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직장생활 하시는 분들 질문 2가지만 좀 드릴게요

LaZeta 작성일 13.12.17 19:19:28
댓글 7조회 1,605추천 0

이런 말 많이 듣잖아요. 회사에서 만년 과장, 만년 대리, 만년 사원 등등..

보통 몇 년차 대리부터 "만년 대리"라는 딱지가 붙나요? 대충? 요즘은 성과제 승진이라 그런 개념이 약하다고는 들었는데,

보통 어느 정도 선에서(몇 년) 그런 말을 듣게 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아, 그리고 회사에서 많이 쓰는

138727547894292.jpg

요렇게 생긴 책 사이에 붙일 수 있는 스티커 같은거 있잖아요. 이거 이름을 뭐라고 하나요?

저 파란부분에는 글씨같은 것도 쓸 수 있게 되어있더군요.

이거 이름도 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LaZeta의 최근 게시물
  • 솔로처113.12.17 19:51:19 댓글
    0
    제가 다니는 회사기준으로 말씀드리면
    대리4년차부터 말년소리듣습니다.
    과장은 6년차부터 말년소리 듣고요.
  • LaZeta13.12.17 21:14:45 댓글
    0
    오오 그렇군요~감사합니다~
  • 가스트13.12.17 20:05:38 댓글
    0
    저 스티커는 "포스트잇 플래그" 입니다.
  • LaZeta13.12.17 21:15:03 댓글
    0
    헛 어려운 이름이군요 ㅋ; 감사합니다~
  • 캬하하하13.12.18 10:01:36 댓글
    0
    동기들, 후배들 승진할때 혼자 승진 못하고 있으면 만년 호칭 붙는거 아닌가요?
  • 차리스마13.12.20 16:00:54 댓글
    0
    1. 만년이 되어야 만년직함을 주는건 아닙니다. 10년만 되어도 만년직함을 얻을수 있습니다.
    2. 견출지라고 합니다.
  • zuerst13.12.21 16:57:51 댓글
    0
    아주 작은 중소기업을 제외하고, 업종별로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저나 제 주변을 보면 대개는 사원(3-4년)>대리(3-4년)>과장(3-4년)>차장(4-5년)>부장(4-5년) 입니다.
    생산직이 많은 곳에는 사원과 대리사이에 주임이라는 직급도 더러 있는데, 이건 일본의 잔재? 일겁니다.
    그리고 연구소가 있는 회사는 사원=연구원, 대리=선임연구원, 과,차장=책임연구원, 부장=수석연구원
    이런 개념입니다.
    군대 다녀오셨으면 아실겁니다. 장교도 보통 중위까지는 자동진급이죠?
    직장도 대리까지는 거의 자동진급입니다.(회사에 큰 잘못을 하지 않은 이상)
    과장부터 이제 약간의 제한이 시작되는데요.
    만년대리는,,학력에 따른 차별이나, 생산직이나 기술직중 화이트 칼라와 같이
    진급을 하지 못하는 직종이나 직군들이 간혹 있습니다. 대개는 과장부터 간부로 인정되거든요.
    성과가 좋은 직원들은 특진이라 해서 기준되는 연한보다 1년 정도 일찍 진급하는 케이스도 있습니다.
    직원중에 최고직급인 부장이 되면 연한 제한이 없다고 보면 됩니다.
    임원이 되거나, 그냥 버티거나, 아님 나가거나.
    동기까지는 괜찮으나 후배가 임원이 되면 보통은 나가더군요.
    저 같은 경우는 대리기준 4년인데, 2년반만에 과장으로 특진한 케이스인데,
    과장은 또 기준보다 반년을 더 했네요. T T.
    진급 빠르다고 기뻐하지 말고, 진급 늦다고 슬퍼하지 마세요.
    요즘같은 세상엔 가늘고 길게 가는것도 현명한 처세일 수 있습니다.

자유·수다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