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방문

이전 글 부동산 질문에 답정너냐고 하는데

반성하는자 작성일 17.07.21 19:40:44
댓글 17조회 1,752추천 1

뭔 개소리야?

이런게 있으니까 하는 소리지 150063361945427.jpg

 

반성하는자의 최근 게시물
  • 0
    가스렌지와 비교하는건 말이 안되는게
    가스렌지의 가스비는 에어컨의 전기요금하고 동일하게 생각해야 함.
    냉매가스랑은 좀 다르게 생각해야..
    옵션으로 기재해 둔 부분이니 정상사용할 수 있도록 입주 전 준비해주거나 보수해주는것이 맞아요
  • 0
    상식적으로 생각해봅시다

    냉매를 세입자가 채운다면 나중에 세입자 나갈때 그냉매 다빼버리고 나가도 된다는소리죠.

    옵션으로 에어컨 달려있다면 고의적인 파손이 아닌이상 집주인이 수리해줘야됩니다.
    보일러와 마찬가지죠

    본문의 답변이 멍청한거죠..
    가스렌지와 에어컨의 차이를 생각안한 답변인겁니다.
    에어컨의 냉매는 에어컨 부품중 하나라고 보면 쉽게 이해될겁니다.

    계약서에 에어컨이 옵션으로 들어갔으면 그에어컨은 세입자가 망가트리지 않는이상 찬공기가 나와야되는거죠.
  • vahngo17.07.21 21:24:26댓글바로가기
    0
  • 와이프짱공함17.07.21 20:08:26 댓글
    0
    세입들어갔는데 에어컨 옵션으로 설치되어있음 근데 가스는 충전해서써라???

    작동안되는거 설치되어있는데 고장나면 세입자가 고의로 파손하지않은 이상 해줘야합니다

    냉매를 가스렌지 가스처럼 소모품으로 *는 않죠
    실제 1~2년내에 빠지면 충전도 해주자나요

    원래는 빠지지않아야 정상인데 배관설치에따라 5년이상 갈수도 1년만에 빠질수도 있습니다 그럴경우 배관점검이 우선이죠 20만원가량이 들수도 있는데 세입자가 배관 점검하고 가스 충전하라는것은 솔직히 이해안가네요

  • 반성하는자17.07.21 20:12:31 댓글
    0
    에어컨은 되는데. 차갑지가 않대요.

    제 기준에서는 가스같은 경우 소모품이자나요? 위에 사진첨부내용처럼

    가스렌지에서 사용하는 가스세. 전구킬 때 쓰는 전기세. 이런거 다 집주인이 내주면.

    저는 돈있어도 집주인안하고 세입자가 더 꿀인거 같네요
  • 와이프짱공함17.07.21 20:22:37
    0
    인식 차이인거 같네요 우선 예전 가전매장 근무했던 사람으로써

    냉매는 소모품으로 생각 되진 않네요

    실제로 1년내에 없어지면 as센터에서 배관점검해주고 냉매 충전 해주니깐요


    에어컨 많이틀면 냉매가 없어지고 안틀면 그대로 인게 아니라

    에어컨 설치기사가 안새게 제대로 설치하면 10년넘게 틀어도 괜찮고 잘못설치하면 1~2년 새에 다 새는게 에어컨 냉매이니깐요
    (본가는 10년동안 충전 한적 없는데 저희집은 얼마전 한번 충전했습니다 3년만에)
    100프로
  • 우울한토깽17.07.21 20:35:19
    0
    냉매를 소모품으로 보진않죠.

    그렇게따지면 문손잡이도 오래되면 망가져서 떨어지기도하는데 그것도 소모품이게요?
    문손잡이가 여전히 잘돌아가긴하는데 잠기지가 않아요~ 라고 세입자가 말하면
    "열리고 닫히고는 되잖아요?" 라고 하는꼴입니다.

    가스렌지의 기능과, 에어컨의 기능을 구별하셔야합니다.
  • 와이프짱공함17.07.21 20:24:40 댓글
    0
    그리고 냉매가 없어진게 세입자가 에어컨 많이틀어서

    냉매가 없어진건 아니자나요 냉매가 빠진거는

    에어컨 가스 배관에 미세한 틈이있어서 조금씩 사라진건데
    그걸 세입자탓은 아닌듯 합니다
  • 우울한토깽17.07.21 20:32:00 댓글
    0
    상식적으로 생각해봅시다

    냉매를 세입자가 채운다면 나중에 세입자 나갈때 그냉매 다빼버리고 나가도 된다는소리죠.

    옵션으로 에어컨 달려있다면 고의적인 파손이 아닌이상 집주인이 수리해줘야됩니다.
    보일러와 마찬가지죠

    본문의 답변이 멍청한거죠..
    가스렌지와 에어컨의 차이를 생각안한 답변인겁니다.
    에어컨의 냉매는 에어컨 부품중 하나라고 보면 쉽게 이해될겁니다.

    계약서에 에어컨이 옵션으로 들어갔으면 그에어컨은 세입자가 망가트리지 않는이상 찬공기가 나와야되는거죠.
  • 흔들리는남심17.07.21 20:33:57 댓글
    0
    가스렌지와 비교하는건 말이 안되는게
    가스렌지의 가스비는 에어컨의 전기요금하고 동일하게 생각해야 함.
    냉매가스랑은 좀 다르게 생각해야..
    옵션으로 기재해 둔 부분이니 정상사용할 수 있도록 입주 전 준비해주거나 보수해주는것이 맞아요
  • 으르봉카드17.07.21 20:41:50 댓글
    0
    가스렌지 가스와 에어컨 가스는 본질적으로 틀린 가스입니다.
    말이 가스이지 가스렌지의 가스는 불을 붙여 연료로 사용하는 소모품인거고
    에어컨의 가스는 냉매로서 시공이 잘되어 있다면 거의 반 영구적으로 쓸수 있기 때문입니다.
  • vahngo17.07.21 21:20:55 댓글
    0
    에어컨 냉매가스는 소모품이 아닙니다.
    근데 수리하는사람들은 에어컨 안되면 냉매가스 샜다고 채우라고 하죠??
    그거 반은 구라고 반은 맞습니다. 구라는 돈벌려고 하는짓이고
    정답은 냉매가스가 새서 충전하라는겁니다.
    그러나 시공할때에 제대로 시공을 했다고 하면 냉매가스는 잘 안샙니다.
    즉 충전을 주기적으로 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실예로 저희집은 에어컨이 20년이 넘었는데 딱 2번 넣었습니다. 한 10년에 한번꼴??
    만약에 시원해지지가 않고 냉매가스가 자주샌다고 하면 설치부터 다시 해야합니다.
    그게 돈아끼는 길이기도 하구요...

    만약에 세입자가 에어컨은 설치했다고 한다면 세입자가 돈을 내는게 맞으나
    에어컨이 설치되어있다고 한다면 집주인이 돈을 내는게 맞습니다.
  • vahngo17.07.21 21:24:26 댓글
    0
  • 비노아17.07.21 22:41:46 댓글
    0
    냉매가스 게이지 측정하는척하고 샛다하더라...측정안하고 뭐하세요 하니까 아아 아닙니다 이라던데
  • 불꽃방망이17.07.21 22:46:06 댓글
    0
    어이구.. 그럼 냉매가 소모품이라고 치면, 님 에어컨 새로 샀는데, 2일 사용하고 나서 냉매가 다 떨어졌다면 님 돈으로 체워셔야 하나요? 가전제품들도 소모품에 대한 AS를 해주지 않습니다.
    그리고 가스요금을 말하셨는데, 이제 이사온 세입자에게 소모품인 가스요금을 내라고 하는것도 말이 안되네요. 이제 이사온 사람이 무슨 가스를 썼겠습니까? 이사온 날짜로 부터 사용한 부분에 대한 가스비를 내는게 맞는것이지요. 이사오기전에 사용되었던 가스요금에 대해 세입자가 낼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이사오기전에 고장난 에어컨에 대해서는 원래 살던 사람이 보상을 해주던지, 주인이 고쳐줘야 하는 것이죠.
  • 반성하는자17.07.22 00:31:27 댓글
    0
    답변달아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반영구적인. 소모품이 아니면 집주인이 내는 게 맞다고 생각해서. 비용부담은 제가 하기로 했습니다.

    저는 가스라고 하길래. 에어컨 가스랑 가스렌지 가스랑 비슷한걸로 보고 질문드린거였는데.

    한 가지 배우고 가네요~
  • 이대너구리17.07.22 01:45:19 댓글
    0
    제가 한국살때 에어컨 냉기가 약해져서 업자 불러서 체크 하는데 냉매가 빠졌다고 넣으셔야 한다고
    하면서 15만원 달라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그럼 부탁한다고 하곤 냉매 봄베 가져와서 충진 하면서 제가 옆에서 이것저것 얘기하곤 했
    더랬죠.

    제가 호텔시설과에서 냉동, 보일러 관리한다 이런저런 얘기하니 끝났다 하시면서 5만원만 달라고
    하시데요.. 그러면서 동종업계 사람한테 제대로 돈 받으면 자기가 욕먹는다나 어쩐다나 하면서..

    전 정말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하곤 근무할때 선배들 한테 이런일 있었다고 하니,.. 하나같이
    다 속았다고 하더군요. 냉매 한번 주입하면 10년 이상을 써도 좀처럼 냉매충진 하지 않고 쓸수 있
    는데 먼 냉매 또 넣야 하냐고 그리고 여유되면 다른 업자 불러다 냉매배관에서 냉매 다 빼내고 한
    번 진공 잡아서 실빵꾸 있는지 확인한 뒤에 있으면 용접 다시 하고 냉매 충진하는게 좋다고도 알
    려 주시더군요..

    냉동기술자로 일한지 얼마 안될때라서 이런걸로 속여먹나 하고 충격 받았었어요. ㅜㅜ

    그리고 하나 팁을 드리자면
    이사가면 동배관 그대로 다른 이사지 에서도 재활용하시는 분들 계시는데 이거 안좋은
    겁니다. 한번쓴 배관은 용접이나 가스등으로 변형이나 마모가 온 상태에 다시 재용접을
    거치면 미세한 크랙들이 발생해 여기서 냉매가스가 빠져 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하더
    군요.. 이사 가시면 새 배관으로 시공설치하시는것이 에어컨 펌프를 지키는 첫 지름길입
    니다. 몇푼 아끼려다 에어컨 심장인 컴플레셔 걍 나가는 경우가 생겨요.. ㅎ
  • 바스티드슈다17.07.22 15:21:58 댓글
    0
    저 딴걸 납득한다는게 ...... 에어컨이젠 귀뚜라미에서 만들겠네
  • 반성하는자17.07.24 19:20:59 댓글
    0
    이 내용의 핵심은 소모품인가 비품인가 그 쟁점인데. 소모품이면 세입자가 비용내는 게 맞음^^

    거지근성있는 사람 왜캐 많지ㅋㅋ;; 무조건 집주인한테 얻어먹을려고 하네 ㅋㅋㅋㅋ

    저는 집주인이지 돈없는 사람한테 기부하는 사람이 아니예요^^;;
  • 바스티드슈다17.07.24 19:38:42
    0
    아 네 집주인님 인터넷 검색 다했으면 가스나 갈아줘요
    몇일동안 그분 더워서 개고생했겠네요
    이런 집주인 안만나서 다행이다
  • 반성하는자17.07.24 19:52:51
    0
    거지는 내가 안받아줌 ㅋㅋ 나는 거지키우는 사람이 아니라서^^*
게시글 목록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수 추천수
게시글 목록
87974 pikes 14:02:30 2,497 2
87973 허니밥 2025.04.19 8,574 4
87972 치킨나라피자왕자 2025.04.19 10,625 5
87971 아이유내꺼 2025.04.18 18,375 2
87970 무노귀 2025.04.17 26,135 0
87969 leejcj 2025.04.17 27,753 0
87968 강강해 2025.04.17 28,188 1
87967 Necalli 2025.04.15 43,696 2
87966 몽몽히히 2025.04.15 44,105 1
87965 여보자야지왜화장을해 2025.04.15 44,543 3
87964 짱짱잉 2025.04.15 44,449 2
87963 VENDETTA 2025.04.14 48,355 5
87962 pikes 2025.04.14 52,728 1
87961 nise84 2025.04.13 60,795 3
87960 부활찾아서 2025.04.13 63,898 5
87959 머니게임 2025.04.12 64,256 4
87958 VENDETTA 2025.04.11 72,425 9
87957 김시루 2025.04.11 72,307 2
87956 민들레처럼살자 2025.04.11 73,121 0
87955 사이보그무비 2025.04.11 74,330 2
87954 메메몽 2025.04.11 74,764 0
87953 민들레처럼살자 2025.04.10 80,724 1
87952 부활찾아서 2025.04.10 81,274 2
87951 홀리더나이트드 2025.04.10 82,430 1
87950 꾼타킨타 2025.04.10 83,730 4
87949 삼호먹태 2025.04.09 91,426 2
87948 여름에는예초 2025.04.08 98,599 1
87947 민들레처럼살자 2025.04.08 98,930 1

자유·수다 인기 게시글