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적금 잘아시는분!

MEET 작성일 16.01.05 22:37:43
댓글 9조회 1,491추천 2

145200070861486.jpg

 

사회초년생 적금을 시작하려고 합니다.

한달에 100만원씩 넣으려고 하는데요

 

평일에 은행갈 시간이 도저히 없어서

어머니이름으로 통장을 만든 후 제 월급통장에서 100만원씩 빠져나가는 방식입니다.

(혹시나 말씀드리자면 어머니가 그 돈을 다쓰셔도 전혀 상관없습니다)

몇가지 질문을 정리하자면

 

1. 어머니가 통장을 만드시고 제 통장에서 매달 빠져나가게 하려면 제 민증이나 필요한 준비물이 있을까요?

 

2. 어머니가 은행에서 상담을 받으실거 같은데 직원이 유도 하는 상품으로 하실 것 같아 걱정입니다. 피해야할 상품이 있을까요?

 

3. 2번과 맥락이 이어지는데 적금 추천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이자율이나 기간등)

 

4. 중간에 적금을 깨게 되면 손해가 발생하나요? 아니면 이자가 줄어드는 정도일까요?

 

5. 기타 주의사항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적금은 목돈을 마련한다는 의미로 저축한다고 하지만 저는 돈을 불리려는 의도로 하고 싶습니다.

요새 적금 트렌드는 어떤가요?

 

 

 

 

 

 

 

 

MEET의 최근 게시물
  • 곰보푸딩16.01.05 22:47:36 댓글
    0
    적금 으로 이자 받아서 불린는건

    1988 덕선이 아부지 한일은행 17프로나 하는거고요
    요세 2 프로 정도 하던대...
    아 저축은행은 4프로 대 인거 같아욧
  • 이대너구리16.01.05 23:56:31 댓글
    0
    한일은행 올만에 들어보네요...
    제 첫 통장은 상업은행.. ㅎㅎㅎ
  • 푸른보름달16.01.05 22:52:24 댓글
    0
    음....다른얘기 일지모르겠습니다..
    얼마전 아버님이 편법?으로 노령 연금 타 드실려고
    제게 35백만원을 맡기시며 제통장에 넣으라 하시더군요,
    제 주거래(기업은행)에 가져가니 그냥 적금을 넣지맣고
    채권?에투자식?적금을 넣으라더군요..
    35백만원2년 넣으면 이자가 근150만원이 붙더군요
    (당연히 원금보장 가능하구요)
    없는돈 셈치고 넣었습니다.
    전 목돈을 한방에 넣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어머니가 오래 거래하셨던 은행이 낫겠죠..?
    그리고 혜택?도 조금알아보세요
    제(기업은행) 월급통장은 월10만원 적금만 들어가면
    24시간 모든은행 atm수수료면제 인터넷뱅킹면제입니다
    이거 꽤쏠쏠하더군요..
    예전에는 휴대폰 자동납부로도 가능했지만 지금은 모르겠습니다.
    잘 알아보시고 결정하세요
  • valu16.01.05 23:02:24 댓글
    0
    급여통장 있으신데 혹시 인터넷 뱅킹 안하시나요?
    적금이라는게 각 은행마다 달라서 딱히 뭘 추천하기는 어렵습니다
    어차피 중도해지 해도 원금을 까이지는 않으나 이자가 거의 안나옵니다

    예금과 적금은 다른데 예를들어 예금은 천만원을 일년을 넣어놨을때 2%라면 이자가 만기시 이자가 20만원정도입니다 적금은 광고를 높게 예기합니다 매달 80만원씩 넣으면 4%라고 하면 이게 쫌 말장난인데 첫달에 넣는돈 80에 이자가 4%이고 두번째 달은 11개월에 나오는 이자가 나오는 식입니다 그래서 보통 만기에 돈을 찾으면 이자가 사십은 커녕 십만원도 나오기 힘듭니다

    초년생이시라면 돈이라는게 모으는 재미를 알아야 모을수가 있습니다
    지금은 어떤상품을 하든 금액이 크지 않아서 어떤 선택을 하든 차이가 없습니다
    3년씩 적금 들면 살면서 목돈들어갈일이 생길수도 있고 그렇게 돈이 나가면 돈모으는 재미가 없습니다

    저같은 경우는 매달 얼마씩 MMF에 넣은후 오백이 만들어지면 6개월이나 일년짜리 예금으로 돌립니다
    이자율이 분명 높지 않지만 이런 통장을 몇개 만들게 되면 계절이 바뀔때마다 만기되서
    단돈 십만원이라도 이자가 생기게 되면서 점점 돈모으는 재미를 느끼게 될껍니다
    직장인은 펀드나 주식빼곤 크게 돈 벌 수단이 없습니다 지금은 돈모으는 습관을 갖는게 더 중요합니다
    목표 금액을 정하시고 이후에 투자는 목돈이 완성된후 준비하셔도 안늦습니다
  • 742394616.01.05 23:13:25 댓글
    0
    자유적금 넣 으시길 , 은행이자는 답없음
  • nayu9816.01.06 01:05:06 댓글
    0
    요즘 적금으로 돈 불린다는 건 좀 어렵죠..
    그냥 놔두면 다른데 써버리니 넣어놓으면 낮은 이자라도 붙긴 하니까 들긴 합니다만..

    적금은 한꺼번에 들지 마시고 몇개로 나눠 놓으시는게 낫습니다.
    장기 적금, 단기 적금, 자유 적금..등으로 상황에 맞게 목돈을 마련하는 것이 좋죠
    살다보면 액수야 어떻든 목돈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생기거든요.

    장기적금은 5-10년 정도 목표금액을 만드는 상품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보험 상품을 은행에서 판매하고 있는 것이라 적금이라 보면 안되고 보험이라 보셔야 됩니다.
    중도해지시 원금 손실 우려가 있어 꼭 만기 채울 생각이 아니면 신중히 생각하셔야 되구요

    단기 적금은 보통 1-3년 정도로 정액 불입하고 만기되면 예금 상품으로 돌리셔도 되고
    필요한 곳에 사용하셔도 되죠 ( 길게는 자동차 구매..짧게는 여행 등등 )
    자유 적금은 유동적으로 생활비 외에 여유자금을 모으시면서 경제 상황에 따라 불입/햬지를 하시면 되구요

    단기나 자유 적금 같은 경우 ( 순수 은행 상품 )에는 원금 손실은 절대 없습니다.
    이자 소득에만 세금이 적용되기 때문에 확실히 원금 보장..

    행여 주택에 대한 관심이 있다면 청약종합저축통장 하나 만들어 두시면 좋습니다.
    적금 중에는 이자율이 높습니다..그래도 0.몇 퍼센트..지만..

    어차피 은행 적금은 단기간에 목돈을 만들기에는 이제 한물간 방법이지만 나름 목적에 맞게 계획 세우시면
    훗날에 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좋은 결실 얻으시길 바랍니다.
  • ljk315316.01.06 01:10:21 댓글
    0
    1. 이건 잘 모르겠네요.

    2. 펀드, els처럼 투자상품을 권하지는 않을 것 같으네요. 딱 적금만 만들겠다고 말씀하시면 은행 직원도 유도 안 할겁니다. 적금 상품 중에서는 은행원이 추천해주는거 하시면 됩니다.

    3. 기간을 추천해드리기는 뭐합니다. 원래 저축이라는게 본인이 저축 목표에 맞게 기간을 설정하시는 거라서요. 다만 적금을 붓기로 약정한 기간(만기)가 길수록 이자율은 높아집니다. 은행 사이트 들어가보시면 기간별로 이자율 표가 있어요.
    ?
    4. 원금(본인이 부은 돈)에서 마이너스 되지는 않습니다. 다만 처음에 약정했던 이자가 아니라 0~0.1%정도밖에 안 붙어서 나옵니다.

    5. 차라리 스마트폰이나 인터넷뱅킹으로 가입할 수 있는 적금을 가입하시는건 어떤가요? 본인 명의로 가입할 수도 있고, 이자도 더 좋은 편이고, 굳이 은행에 방문 안 하셔도 되는데요. 은행 사이트 들어가보시면 그런 적금들이 있습니다.

    ?그리고, 위엣 분들이 말씀하신 것처럼 적금으로 돈 불리는건 어렵습니다. 이자가 2%도 안 되는데요. 게다가 이자율 2%, 물가가 1%라고 치면 일년에 본인이 실제로 받는 이자는 2-1=1%밖에 안 되는 겁니다. 일년에 천만원 넣어봐야 이자가 10만원밖에 안 돼요. 그래서 적금/예금은 돈모으는 상품이지 불리는 상품이 아닙니다. 저축 목표를 다시 설정하셔야겠죠...
    가급적이면 재테크 지식을 부지런히 찾아 다니셔서 펀드나 els같은 상품을 알아보시는게 가장 좋고요, 그게 어려우시면 일단 적금으로 목돈을 마련하세요. 그 목돈으로 나중에 투자를 하셔야지 돈이 불어납니다.
  • 우랴루16.01.06 02:13:52 댓글
    0
    청약이나 드세요 이자도 2프로 이상에 소득공제도 받을수잇음
  • 덕후삼촌16.01.06 15:45:16 댓글
    0
    본인명의 통장으로 만드심이 제일 좋습니다. 일단 그것부터..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87930 부활찾아서 01:50:41 1,148 0
87929
[1] MZ 알바
소주한잔만취 2025.03.31 1,983 3
87928 돌핀시계 2025.03.31 2,598 3
87927 우리어머니 2025.03.31 3,985 1
87926 nagne73 2025.03.31 6,153 1
87925 민들레처럼살자 2025.03.30 11,568 1
87924 pikes 2025.03.29 17,849 3
87923 볼텍스가우리 2025.03.28 26,582 2
87922 치킨나라피자왕자 2025.03.27 34,275 2
87921 짱짱잉 2025.03.27 35,735 0
87920 기부니꿀꿀 2025.03.26 39,056 4
87919 메메몽 2025.03.26 40,076 1
87918 민들레처럼살자 2025.03.26 41,815 2
87917 기노시타쇼죠 2025.03.26 45,412 8
87916 고퀄맅 2025.03.25 46,264 1
87915 아아아응웅 2025.03.25 46,880 2
87914 홍소똥 2025.03.25 47,368 4
87913 치킨나라피자왕자 2025.03.24 53,917 2
87912 닉짱공 2025.03.24 55,816 3
87911 민들레처럼살자 2025.03.23 60,826 3
87910 민들레처럼살자 2025.03.23 60,046 0
87909 치킨나라피자왕자 2025.03.23 61,033 4
87908 달려라뭐하니66 2025.03.22 65,196 3
87907 nise84 2025.03.22 65,623 2
87906 단팔짱짱 2025.03.22 66,870 3
87905 치킨나라피자왕자 2025.03.22 70,922 1
87904 이쿠에에쿠 2025.03.20 82,090 1
87903 현금술사 2025.03.20 82,932 7

자유·수다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