기 때문에 해결이 안 된다"
"한국에 해당 부품을 공급한 웨스팅 하우스, 컴버스천엔지니어링 등은 미국에서 원전 발전사업자의 손해배상 청구소송으로 막대한 교체비용을 지불했다, 한국에서는 공급사가 수조원의 교체 비용을 대는 것이 아니라 국민들이 전기요금 등을
통해 부담하고 있다"
"후쿠시마 사고를 '인재'라고 손가락질해온 한국이 정작 국내 증기발생기에 대한 현행 검사와 결함, 누설 규제 수준이
20~30년 전 일본의 규제 수준보다 못하다"
서균렬 서울대 원자핵공학과 교수는 "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종전의 '임시 정비 후 재가동' 입장을 버리고 전수 조사를 해 부품을 교체할 계획을 세워야 한다"며 "극한 재해 대책보다 더 중요한 것이 원전의 아킬레스 건, 인코넬
600을 조기 퇴출하는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한수원은 "한빛 3호기의 사고는 전열관 균열이 아닌 이물질에 의한 전열관 마모 손상으로 확인됐다"며 인코넬600으로 인한
사고의혹을 일축했으며 "현재까지도 인코넬 600은 미국, 프랑스, 캐나다 등 67개 원전에서 사용되고 있고 주기적인 검사
및 열화 평가를 통해 단계적으로 교체를 추진하고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해당부품을 공급한 업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가능 여부에 대해선 "하자보증기간(2001년 6월 30일)이 경과됐고, 채무불이행 및 불법 행위 책임에 따른 손해배상도 소멸시효 10년이 경과돼 승소가능성이 희박하다"고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