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에어컨 24시간 풀가동에 대해.. 고견을 듣고싶습니다.

I페가수스I 작성일 23.08.03 11:51:58 수정일 23.08.03 11:52:52
댓글 18조회 102,654추천 10

8년전 신혼때 장만한 삼성 무풍에어컨 보유하고 있습니다.

작년 1월 아이가 태어나고 작년엔 에어컨을 낮시간에 거실만 틀고(무풍으로) 지냈는데요

 

올해부턴 8월 한달정도 24시간 풀가동 하려고 합니다

첫 시동후 강풍에 24도 정도 세팅해서 10~20분정도 틀고 약풍 26도로 계속 유지중인데요

(거실에 있는 에어컨만 가동중)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까요?

혹시 작년에 24시간 논스톱 풀가동 하신분들 계신가요?

전기세가 올랐다는데 요금폭탄 맞게 되는게 아닐까 신경이 쓰이네요

 

그리고 무풍으로 틀면 온도가 오르고 내리면서 실외기표시도 켜졌다 꺼졌다 하는데

냉풍으로 틀면 실외기표시가 계속 켜져있는데 이게 정상인건가요?

I페가수스I의 최근 게시물
  • 삭제 된 댓글 입니다.
  • I페가수스I23.08.04 09:05:00 댓글
    0
    25도 30일 풀가동 하셨는데 5만원정도..
    싸?네요 ㅎㅎ
    답변 감사드립니다
  • 서드아이디23.08.03 15:04:27 댓글
    0
    요즘 에어콘은 효율이 좋아서 내내 틀어도 괜찮은거 같아요 ㅎㅎ
  • I페가수스I23.08.04 09:05:57 댓글
    0
    얘기는 많이 들었는데 반신반의라..
    확인 해볼곳이 없어서
    답변 감사드립니다
  • Revenant23.08.03 15:08:20 댓글
    0
    저는 3년쯤 된것같네요.
    올여름에도 에어컨 안 끈지 한달이 좀 넘은것 같네요.
    출근할때 커튼다쳐놓고 직사광선을 차단한 상태에서 26도로 맞추고 출근합니다.

    환기는 자기전, 기상후 30분씩 해주고 있습니다.

    전기세는 비슷하거나 적게 나옵니다.

    1-2등급 에어컨이고 직사광선을 차단하고 출근하면
    에어컨을 지속적으로 켜놓는게 더 효율적인것 같습니다.
  • I페가수스I23.08.04 09:07:41 댓글
    0
    출근하실때도 켜놓고 출근하신다구요?
    그렇게 해도 전기세는 큰 차이가 안나는군요.
    가족끼리 외출할땐 껐었는데 이젠 켜놔도 되겠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 적도의남자23.08.03 16:39:07 댓글
    0
    https://cyber.kepco.co.kr/ckepco/front/jsp/CY/F/A/CYFAPP0010102.jsp?sn=32

    전기세 계산 댓글은 아니지만 혹시나 신청 안하셨으면 하세요.

    한전에서 출산가구에 대해 아기가 36개월에 될때까지 전기세 감면을 한시적으로 해줍니다.
    전에 볼때는 24개월이었던 거 같은데 36개월로 바뀌었나보네요.

    덕분에 저도 신청하러 갑니다^^
    아이가 36개월 되려면 아직 11개월 남았거든요 ㅎㅎ
  • I페가수스I23.08.04 09:14:52 댓글
    0
    아.. 이건 출생신고할때 신청했었어요
    25개월 아기 아빠시군요.
    아기 이쁘게 키우세요
    댁네 행복만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 봄그리고하루아빠23.08.11 18:11:49 댓글
    0
    저랑 비슷한거 같네요 ㅎㅎㅎ
    저희 첫째가 210715 입니다 ㅋ
  • 박괭이23.08.04 10:07:37 댓글
    0
    다들 매우 적게 나오네요.
    전 5월에 구매한 무풍 천장형에어컨 집에잇을때 풀로 틀고 자는데요(오후5시~다음날 오전 7시)
    한달 관리비 22만원 정도 나옵니다.
    누진세 고려해야 하실것 같아요.
  • I페가수스I23.08.04 10:54:37 댓글
    0
    헉? 혹시 에어컨 설치전 전기세는 얼마 나오셨는지 아십니까?
  • 산도딸기맛23.08.04 14:31:14 댓글
    0
    불안하시면 콘센트형 소비전력측정기 하나 사신후
    1일 사용량확인 하여 계산하시는게.
    그리고 나머지는 매달 비슷하게 나올테니
    인터넷에 있는 계산기에 대충 입력하면 될것같습니다
  • 맛간쌍판떼기23.08.04 15:41:21 댓글
    2
    그냥 잡설이지만.. 전기세X 전기요금O
    전기를 사용한 만큼 부과하는 것이므로....
    수도요금도 마찬가지구요
    세금이 아니라 사용요금입니다
  • 풍그미23.08.06 17:01:48 댓글
    0
    저희집은 제방 풀가동 안방은 풀가동은 아니고 너무 더울때만 좀 많이 틀고 했더니 엊그제 전기요금 고지서 10만원정도 나왔네요.
  • 마검주아니23.08.07 09:49:36 댓글
    0
    전기세는 집에 평소 사용량에 따라서 많이 다를수있으니 본인집의 사용량을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 합니다. 평상시 사용량이 200kw 이하면 1단계라서 인버터 에어컨을 풀로쓰신다(약200kw쓴다가정)해도 5~6만원안밖이실것이고 평상시 300kw내외 쓰신다면 9~10만원정도 나올것 같습니다.
    에어컨은 쓰시더라도 최소 하루 2번은 환기를 시켜 주시는것이 아이나 어른건강에도 좋으니. 아침 저녁으로 최소 2번은 환기시켜주세요.
    요즘 나오는 에어컨은 전력사용양을 확인하는 기능이 다있어서 확인 해 보시면 대략 한달동안 에어컨 사용전기랑을 예상 할수있습니다.
    인버터 에어컨의 경우 최대 소모에너지와 최소에너지가 대략 7배정도 차이나기에
    처음에 에어컨을 키시고 집안의 냉기가 어느정도 채워지시면 수면 모드 로 전환하시면 저전력모드로 바뀌어 전기 값을 절약하실수있습니다. 여름에는 온도 보다도 습기만 제거 되어도 쾌적하게 보낼수있더라구요^^ 저희집의 경우에는 에어컨을 키고 사람이 지내기 쾌적한 냉기를 채우는데 30~40분 걸리기에 외출시간이 3시간 이내라면 에어컨을 껏다가 키는 전기량이나 저전력 모드로 집안의 냉기를 유지시키는 전기량이 유사해서 에어컨을 키고 외출하고 반대로 그 이상이 되면 에어컨을 끄고 외출합니다.
    실외기가 꺼졋다 켜졌다하는것은 에어컨이 목표 온도에따라서 온도를 유지하기위해 실외기를 켰다 껏다하는 것이기에 목표 온도차이는 있어도 전기세는 실외기가 켰다 꺼졌다 하는것이 전기료는 절약될것 입니다 예를들면목표 온도 25도
    23도 온도 까지 실외기가 돌고 26도 까지 가동을 안했다가 27도가되면 다시 23도까지 실외기 가동. 그냥 냉방모드 25도 유지를 위해서 실외기가 최대전력 모드에서 최소 전력모드를 변경해 가며 온도 유지
  • 삼피오23.08.07 17:35:36 댓글
    0
    초기에 강하게 틀고 온도 최대로 낮추세요 약 1분후에 문닫기 (약 5분간 튼다) 온도 25~27도로 올리고 바람세기를 약하게 하고 절전모드로 전환

    끝.. 그런데 실외기가요 햇빛에 많이 노출 되어 있나요? 먼지나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하시고요.
  • 0
    전 집에 있을땐 무조건 켜고 출근할때만 끄고 나가는데.. 2.5만원 나오네요.
  • 봄그리고하루아빠23.08.11 18:10:01 댓글
    0
    저도 7월생 아이때문에
    24시간 틀어놨는데 13만원 정도 나왔네요
    평소 전기요금은 5~6만원 나왔고
    여름에 12시간정도 틀어놨을땐 8만원정도 나왔는데
    24시간 틀어놓으니까 13만원 나오더라구요
    그리고 온도는 27도로 셋팅해놨습니다. 물론 인버터구요
    pc랑 에어컨이 24시간 틀어져있는 상황이고 퇴근하고 오면
    티비도 보고 이것저것 하긴 하네요
  • 딜부족법사23.08.15 08:08:19 댓글
    0
    여름동안엔 실외기청소 미리해두기 밥솥을 밥만할때쓴다던가 세탁기돌리는걸 효율적으로한다든가
    아기가 있는집이면 계속틀어두고 다른쪽에서 전기를 아끼는 방법을 찿는게 맞을겁니다
    다소 차이는있겠지만 일반 가정집이면 10~20만원쯤이 대부분일거고
    인버터 특성상 같은온도를 유지하는데 아주적은 전력만 소모하기 때문에
    12시간틀다가 거실정도 냉방에 24시간 켜둔다고 전기세가 2~3배씩 오르거나 하진않습니다
    오히려 자주 켰다껐다하는 바보같은짓을 할때 전기요금이 많이 오르지요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공지 짱공지식인 게시판 신설 안내 프리드웬 2020.07.29 2,867,691 -
게시글 목록
1598 고양이좋아 2025.03.26 59,310 1
1597 yeomzi 2025.03.08 196,326 1
1596 우인법우 2025.03.06 206,528 1
1595 험티덤티 2025.02.20 331,068 0
1594 도디미래 2025.01.26 584,631 2
1593 성환이오빠 2025.01.14 690,172 1
1592 초슨도췌 2025.01.06 772,453 1
1591 다따무따 2025.01.06 767,904 1
1590 청마 2025.01.03 807,430 6
1589 우인법우 2024.12.23 919,900 13
1588 헤일롱 2024.12.16 986,256 1
1587 경우 2024.12.16 995,270 7
1586 15년부터짱공함 2024.12.13 1,015,745 2
1585 악귀 2024.12.13 986,520 15
1584 뷰티풀드리머 2024.12.07 923,963 1
1583 고양이좋아 2024.11.17 1,058,246 13
1582 마스따카드 2024.11.14 1,055,013 1
1581 ArcticWolf 2024.11.10 1,103,015 0
1580 특수전게릴라 2024.10.14 1,369,035 5
1579 잊지않게썽 2024.10.01 1,432,058 0
1578 김1성 2024.09.28 1,420,646 1
1577 Nobodyzo 2024.09.19 1,510,422 4
1576 고양이좋아 2024.09.19 1,503,978 3
1575 우인법우 2024.09.16 1,523,205 1
1574 뜻밖의여정 2024.09.13 1,529,282 0
1573 우인법우 2024.09.11 1,440,313 0
1572 중년간지뱃살 2024.08.28 1,549,266 1
1571 몽골족 2024.08.23 1,549,993 10

짱공지식인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