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전기관련 진로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idmoon 작성일 18.12.27 04:21:13
댓글 4조회 3,922추천 1
안녕하새요..

사설부터 말씀드리면 저는 딸3 키우고 있는 곧 40대 아저씨입니다..

공장밥(생산직) 먹은지 이제 10년 이구요..

다름이 아니라 현재는 하나 뿐이 조카 진로에 대해 고민좀 해볼려고 합니다..

제 조카는 이제 고등학교에 입학을 하는데..

처음에는 이놈이 지 엄마(처제) 힘들게 하기 싫다고 고등학교 안가고 돈번다고 ㅡㅡ

하는걸 어찌 저찌 처제랑 저랑 설득(?)해서 고등학교는 입학을 시켰구요..

공부는 너무 못해서 선택에 여지는 없지만 제 생각에 그래도 전기과가 낫지 않겠나

싶어 공고 전기과에 입학하기로 했습니다..

애는 못되거나 소위 말하는 중2병 사춘기 같은거 없이 착하게 잘크고 있는거 같은데

진로에 관해서는 제가 지금부터 천천히라도 생각을 하고 어느정도 말뿐이라도ㅠㅠ

해주려고 합니다..

물론 조카가 자기만에 꿈과 열정이 생긴다면 응원해주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그래도 가이드 라인이라도 잡아주며 응원해줘야 할거 같아서요..

제 생각으로 고등학교 전기과(기능사작업증) 폴리텍 대학(가능하면 좀 큰지역)

보내면서 전기쪽 진로를 잡아가는게 어떠 할까 하거든요..

물론 조카가 그러할것이다 단정하진 않을려고 하지만..

저 같은 경우도 10대 20대때 대충 대충 살다가 30대때 좀 후회를 해서..

물론 지금은 나름 행복하게 잘 살고 있습니다!!

배운게 모질라 글이 좀 두서 없어도 이해 부탁드립니다 ㅠㅜ

전기관련 직장구하기!! 가이드라인이나 어떠한 조언도 다해주세요..

ps. 조카놈이 똘똘하진 않은거 같습니다 ㅠㅠ

ps. 이모부가 왜 벌써부터 조카 걱정이냐 라고 생각하신다면
처제가 20살이 어쩌다 보니 아이가 생기고 결혼을 하게 됬는데..
남편이라는 새끼가 1년만에 도망가고 (4년째인가 이혼은 함)
지금까지(조카나이 16세) 연락 한번 안하는 써글놈이라서..
처제랑 제 와이프가 거의 키웠거든요..
저도 연애 결혼 까지하면 조카 애기때부터 봐왔구요..
뭐 조카나 저나 무뚝뚝해서 살갑게 지내진 않지만 지금도 1주에 2-3번은 만나요
idmoon의 최근 게시물
  • 귤♡18.12.27 21:02:59 댓글
    0
    공부한할사람같으면 전기 현장일 보내서 몸부터고생하면서 올라가는게 낫죠.. 전기 자격증은 꼭 기능사라도 있는게 나중에 도움이 됩니다..
  • 칠목리18.12.28 11:04:22 댓글
    0
    자격증은 기본이고...
    P또는 H사 제철소에 전기정비직이 있습니다.
    일단 그것을 목표로 삼고 차근 차근 준비 해 보시는 것이 좋을듯 싶습니다.
    전기현장직 중에서는 제일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아들래미 하나 있는데 공부로 안되면 심각 하게 생각 중이고요.
    PLC나 모터 인버터 드라이브 공부하면 더 도움이 됩니다.

    저는 제철소 자동화설비 구축하는 회사에 근무하는 사람입니다.

  • 언제오려나18.12.29 23:38:53 댓글
    0
    저는 제 인생에 젤 아쉬운게 전기쪽일을 배울걸 하는 후회가 있네요.. 이거 돈주고 학원 다니면서 배울래도
    저희 집 근처엔 학원도 없고 폴리텍마져 전기과는 전멸이네요ㅠ 전기쪽 분야 잡고 하면 밥은 안굶겠던데요?
  • 불꽃의파이터19.01.21 11:51:04 댓글
    0
    일단은 현장에 계신 분들을 찾아보는 것도 괜찮은 방법입니다.
    학생의 의지와 적성이 중요합니다.
    전기는 전국 공고,공대,재취업 교육기관 등 한해 배출하는 인력은 많습니다.
    넘치는 인력만큼 현장에서 하급기술자의 임금은 생각보다 낮습니다.
    조금더 나은 일자리는 산업기사 이상 자격증 유무와 현장경력 으로 기술을 가지고 있냐에 따라
    몸값이 변합니다.
    자격증만 가지고 있으면 없는 사람보다 취업은 잘되고, 임금 조금 더 받겠지만,
    결국 중요한건 기술 입니다.
    취업한 기관이나 공장 등에 따라 정규직/비정규직 부분에서 임금 차이가 나며
    자격증과 전기기술(현장기술)의 유무에 따라가서 취업과 임금이 다릅니다.

    공고로 가신다고 하면 기능사 취득을 목표로 하고, 고등학교 과정 수학은 능숙하게 공부하는게 좋습니다.
    수학은 문제/해결과정/답 을 거치기 때문에 이공계의 문제해결과정 사고과정을 배우고
    또한 이공계의 언어입니다. 수학을 등외시 하는건 외국 보내는데 몸짓만 해서 의사소통하는거랑 진배없습니다.
    수학 학원이라도 보내서 중학교,고등학교 과정을 몸에 익히고, 머리되면 대학수학까지 떼면 좋습니다.
    그리고 취업시즌때는 대기업이나 중견 기업 생산직을 지원해서 합격 되면,
    그냥 생산직으로 눌러앉는게 좋습니다. 여기서 1년 정도 일해서 유사분야경력 쌓이면
    기능사+1년 경력 전기산업기사 취득자격요건이 됩니다.
    취업되자 마자 전기학원 끊어서 직행합니다. 머리 좋을때 따야 쉽습니다.

    생산직 불합격시엔 공고 졸업후 학비가 싼 폴리텍 대학(2년제) 추천입니다.
    학비 비싼 전문대와 비교해서 커리귤럼은 비슷합니다.
    여기선 전기산업기사 빨리 따면 장땡입니다. 또한 많이 실습하면 조금은 도움 되겠죠.
    들어가자 마자 자격요건은 따지지 말고 1학년때부터 전기자격증 학원 끊어서 보냅니다.
    (자격증 딸때까지 전기자격증학원 보낸다고 생각하고 보냅니다)

    군대는 보통 한학기 마치고 가는데, 기능사 있다고 가정하면 보통 소총수로 갔을시
    소총병은 기계로 분류되어 경력 인정이 됩니다. 기능사+경력1년이 되어
    제대하자마자 산업기사 딸 수 있는 여건이 됩니다. 1학년 2학기때 부터 자격증을 준비해 취득시
    취업시즌이 되는 2학년 1학기나 2학기때 보다 좋은 곳으로 취업이 용이합니다.
    재학시나 취업시즌, 졸업시까지도 대기업이나 중견기업 생산직 정규직 채용 공고는 늘상 챙겨서
    지원 해야 합니다.

    산업기사 따고 취업 이후에는 일하면서 경력 쌓고, 기사나 소방기사 쪽으로 공부할 수 있으며
    다른 분야 공부도 가능합니다. 몸 건강하게 현장에서 경력 쌓이면 밥벌이는 할 수 있습니다.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7970 김주하12 2025.03.20 84,523 0
7969 뚜르뜨 2025.03.12 144,574 2
7968 사상최강 2025.03.08 173,598 0
7967 2찍남은죽자 2025.03.08 174,904 1
7966 이공계에이스 2025.03.05 199,736 29
7965 _Alice_ 2025.02.26 245,070 3
7964 _Alice_ 2025.02.24 264,545 5
7963 찐만두두빵 2025.02.24 267,394 4
7962 우주최하노동자 2025.02.24 265,733 4
7961 개나리v 2025.02.23 278,030 4
7960 녹색애벌레 2025.02.19 313,447 3
7959 유자차생강 2025.02.17 327,555 4
7958 에켁 2025.02.12 376,457 2
7957 푸핫핳 2025.02.11 388,489 1
7956 뭘로하지음 2025.02.09 401,949 0
7955 Nobodyzo 2025.02.07 415,929 3
7954 파란불그만 2025.02.02 443,466 4
7953 _Alice_ 2025.01.25 515,573 6
7952 후배위하는선배 2025.01.16 582,936 4
7951 복학생인증 2025.01.12 607,891 5
7950 _Alice_ 2025.01.07 635,760 1
7949 유자차생강 2025.01.05 642,111 4
7948 호구왔또 2025.01.05 623,334 28
7947 콧구녕 2024.12.20 749,231 2
7946 지랄대마왕 2024.12.16 783,599 1
7945 달묘둘째 2024.12.13 791,223 3
7944 yenwpd 2024.12.06 831,339 11
7943 IT하루살이 2024.11.27 881,879 6

인생상담 인기 게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