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중국 장문에 출장 갔다 오느라 못 들어왔었네요.
모 간만에 들어왔는데 여러의견들이 참 많이 보이는데요..
일단 조선사의 역사서에 대한 답변부터 드리죠..
역사서란 우리가 과연 어떤것일까라고 물어본다면 너무나 주관적인 답변이라서
어떻게 얘기하기가 그렇네요.. 그 유명한 카의 경우엔 저자의 중요성을 얘기 한것 같은데..
전 오히려 독자가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단순한 고인돌의 분포도를 나열했다고 했을때 과연 우리는 그 사실을 역사로 받아들일수
있을까? 없을까? 하는 문제는 분포도를 본 사람이 판단하는것이죠.
즉, 연대기를 봤을때 그 연대기에 의해 우리가 과연 어떤 인식을 할까요?
제 생각은 그렇습니다.
연대기에 의해 독자는 역사에 대해 어느정도 인식하게 되지 않을까요?
그게 어떤식으로 해석할지는 모르지만요.
그리고 사실로써의 역사와 기록으로써의 역사중 저도 기록으로써의 역사를 더욱더 선호합니다.
왜냐면 주관성이 없는 절대 객관성이란 없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그렇다고 해서 사실로써의 역사를 무시할 이유는 없다고 봅니다.
그러니깐 고등학교 국사책에도 나와있지 않나요?
그렇다면 과연 우리가 조선사 뿐만 아니라 조선사료총간과 조선사료집진의 경우에도 역사서로
볼수 있다고 제가 예전부터 얘기를 드린겁니다.
뭐 아직도 단순한 사료집이라고 얘기하신다면 저도 더이상 얘기 하지 않겠습니다.
제 의견에 동의하시지 않는 이상 제가 강요할수는 없는 노릇이니깐요..
그러나 그러한 책을 봄으로써 역사를 인식하느냐 하지 않느냐로 봤을때는 분명히 역사를
인식한다는 관점에서는 역사서라는것이 바로 저의 생각이기 때문에 동의하시지 않는다면
저또한 어쩔수가 없네요.
그리고 구보님의 의견에 대한 답변을 드리죠.
1. a라는 자료가 조선사에는 수록되어 있지 않습니다. ==>발해에 관련된 모든 사료의 제외.
2. b 부분에는 역시 사료로 인정받고 있는 c 라는 자료가 왜곡되어 수록되어 있습니다.
==>b부분에 사료로 인정받고 있는 대표적인 책은 바로 사고전서입니다.
사고전서의 내용은 아예 기록되어 있지 않죠.
사고전서에는 단군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지만 조선사 중국사료에는 전혀 없습니다.
그리고 C라는 자료가 왜곡되어 수록되어있다.
글쎄요.. C라는 자료가 왜곡되어 수록되어 있지는 않죠.
이미 님들이 얘기한 바와 같이 사료의 취사선택이 있었을 뿐이죠..
따라서, 사료의 취사선택에 의한 왜곡이 될뿐이죠.
가장 단순한 얘기하자면, 음..
일단 보통 화살표와 뒤집어진 화살표에 대한 얘기를 드리죠. 작대기는 모두 길이가 똑같습니다.
그러나 편집에 의해 길이가 달라보이죠.(좀 부적절한 비유인가요?)
그럼 다른 비유를 드리죠.
만약 만년뒤에 현재의 정치사에 대해서 논의하자면, 그당시에 사료를 신문기사에 의존한다면
다른 사료는 모두 버리고 조문동 3신문만으로 편집하게 되면, 과연 그 자료가 과연 우리가
합당하다고 생각됩니까?
바로 앞에서 말씀 드린것과 같이 독자의 인식이 중요하다고 보는것입니다.
단적인 예로,
조선사 중국사료 첫장에 보면 기자에 대한 말이 나오는데 거기에 대한 주석에 보면
마융이 말하길, 기는 나라이름이며, 자는 작위라고 합니다.
그럼 기국이 은나라의 제후국인지, 주나라의 제후국인지에 대한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중국의 제후국이라고 인식하게끔 만드는 착시가 있습니다.
거기에 따른 기자 동래설을 자연스럽게 인식을 시키죠.
바로 이부분이 취사선택에 의한 왜곡이란것이죠.
사실 사마천의 사기는 "汲古閣本", "明南監本", "武英殿本" 등 여러 가지 있지만
그중에서 하필 마융의 주석이 달린것을 그것도 첫머리에 사용했느냐는것이죠.
기자 동래설에 대한 논란은 여러분들도 다 잘아실테니 말씀 안드려도 아실겁니다.
그리고 둘째는 조선사 한국사료에 보면, 단군에 대한 언급이 나오지만 첫장이 아닌
왜 주몽이 나온뒤에 나올까요???
이는 보는 사람마다 다를수 있지만, 삼국유사의 내용이 곰과 호랑이의 얘기로 인한
은근히 신화적임을 부각시키며 단군에 대한 역사적 논의자체를 배제하려는 의미가 포함됩니다.
그리고 발해사에 대하여 빠진 부분에 대해서도 참 아리러니 합니다.
물론 Shaw님께 여러차례 발해에 대한 부분에 대해 질문을 드렸지만 명확한 설득은 되지 않아
보이더군요..
예를 들어 책에 있어서 일관성이란 상당히 중요합니다.
그러나 조선사란 책은 shaw님의 의견에 따르면 고구려에 있어서는 민족이라는 잣대와
발해에 있어서는 지역이라는 이중잣대를 사용한것이죠.
그럼 이중잣대가 과연 합리적이고 설득력이 있어 보이나 하는것은
저에게는 그다지 설득력은 없어 보입니다.
따라서 제가 보기엔 조선사란 책이 문제가 많은 책이라는 것이죠.
그러나 문제 많은 책이라서 과연 터부시 되어야 하느냐는 것은 별개의 문제입니다.
편년체 양식의 사료집으로서는 상당히 유용한 면도 없잔아 있습니다.
일본서기의 경우에도 환인갑주상의 문제와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밑천이 되는
사서이지만 그 책을 버릴수는 없는 노릇이죠.
복어에 비유하자면 독이 있다고 해서 그 고기를 버리는것은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환단고기도 똑같습니다.
뭐 오행취루에 대한 연대가 틀린것에 대한 백승길님인가? 해담님의 의견에 따르면
120년 차이나는 일본서기도 사료로 인정하면서 그보다 몇천년전의 일의 몇년을 가지고
차이가 나니깐 위서라고 얘기하는것은 조금 문제가 있어 보입니다.
그리고 심지어 계연수란 사람에 대한 부정으로까지 이어지던데, 계연수란 사람이
분명히 존재하며, 그 사람이 쓴 책도 존재하는것을 보면 님들의 의견이 조금 퇴색해 보입니다.
그러나 사실 문제 많은 내용이 수록된것은 사실이죠.
그렇다고 무조건 위서라고 터부시하는것도 문제가 있다는 여름의전설님의 의견은 상당히
합리적이란 것이 제 생각입니다.
사실 아직도 우리 상고사에 대한 논의는 엄청나게 활발하게 앞으로 이뤄질듯 보입니다.
대표적으로 夷가 과연 우리 민족을 가르키는것인가? 하는 문제입니다.
과연 역사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에는 아직 그 누구도 명확한 답변이 없습니다.
다만 난 역사란 이렇게 생각한다라고 얘기하는 사람들의 영향력만 있을 뿐이죠..
전 역사의 순환주의를 인정하고 있는 사람으로써, 만약 지금 현재 일제시대에 부역에
정당성을 부여하거나, 일제의 민족성말살에 대한 면죄부를 주거나 한다면 차후
어느 민족에 나라를 뺏겼을때 과연 어떤사람이 독립에 대한 열정을 지니고 전개하겠느냐는거죠.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일제시대에 부역을 한 사람들은 잘살고, 독립유공자후손은 못사는 기형적인
나라가 되지 않았나요???
역사란 여러분들의 몫입니다. 제 글을 읽고 틀렸다고 생각하면 읽어준 시간이 아까운것에
대해서는 미안하게 생각되지만 그냥 이전페이지 한번 클릭하시면 되고,
만약 맞다고 생각되시면 전 고맙게 생각할겁니다.
글재주가 좀 없어서 장문을 적으려니 ㅎㅎㅎ 매우 힘드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