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이 태워지는 화학적 원리..

새로운오후 작성일 16.07.11 15:06:06
댓글 17조회 4,768추천 7
뛰기가 몸에 좋은 이유 마라톤밴드에서 펌

 

운동을 어지간히 해서는 살이 잘 빠지지 않는다. 연구에 따르면 지구력 훈련을 2~6개월 정도 해도 체중에는 변화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의사들이나 건강 전문가들이 운동을 건강 장수의 필수 요건으로 꼽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국 일간 데일리메일 보도에 따르면 영국 리버풀 존 무어스 대학교와 네덜란드 라드바우드 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운동을 하면 내장지방이 제거돼 장수에 도움이 된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의하면 운동을 하면 내장지방이 제거되고 이에 따라 당뇨병이나 순환기계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낮아져 건강하게 장수하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운동을 하면 지방간 등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호주 시드니대학 연구팀은 “규칙적으로 유산소 운동을 하면 지방간을 치료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며 “정기적인 운동은 심장병이나 당뇨병 위험도 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지방간은 간에 과도한 중성지방이 쌓여서 생긴다. 그러나 운동을 하면 간 건강 등 내부 장기의 상태가 좋아지기 때문에 체중계 눈금에 너무 연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운동으로 줄어드는 지방은 어떻게 사라지는 걸까. 유산소 운동을 하면 흔히 ‘지방을 태운다’라는 표현을 쓴다. 그래서 상당수의 건강 전문가들은 지방이 열이나 에너지로 전환된다고 말한다.

하지만 호주의 공동 연구팀에 따르면 사실상 대부분의 지방은 숨을 쉬는 과정에서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빠져나간다. 연구팀의 루벤 미르멘 물리학 박사는 “호흡을 통해 내뿜어진 지방은 공기 중으로 흔적도 없이 사라진다”고 말했다.

-------------------------------------------------------------------------------------------------

개인적인 생각을 말씀드리는 것으로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을 바로잡아 주셔도 환영입니다.





호흡 형태로 지방이 빠져나간다.

이 말이 가장 인상적 이였습니다.



지방에 대해 사전적 의미를 보고 싶더군요.  


-----------------------------------------------------

146821710627724.jpg

 
------------------------------------------

 

지방산과 글리세롤이 결합했다고 하는게 그럼 그것들은 뭔가 또 봅시다.


------------------------------------------

 146821711855167.jpg

146821712984319.jpg

 

-----------------------------------------------

모두 탄소가 있는 유기화합물입니다.

유기화합물은 산소와 만나서 완전연소 될때 물과 이산화 탄소로 바뀝니다.

그래서 지방을 태운다라는 표현은 맞는것 같습니다.

간단한 메탄의 연소되는 화학식을 봅시다.


CH4 + 2O2 = CO2 + 2H2O


즉, 메탄은 산소와 만나서 이산화탄소와 두개의 물로 됩니다.

이것은 이상적 완전연소입니다.

가솔린이나 디젤유처럼 탄소가 길게 연결되고 다양한 결합상태라면 불완전 연소를 하며 이때 여러 불순물들도 만들어 집니다. 

 


각설하고...


호흡을 할때 우리는 산소를 흡입하고 이산화 탄소를 내보냅니다.

상식적인 내용인데... 산소(O2)가 들어와서 지방을 태워서 탄소(C)를 잡아 나가는 구조입니다.

O2흡입, CO2 배출.

 

 

 

호주 뉴사우스 웨일스대학 연구팀 결과에 따르면 지방 10kg 산화시 8.4kg는 이산화탄소로 배출되고, 1.6kg은 물이 됩니다.

 


146821714071521.jpg




대부분의 화학결합은 온도가 높을 수록 반응을 잘합니다.

 

러닝을 하면 체온이 높아져 마치 반응기 온도를 높힌 효과가 있습니다.

 

폐로 많은 산소를 흡입하고

심장은 열심히 피를 돌려 산소를 미세혈관까지 힘껏 밀어줍니다.

구석구석 산소가 돌며 지방의 지방의 탄소(C)를 잡아 나오는 일을 폭발적으로 수행하게 됩니다.  

당연히 탄소를 잃은 수소도 산소와 반응하여 물이 되며 배출됩니다.  

 

 


 

아! 참고로 몇년 전 산림청 행사에서 알게된걸 덧붙힙니다.

나무는 사람과 반대로 이산화탄소를 흡입하고, 산소를 배출합니다.

즉, CO2 --> O2 여기까진 상식입니다.

 

그런데  

탄소가 남아서 나무가 자라는것 이라는 설명에 아~! 하는 깨우침이 있었습니다.  

(뿌리에서 흡입한 수분과 탄소가 결합하여 유기화합물이 되어 나무가 되는듯.) 


 

묘목이 자라면서 지구 온난화의 주범 이산화탄소를 빨아 당기고

사람에게 유익한 산소를 뱉어 줍니다.

큰 나무 밑에 작은 나무는 크질 못하니

다 컷을때 잘라내는게(간벌) 환경에 더 좋다고 합니다.



옛날 화학시간에 배웠던 내용인데..

우리가 상식으로 알던 호흡과 함께 생각하니 재미가 더해 지는군요?  

 

새로운오후의 최근 게시물

운동·건강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