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제발 일 잘하는 방법 좀

강왈왈 작성일 16.10.14 20:29:18
댓글 14조회 6,265추천 1

안녕하세요 연구직에 종사하는 사람입니다 형님들 제발 저에게 조언을 주세요.. 여기에도 글쓰지만 회사 선임에게 술을 사서 제발 일 잘하는 방법 알려달라고 말할건데  진짜 오늘 누구 한명한테 말 못하면 죽을꺼 같아 여기에 글 남깁니다..

 

전 연구원으로 입사 한지 1년이 다되어 가는데 정말 일을 못합니다.. 

 

오늘도 발표하는데 왜이따구로 했냐 선임한테 물어보고 만든거냐 라며 부사장님께서 혼내시더군요.. 

 

이미 진작에 눈치는 챗지만 회사 선임들 저 대신 다른 사람 뽑는게 낫겟다며 이야기를 한거 같더군요..

 

오늘 발표 끝나고 부사장님과 면담을 한시간 동안 진행하면서 한달만에 짤린 사람이야기도 하고 하는일이 적성에 맞긴 맞는거냐 일할 생각은 있는거냐 라며 연말까지 두고보고 진짜 아니다 싶으면 힘들꺼라고 하시는데 그말은 곧 연말까지 개선되지 못하면 짜르겠다는 이야기로 들렸습니다..

 

사실 저 이 회사 들어오기 전에도 같은 업종 여러곳에서 일 못한다고 이야기 많이 들었고 심하면 3개월만에 짤리는등 쉽게 업무 적응을 하지 못했거든요.. 

 

이러면 내가 정말 이 업종에서 하는 일을 못하는거 같은데 그렇다고 실험 결과가 나쁘게 나오지 않는걸 봐서 쓸만한거 같기도 한데 또 그렇기엔 잔실수도 많이 하고 제가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드는게 남들이 봤을땐 그냥 대충 한것 처럼 보입답니다..

 

저는 이일이 좋아 여러곳에서 잘려도 끝까지 남아있지만 만약 이번에도 잘리게 되면 다시 제가 종사하는 연구직으로 취업을 하긴 힘들거 같아 너무 막막합니다.. 그렇기에 새로운 일에 도전하기에 나이가 너무나도 많고.. 

 

진작에 이 업계를 떠났어야 됬는건지 아님 그래도 끝까지 남아 끈기있게 하는게 중요한건지도 모르겠고..

 

그런 사람들은 남들이 사회 부적응자라고 말하지만 전 제 자신 인생 부적응자인거 같아 죽고만 싶습니다..

 

어디 누구한테 이런 말 털어 놓을 때가 없는 내 자신도 너무나 한스럽고 30줄 나이 다되도록 그런 친구 하나 없다는것도.. 내 인생은 왜 이러는걸까 라고 생각도 들고 

 

집에다는 혼자 타지에서 고생하는걸 생각해서 걱정할까봐 회사에서 좋은 이야기 들은 것만 골라 이야기 합니다.. 사실은 좋은 이야기는 1이면 안 좋은 이야기는 9인데도 말이죠

 

제발 일 잘하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마지막으로 일 못하면 나가야지 그런말을 삼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강왈왈의 최근 게시물
  • 0
    연구직이 아니라서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혼자 있기 좋아하고, 동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성격이 아니신지요?
    아니면 일 자체를 처리함에 있어 성과를 내지 못한게 문제신지요?
    제가 볼때 생각이 많아 여러가지를 쫓고, 다른 사람의 이목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게 아닌가 싶네요.
    생각은 단일화 해서 목표 몇가지 적어놓고 한가지씩 하시면 되고, 원래 성격은 고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직업 자체를 바꿔버리지요.
    그냥 그런 성격이면 그런 캐릭터로 밀고 나가되, 사회에선 문제아여도 일만 잘하면 됩니다.
    일(능력)은 학원이나 아는 능력자분에게 돈주고 배워서라도 익혀야 그 직장에서 1일분을 충분히 할 수 있는거죠
    아직 1년이면 햇병아리입니다. 몇번 깨진건 그냥 배우는 과정입니다. 자전거 타면서 몇번 넘어지듯이
    일은 그냥 목표를 가지고 인고의 시간을 거쳐야 됩니다. 한 3년 밑바닥 생활하면서 매일 욕 먹는다는 각오로
    임하셔야 합니다. 특히 재능이 없으면 몇년 더 고생하고 더 밑바닥으로 내려가서 고생한다
    이런 각오로 임하셔야죠. 삶은 오랜 인내와 한순간의 보상이죠. 직업선택은 님이 오랫동안 심사숙고 했을테니
    또 살면서 변하기도 하는거구요. 이왕 시작한거 끝을 본다는 생각으로 임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 붙잡고 내가 뭘 고쳐야 하는지 물어보는 그런건 하지 마시기바랍니다.
    어짜피 다른 사람도 불완전한 사람일 뿐입니다.
    나에게 물어서 문제가 없으면 다른 사람의 말에 쉽게 휘둘려선 안됩니다.
    물론 나에게 개선사항이 있으면 언제든 약점을 노력해서 극복해야겠지만, 약점극복 보다
    나의 강점을 키우는게 더 효율이 좋습니다.
    더더욱 자신을 깔 수 있는 사람에게는 하지 말아야죠. 자칫 자신감 없음으로 내비춰질 수 있어요.
    실력은 있더라도 주눅든 불안한 표정을 하고 말을 명확하게 하지 않고 더듬더듬거리면
    실력보다 자신감을 먼저 평가받고, 실력을 평가절하 받게 되고, 주눅들고 반복되다 보면 오해가 깊어집니다.
    자신있게 하시고, 많이 노력하면 주위 사람들은 알아볼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이 노력하고 공부하고 그래도 잘리면 또 다른 길이 열립니다.
    하늘은 스스로 돕지 않는 사람을 돕지 않습니다. 미리 닫힐 길이 염려되어 요령이나 임시방편을 택하지 마시고
    고난의 정도의 길을 가십시오. 그것이 내가 정한 좁은 나의 길이라면요.
  • 그레피티16.10.14 21:08:10 댓글
    0
    발표자료 share slide 나 공유하실 수 있는곳에 올려주시고 줘보세요. 한번 볼게요.
    현재 대기업 연구개발직이구요. 대학원때는 국책도 했었습니다.
    일 잘하는 방법은 우선 자기업무는 직책에 맞게 잘 마친 뒤, 보고만하고 피드백만 받으면되는건데..
    본인 업무 중 모르는부분만 딱 명확하게 객관적으로 1개~2개정도면 같이 해결해줄만한데, 그게 아니라면 저라도 짜증날꺼같네요.. 아무튼 보고 판단하는게 좋을듯요~
  • 강왈왈16.10.14 21:20:40 댓글
    0
    어느 분야 연구개발직이신가요? 전 생명공학 관련 회사라.. 연구분야가 다르면 조금 보기 힘드실수도..
  • 그레피티16.10.16 00:28:28
    0
    전 IT지만, 여기 다른분들도 있고 조언 얻기엔 괜찮을거같네요.
  • 벌써몇년16.10.14 21:22:25 댓글
    0
    일을 잘 하는 방법은 보고서 잘 쓰는 방법을 익히시면 됩니다.
    보고서를 쓰려면 쓸 내용이 있어야겠죠? 그러면 그 내용은 어디서 구하느냐?
    스스로 연구한 결과를 정리하면 됩니다.
    그럼 어떤 연구를 하느냐?
    연구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를 해야합니다. 여기서 일 잘하느냐 못하느냐가 나뉘는데 스스로 계획해서 연구를 수행하면 일 잘하는 거고, 모르면 공부하거나 회사 내부 자료 뒤져보던지 선임에게 물어보면서 방향을 잡아야하는데 초롱초롱한 눈으로 선임만 바라보고 있으면 일 못하는 겁니다.
    연구 수행을 하면 문제가 항상 발생하는데 이걸 극복하는 거도 역시 스스로 찾아보고 해결을 해야겠죠? 모르면 물어보면서요.
    연구 결과가 나오면 보고서 작성할 때 목표대비 달성도를 먼저 표로 만들어서 잘 보이게 첫장에 박아주시구요.
    나머지는 그에 대해 상세한 내용을 풀어가시면 됩니다.
    어떻게 해서 이러한 결과를 얻었다. 이러한 문제는 이렇게 해결했다. 등등 논리적으로 이야기하듯 보고서를 풀어가시면 되요.
    보고서는 누가 봐도 뭘 하려고 하는 연구였는지, 목표는 무엇이고 얼만큼 달성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달성한 것인지 알수 있게 작성한다면 좋은 보고서가 됩니다.
  • 미란얀16.10.14 22:22:21 댓글
    0
    훔치세요... 위에 사람이 하는일 잘보시고 훔치시고 일 잘하는 사람 꺼 베껴서 훔치세요 훔쳐서 내껄로 만드세요 나쁜게 아닙니다 그것부터 시작이에요 훔치다 보면 내 사타일대로 바뀌고 이게 더 편하고 좋은데 이러면서 더 너아지는 법이에요... 그리고 또 한가지는 회사내에서 인간관계가 중요한데 이건 안다고 다 되는게 아닌데 정말 중요한게 인간관계입니다...
  • 해늙은아이16.10.15 01:52:11 댓글
    0
    어쩌다어른 53회 보세요. 개인차는 있겠지만 전 느끼는게 있네요.
  • dbtjd16.10.15 04:51:19 댓글
    0
    대학교 때 발표 몇번 해보셨어요?? 조별과제를 주도적으로 해본 횟수는??
  • 미르9916.10.15 21:34:43 댓글
    0
    자료 작성 후 몇 번 검토하시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최소한 1시간 간격으로 3번은 다시 검토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검토하실 때 보고받는 사람 입장에서 생각해 보세요. 참고로 보고받는 사람들은 두괄식을 선호합니다. 결론부터 표현 후 그 아래 이유에 대해 설명해 보세요. 이상 대기업 과장 4년차의 보고 조언이었습니다.
  • gres616.10.16 13:27:38 댓글
    0
    일 잘하는 방법은, 그 일에 대해서 좀더 많이 생각해보고, 좀더 많이 시도해보고 해서 이것 저것 해본 노하우가 쌓여서 일을 잘하게 되는거구요. 남들보다 빨리 배우는 사람도 있지만, 그건 실력 느는 속도가 빠르다는거지, 현재 절대적인 일하는 능력이 좋다는 것과는 좀 다른 얘깁니다.
    다시 말하면 일을 잘 못하는 사람은 새로운 일을 배우고 적응하는 측면에서는 소위 천재적인 사람을 절대 못따라갑니다. 하지만, 자기 일 열심히 하다보면, 천천히라도 실력이 늘고 그러다보면 어느정도 노하우도 쌓이고, 그렇게 하다가 보면 경쟁력도 생기는 거죠. "일 잘하는 방법"이란건 솔직히 기준을 높이고 남들보다 열심히 하는것 그 이상은 없는것 같네요.
    위에도 언급되었지만, 일을 잘한다는 소리를 듣고 싶으시면, 상대가 (같이 일하는 선임이든, 보고를 받는 상사든) 무엇을 원하는지 곰곰히 생각해보시고, 그 기대를 충족하기 위해 하나라도 더 해보는 수밖에요.
    마지막으로 선임에게 일 잘하는 방법을 물어* 마시고, 본인이 무엇을 잘 못하고 있는지, 혹은 본인의 어떤부분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지 구체적으로 지적해달라고 요청하세요. 그리고 하나하나 고쳐나가시는게, 막연히 일 잘하는 방법을 찾는것 보다는 훨씬 빠르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 불꽃의파이터16.10.16 21:23:06 댓글
    0
    연구직이 아니라서 잘은 모르겠습니다만, 혼자 있기 좋아하고, 동료들과 잘 어울리지 못하는 성격이 아니신지요?
    아니면 일 자체를 처리함에 있어 성과를 내지 못한게 문제신지요?
    제가 볼때 생각이 많아 여러가지를 쫓고, 다른 사람의 이목에 신경을 많이 쓰시는게 아닌가 싶네요.
    생각은 단일화 해서 목표 몇가지 적어놓고 한가지씩 하시면 되고, 원래 성격은 고치기 어렵습니다.
    그래서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직업 자체를 바꿔버리지요.
    그냥 그런 성격이면 그런 캐릭터로 밀고 나가되, 사회에선 문제아여도 일만 잘하면 됩니다.
    일(능력)은 학원이나 아는 능력자분에게 돈주고 배워서라도 익혀야 그 직장에서 1일분을 충분히 할 수 있는거죠
    아직 1년이면 햇병아리입니다. 몇번 깨진건 그냥 배우는 과정입니다. 자전거 타면서 몇번 넘어지듯이
    일은 그냥 목표를 가지고 인고의 시간을 거쳐야 됩니다. 한 3년 밑바닥 생활하면서 매일 욕 먹는다는 각오로
    임하셔야 합니다. 특히 재능이 없으면 몇년 더 고생하고 더 밑바닥으로 내려가서 고생한다
    이런 각오로 임하셔야죠. 삶은 오랜 인내와 한순간의 보상이죠. 직업선택은 님이 오랫동안 심사숙고 했을테니
    또 살면서 변하기도 하는거구요. 이왕 시작한거 끝을 본다는 생각으로 임해야 합니다.
    다른 사람 붙잡고 내가 뭘 고쳐야 하는지 물어보는 그런건 하지 마시기바랍니다.
    어짜피 다른 사람도 불완전한 사람일 뿐입니다.
    나에게 물어서 문제가 없으면 다른 사람의 말에 쉽게 휘둘려선 안됩니다.
    물론 나에게 개선사항이 있으면 언제든 약점을 노력해서 극복해야겠지만, 약점극복 보다
    나의 강점을 키우는게 더 효율이 좋습니다.
    더더욱 자신을 깔 수 있는 사람에게는 하지 말아야죠. 자칫 자신감 없음으로 내비춰질 수 있어요.
    실력은 있더라도 주눅든 불안한 표정을 하고 말을 명확하게 하지 않고 더듬더듬거리면
    실력보다 자신감을 먼저 평가받고, 실력을 평가절하 받게 되고, 주눅들고 반복되다 보면 오해가 깊어집니다.
    자신있게 하시고, 많이 노력하면 주위 사람들은 알아볼 수 밖에 없습니다.
    많이 노력하고 공부하고 그래도 잘리면 또 다른 길이 열립니다.
    하늘은 스스로 돕지 않는 사람을 돕지 않습니다. 미리 닫힐 길이 염려되어 요령이나 임시방편을 택하지 마시고
    고난의 정도의 길을 가십시오. 그것이 내가 정한 좁은 나의 길이라면요.
  • 강왈왈16.10.17 15:56:32 댓글
    0
    좋은 조언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 자자자시16.10.17 20:59:58 댓글
    0
    자신이 일못한다고 느끼는 정도면 충분히 고쳐나갈수 있을거 같은데요~
    왠만한 사람들은 자기가 일못하는거를 인정하지 않죵
  • alswn4316.10.18 21:30:01 댓글
    0
    일잘하는건 시간이 해결해주는데...
    연말까지라;; 그냥 화이팅입니다.
    아. 그리고 자꾸 나 못한다 못한다 생각하지마시고 자신감을 가지세요 . 그게 중요합니다. 못한다는 관념에 잡히면 진짜 못해지니까요.
  • 겸손한신사16.10.19 01:45:34 댓글
    0
    솔직히 시간이 해결해주긴하는데요

    일차원적으로 생각하시면서 일하세요

    내가 할수있는거 잘하는거 못하는거 순서대로 미루시고

    질문을 계속하세요 그러면 어느순간부터 상사한테 책임전가가있는겁니다

    그윗대가리 님한테 머라고하면 은근슬쩍 상사 이름 대세요

    어차피 사회생활이라는게 서로 깍고 깍는겁니다

    제가볼떈 글쓴님 이상태로 열심히만 하다간 지쳐서 나가 떨어질것같아 하는 애기입니다
  • DDulby16.11.01 06:15:53 댓글
    0
    정량화&오류보고서
    전체공정을 대중소분류로 분할해서 각 공정별 중요도를 산정합니다
    거기에 일정을 대비시켜 달성목표를 정하고 달성여부를 체크하면 전체 공정에대한 목표대비 진행률이 정량적으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사이에 들어갈 오류보고서는 지체된 일정에 대한 증빙자료로 활용가능하구요
    오류보고서는 다른일을 할때 겪을수있는 상황에 대한 경험적 자산이 됩니다
    대부분의 윗사람들은 이정도만 해주면 만족합니다
    한눈에 들어오거든요
    내가 이해하기 쉽게 잘정리하는사람이 일잘하는사람입니다
    여기서 사족달자면 한도끝도없으니 여기까지만 할께요
    힘내시고 화이팅~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7970 김주하12 2025.03.20 84,668 0
7969 뚜르뜨 2025.03.12 144,719 2
7968 사상최강 2025.03.08 173,744 0
7967 2찍남은죽자 2025.03.08 175,050 1
7966 이공계에이스 2025.03.05 199,883 29
7965 _Alice_ 2025.02.26 245,218 3
7964 _Alice_ 2025.02.24 264,691 5
7963 찐만두두빵 2025.02.24 267,538 4
7962 우주최하노동자 2025.02.24 265,878 4
7961 개나리v 2025.02.23 278,175 4
7960 녹색애벌레 2025.02.19 313,591 3
7959 유자차생강 2025.02.17 327,699 4
7958 에켁 2025.02.12 376,598 2
7957 푸핫핳 2025.02.11 388,632 1
7956 뭘로하지음 2025.02.09 402,088 0
7955 Nobodyzo 2025.02.07 416,069 3
7954 파란불그만 2025.02.02 443,609 4
7953 _Alice_ 2025.01.25 515,715 6
7952 후배위하는선배 2025.01.16 583,078 4
7951 복학생인증 2025.01.12 608,033 5
7950 _Alice_ 2025.01.07 635,902 1
7949 유자차생강 2025.01.05 642,254 4
7948 호구왔또 2025.01.05 623,477 28
7947 콧구녕 2024.12.20 749,375 2
7946 지랄대마왕 2024.12.16 783,744 1
7945 달묘둘째 2024.12.13 791,371 3
7944 yenwpd 2024.12.06 831,486 11
7943 IT하루살이 2024.11.27 882,025 6

인생상담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